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자본주의의 미래

자본주의의 미래

(Orbital Rendezvous 1)

김병연, 김선혁, 허재준, 한준, 김재석 (지은이)
아카넷
2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0,900원 -5% 0원
1,100원
19,8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7,000원 -10% 850원 14,450원 >

책 이미지

자본주의의 미래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자본주의의 미래 (Orbital Rendezvous 1)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학 일반
· ISBN : 9788957338841
· 쪽수 : 312쪽
· 출판일 : 2023-09-22

책 소개

다섯 명의 저자들은 각자의 분야에서 심도 있는 논의를 통해 자본주의의 생명력을 인정하면서도, 미래를 낙관하지만은 않는다. 오히려 지금 마주한 문제들을 해결하여 더 나은 자본주의를 만들기 위해서는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진단한다.

목차

발간사
서문

제1장 경제체제의 도전과 21세기 자본주의 · 김병연
제2장 민주주의와 자본주의의 상호관계와 균형적 공존 · 김선혁
제3장 범용기술의 출현에 따른 불평등 확대와 자본주의의 진화 · 허재준
제4장 자본주의와 기업의 미래 · 한준
제5장 ICT기업 워라밸의 명과 암 : 바람직한 노동과 여가의 균형은 가능한가? · 김재석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 소개

저자소개

허재준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무역학과와 대학원 국제경제학과를 졸업하고 파리 제10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세종시에서 한국노동연구원장으로 재직 중이며 디지털 전환이 제기하는 미래 통찰에 기초하여 노동제도, 교육시스템, 사회보장체계 개선 방안에 관한 정책 자문과 연구 활동을 병행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는 『대전환기 한국사회』, 『자영업, 플랫폼 노동, 그리고 복지국가』,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Future of Work, 옮긴 책으로는 『무역, 고용, 노동기준』, 학술논문으로는 “ICT Diffusion and Skill Upgrading in Korean Industries”, 「인공지능과 노동의 미래」 등이 있다.
펼치기
김선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스탠퍼드대학교 정치학과에서 석·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고려대학교 정경대학 행정학과 교수로 있으며, 민주주의, 민주화, 시민사회에 관한 연구를 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The Politics of Democratization in Korea와 Economic Crisis and Dual Transition in Korea가 있고, 엮은 책으로 『분권헌법』, 『국정의 상상력 I, II』이 있으며, 다수의 학술지 논문을 게재하였다.
펼치기
김병연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 후 옥스퍼드대학교에서 경제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영국 에섹스대학, 서강대학교 교수를 역임하였으며, 현재 서울대학교 경제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며 서울대 국가미래전략원장을 맡고 있다. 연구 관심분야는 체제이행과 응용계량경제학이며 주로 구사회주의 국가들과 북한을 대상으로 연구하고 있다. 대표 저서로는 「Unveiling the North Korean Econom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7) 등이 있다. 영국경제사학회 T. S. Ashton Prize, 한국경제학회 청람상, 서울대학교 학술연구상, 대한민국 학술원상, 니어재단 학술연구상 등을 수상했다.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장, 국민경제자문회의 위원을 역임했으며 통일부의 통일미래기획위원회 경제분과장을 맡고 있다.
펼치기
김재석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인류학과에서 학사와 석사 학위를 받았으며, 하버드대학교 인류학과에서 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이후, 스탠퍼드대학교 동아시아 연구소에서 박사후연구원(Postdoc Fellow)으로, 펜실베이니아대학교 인류학과에서 조교수로 근무하였고, 현재 서울대학교 인류학과 교수와 서울대학교 중국연구소 소장으로 재직 중이다. 전 지구화와 다국적 기업, 중국과 한국의 기업문화, 민족주의와 초국경 이주, 탈사회주의와 도덕의 문제, 도시와 지역사회운동, 신자유주의적 통치성의 적용과 한계, 음식 문화 등에 대한 연구를 진행해 왔다. 지은 책으로 Chinese Labor in a Korean Factory (Stanford University Press), 공동저술서로 Irony, Cynicism, and the Chinese State (Routledge)와 China at Work (Palgrave-Macmillan)이 있으며, 그 외 다수의 학술논문이 있다.
펼치기
한준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사회학과 교수로, 조직사회학, 예술사회학, 삶의 질을 연구하고 강의한다. 서울대학교 사회학과에서 학사학위와 석사학위를, 스탠퍼드 대학교에서 사회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저서로 『사회 안의 조직, 조직 안의 사회』, 『BTS의 글로벌 매력 이야기』(공저)가 있으며, 「현대 한국 예술계의 변화와 발전」, 「문화예술 교육의 가치 분석 연구」, 「한국 근대적 음악계의 형성과 분화」, 「한국인의 문화적 경계와 문화적 위계구조」 등 예술사회학 관련 논문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이런 가운데 자본주의의 개혁을 요구하는 목소리는 이전보다 훨씬 더 커졌다. 소득양극화를 줄여 보다 공평한 자본주의는 될 수 없을까. 민주주의가 후퇴하지 않도록 자본주의가 도울 방안은 없는가. 과학기술의 발전을 이용하여 자본주의를 더 효율적으로 만들 수는 없을까. 기후 온난화와 환경 파괴 추세를 되돌릴 수 있도록 자본주의를 개선할 수는 없을까. 자본주의에서 노동의 보람, 일과 여가의 균형을 제고할 방법은 없을까. 자본주의의 변모에 따라 기업은 어떻게 변화할 것인가. 자본주의는 앞으로도 인류에게 나은 미래를 약속할 수 있을까. 이를 위해 자본주의는 어떻게 바뀌어야 할까.


그러나 공유경제는 자본주의의 사적 소유를 대체하는 것이 아니라 사적 소유를 새로운 기술인 온라인 플랫폼과 결합한 사업이다. 에어비앤비, 우버, 아마존 모두 국가나 공공이 소유한 업체가 아니라 사유기업이다. 즉 사유기업이 수행하는 사업의 방식이 변화했을 뿐 사유기업 자체가 없어지거나 대체된 것은 아니다.


자본주의의 현실과 다른 체제의 이상을 비교하는 것은 금물이다. 체제 내적이며 외적인 문제를 동시에 고려해야 할 뿐 아니라 인간과 사회의 가능성과 한계를 함께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인간의 설계는 자연의 진화가 가져다 준 완성도에 훨씬 미치지 못한다. 이런 겸손함을 품는 동시에 자본주의를 개선하려는 의식적이며 집중적인 노력이 21세기 경제체제의 도전에 직면한 우리에게 매우 절실하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88957339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