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한국철학 > 한국철학 일반
· ISBN : 9791188765508
· 쪽수 : 224쪽
· 출판일 : 2019-11-01
책 소개
목차
역자서문
제1장 <천덕(天德)> 제2장 <스승의 은혜(師恩)> 제3장 <우리 하늘(吾天)>
제4장 <우리 교(吾敎)> 제5장 <우리 하늘의 요소> 제6장 <우리 교의 정신>
제7장 <사람의 직분> 제8장 <사람의 자유> 제9장 <사람의 자격>
제10장 <의식주의 관계> 제11장 <위생> 제12장 <경제>
제13장 <국가> 제14장 <우리나라(我國)> 제15장 <우리나라의 정신>
제16장 <법률의 개요> 제17장 <인민과 국민> 제18장 <개인과 단체의 관계>
제19장 <나와 우리 교와 우리나라의 관계>
제20장 <우리 교와 우리나라의 관계> 제21장 <우리 교인의 의무>
제22장 <우리나라 사람의 의무> 제23장 <도덕>
제24장 <윤리> 제25장 <관습> 제26장 <방정한 마음(正心)>
제27장 <순일한 뜻(誠意)> 제28장 <결론>
해제 : 오상준의 하ᄂᆞᆯ문명론
책속에서
▶ 대한민국의 탄생은 동학의 신국가 수립 운동의 결실
개화기의 동학운동은 1904년 진보회의 갑진개화운동 전개 이후 헌정연구회(1905), 대한자강회(1906), 대한협회(1907) 등에 직·간접 참여하는 것으로 이어졌고, 이 모두는 국권 회복의 신 국가 수립 운동과 맥을 같이 한다. 이 모든 조직에 동학 천도교의 사상과 조직 및 재정적 지원이 결합되었고, 한일 강제병합 직전부터 다시 10년을 준비하여 1919년 3·1운동으로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탄생시켰다. 대한민국의 탄생은 동학의 개화기 국가수립운동에서부터 시작된 애국자강운동의 산물이다.
■ 동학(東學)이 그리는 신문명(新文明) 국가론
오상준의 『초등교서』는 1907년 보문관에서 발간된, 신 국가 수립기 애국자강운동의 ‘동학 문명서’라 할 수 있다. 즉 이는 동학사상을 기반으로 하여 서구 국가유기체설을 우리가 어떻게 수용하고 우리의 정신문명을 어떻게 살려 나가고자 했는지를 잘 보여주는 그의 대표적인 저술이다. (중략) 동학(東學)이라는 말 자체가 우리 학문을 지칭하는 보통명사였듯이 오상준이 이해한 천도교 역시 동교(東敎)로서 우리 교[吾敎], 우리 정신을 지칭한 것이었다.
▶ 우리나라의 종교
우리 교[吾敎]란 남의 교[他敎]에 맞서는 이름이다. 우리 교라 칭하는 이 의미를 깊이 연구하면 우리 교는 곧 우리 대한의 낡은 정신을 바꾸는 새 정신이다. (중략) 우리 대한은 4천년의 오래된 나라이지만 능히 종교(宗敎)가 있는 것인가 없는 것인가, 다시 생각해야 할 것이다. 우리 대한이 오래 숭상해 오던 유교와 불교가 모두 우리나라 사람의 우리나라 정신으로 성립된 것이라고 말하는 것이 옳은가, 아니면 다른 나라 사람의 정신이 우리나라를 화(化)하였다고 말함이 옳은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