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91188040117
· 쪽수 : 265쪽
· 출판일 : 2017-06-15
책 소개
목차
제1강 교육과정 분야의 개관 ∙ 1
교육과정 분야의 역사 ∙ 3
교육과정의 관점 ∙ 7
제2강 교육과정 개념화 작업 ∙ 11
교육과정의 개념 ∙ 13
교육과정의 의미를 반추하며 ∙ 18
교육과정 언어와 교실 속 의미 ∙ 20
제3강 교육과정의 모형 ∙ 27
교육과정의 개발 모형 ∙ 29
교육과정의 탐구 모형 ∙ 31
교육과정의 평가 모형 ∙ 35
제4강 전통주의자들 ∙ 41
교육과정의 과학적 구성 원리 ∙ 43
교육과정 변화의 불안정성 ∙ 51
교육과정의 합리적 개발 절차 ∙ 56
Tyler 논거의 재평가 ∙ 62
제5강 개념적-경험주의 ∙ 67
1960년대 회상기 ∙ 69
제6강 재개념화 운동이란? ∙ 93
교육과정 연구의 재개념화 ∙ 95
재개념화 운동의 발흥 ∙ 99
재개념주의를 비판하며 ∙ 103
재개념화를 위한 변론 ∙ 108
제7강 쿠레레 ∙ 111
“쿠레레”와 교육과정의 재개념화 ∙ 113
“쿠레레” 방법론 ∙ 115
제8강 탈비판적인 재개념화 ∙ 121
교육과정, 주관적인 의식의 세계 ∙ 123
교육과정의 실행을 다시 생각함 ∙ 126
“복잡한 대화”로의 회귀 ∙ 131
교육과정의 치료 ∙ 133
제9강 정치적인 재개념화 ∙ 137
교육과정 정치학 ∙ 139
교과서와 문화정치학 ∙ 147
교육과정과 수업의 통제 ∙ 155
잠재적 교육과정과 갈등의 본질 ∙ 158
제10강 세계화와 교육과정 연구 ∙ 163
세계화, 교육, 교육과정 ∙ 165
교육의 상업화 ∙ 172
제11강 교육과정과 교사 ∙ 179
교사가 교육과정을 만났을 때 ∙ 181
창의적인 해석자로서의 교사 ∙ 185
교육과정의 “즉흥연주” ∙ 188
교사들의 목소리를 경청하라 ∙ 191
제12강 교육과정 분야의 전망 ∙ 195
교육과정 지평의 확장 ∙ 197
교육과정 분야의 현주소 ∙ 202
참고문헌 ∙ 207
부록 ∙ 211
I. Habermas의 인식론과 교육과정 모형 ∙ 213
II. JCT와 교육과정 연구의 재개념화 ∙ 235
주제색인 ∙ 255
인명색인 ∙ 26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