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황룡사 치미 (기와지붕에 기품을 더하다)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고대~고려시대 > 한국고대사 > 신라/통일신라
· ISBN : 9791188949595
· 쪽수 : 100쪽
· 출판일 : 2023-12-15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고대~고려시대 > 한국고대사 > 신라/통일신라
· ISBN : 9791188949595
· 쪽수 : 100쪽
· 출판일 : 2023-12-15
책 소개
국립경주박물관 신라 문화유산 시리즈 5권. 신라 수도 중심부 황룡사의 지붕을 장식한 치미에 반영된 신라인의 기술과 미의식을 쉽고 상세하게 설명한 안내서다.
목차
• 들어가는 말
Ⅰ. 치미의 기원과 명칭
Ⅱ. 중국의 치미
Ⅲ. 고구려의 치미
Ⅳ. 백제의 치미
Ⅴ. 황룡사지 치미의 발견
Ⅵ. 황룡사지 치미의 제작 시기와 사용처
• 나가는 말
• 용어 해설
• 참고 문헌
저자소개
책속에서
황룡사지에서 출토된 치미는 높이가 182센티미터, 폭은 105센티미터나 될 정도로 커다랗습니다. 지금까지 발견된 우리나라의 고대 치미 중 가장 크지요. 이런 초대형 치미를 얹었다니 당시 황룡사의 위용이 짐작이 가시나요?
_<들어가는 말>
마루 끝을 장식하는 기와를 순우리말로는 ‘망새’라고 합니다. 삼국 시대에 만들어진 용마루 양 끝 망새 와는 대개 새의 꽁지깃 모양을 하고 있어 솔개 꼬리라는 뜻의 ‘치미’라고도 부릅니다. 한자 ‘鴟(치)’는 솔개, 올빼미, 수리부엉이를 가리키는 글자입니다.
_<치미의 기원과 명칭>
이런 자료를 통해 몸통에 단을 그려 넣고, 종대를 따로 만들지 않고 단의 차이로 날개를 표현한 치미가 낙양 천도 이전부터 동위·북제 때까지 중국 동부 전체에서 보편적으로 유행했다고 짐작할 수 있습니다. 남조에서는 아직까지 치미가 발견된 사례가 없지만, 집모양을 본뜬 그릇에 치미로 볼 수 있는 장식 기와들이 확인됩니다. _<중국의 치미>
추천도서
분야의 베스트셀러 >
분야의 신간도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