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한국 불교사 : 고대

한국 불교사 : 고대

조우연, 이장웅, 신선혜, 곽승훈, 김윤지, 채미하, 석길암, 이수미, 조명제, 정미숙, 배금란, 서지민, 엄기표, 이병호, 주경미, 김연민, 박미선 (지은이), 불교사학회 (엮은이)
한울(한울아카데미)
39,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9,000원 -0% 0원
390원
38,61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한국 불교사 : 고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한국 불교사 : 고대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고대~고려시대 > 한국고대사 > 한국고대사 일반
· ISBN : 9788946075498
· 쪽수 : 336쪽
· 출판일 : 2025-03-31

책 소개

불교사학회에서 기획한 ‘한국 불교사 개설서 3부작’ 중 마지막 책이다. 트렌드에 따라 사상사의 흐름을 도외시한 기존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고, 일국사의 틀에서 벗어나 동아시아 불교사의 흐름을 읽어내려는 학제적 경향을 반영했다.

목차

1부 고대 불교사의 동향
1장 고구려 불교사의 흐름과 문화 _조우연
2장 백제 불교사의 흐름과 영향 _이장웅
3장 신라 중고기의 불교와 왕권 _신선혜
4장 신라 중대 불교의 확산과 기능 _곽승훈
5장 신라 하대의 사회 변화와 불교계의 동향 _김윤지

2부 고대의 불교 사상과 신앙
6장 불교 수용과 토착종교 _채미하
7장 화엄사상의 수용과 전개 _석길암
8장유식사상의 수용과 전개 _이수미
9장 선의 수용과 선문의 형성 _조명제
10장 미륵신앙의 수용과 전개 _정미숙
11장 아미타정토신앙의 확산과 불교 대중화 _정미숙
12장 관음신앙의 수용과 확산 _배금란

3부 고대문화와 불교
13장 고대의 불상 _서지민
14장 석조미술 _엄기표
15장 고대인의 생사관과 불교 _채미하
16장 고고학으로 본 고대의 불교 사원 _이병호

보론
1. 고대 승정의 양상과 특징 _신선혜
2. 사리신앙 _주경미
3. 밀교의 수용과 전개 _김연민
4. 가야 불교를 둘러싼 논쟁 _박미선
5. 고구려 불교를 계승한 발해 불교 _박미선

저자소개

엄기표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전주 상산고등학교 졸업 한국교원대학교 역사교육과 졸업 단국대학교 사학과 고고미술사전공(문학박사) 문화재청, 서울시청, 경기도청 문화재전문위원 등 역임 한국미술사학회 섭외이사 등 역임 현 단국대학교 자유교양대학 교수 현 한국문화사학회 회장 등
펼치기
주경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충남대학교 고고학과 강사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고고미술사학과에서 문학박사를 취득했으며, 문화재청 문화재전문위원과 중앙아시아학회 이사를 역임하였다. 대표적인 저서로는 <중국 고대 불사리장엄의 연구>, <대장장>, <동양미술사>(공저), <유라시아로의 시간여행>(공저) 등이 있으며, 그외에도 다수의 논저를 발표하였다.
펼치기
조명제 (지은이)    정보 더보기
부산대 대학원 사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일본학술진흥회의 초청으로 2년간 고마자와 대학에서 박사후과정을 이수하였다. 이후 교토대학, 도쿄대학 등에서 방문학자로 연구 활동을 하였으며, 현재 신라대 역사문화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펼치기
채미하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희대학교 사학과에서 문학사 · 문학석사 · 문학박사학위를 받았으며, 인하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박사후연구원(2004.11~2005.10),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학술연구교수(2008.9~2011.8), 한성대학교 한국고대사연구소 학술연구원(2013.9~2016.8), 고려대학교 동아시아문화교류연구소 연구교수(2016.12~2019.11) 및 경희대 · 경희사이버대 · 서울교대 · 충남대 · 서일대 강사를 역임하였다. 현재 한국교통대학교 시간강사로 재직 중이며, 신라사학회 회장으로 재임하고 있다. 저서 및 공저로는 『신라 국가제사와 왕권』(혜안, 2008), 『신라의 오례와 왕권』(혜안, 2015), 『일제강점기 언론의 신라상 왜곡』(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17), 『한국고대국가제의와 정치』(혜안, 2018)가 있으며, 주요 논문으로는 「신라의 冊封儀禮와 그 기능」(『사학연구』127, 2017), 「진성왕 전후의 외교문서와 신라」(『한국사연구』179, 2017), 「애장왕?헌강왕대의 대일외교와 그 활용」(『신라사학보』44, 2018), 「백제 웅진시기 조상제사와 壇」(『한국고대사탐구』33, 2019), 「문무왕?신문왕대의 대일본관계」(『사총』99, 2020), 「사로국의 성장과 유이민」(『신라사학보』50, 2020), 「삼한의 ‘祭天’과 동예 舞天의 포용성」(『백제문화』62, 2020) 등이 있다.
펼치기
이병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교원대학교 역사교육과를 졸업한 후, 서울대학교 대학원 국사학과에서 석사 학위를, 일본 와세다대학교 대학원 문학연구과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국립중앙박물관에서 학예연구사 ·학예연구관으로 근무했고, 미륵사지유물전시관장 ·전시과장 등을 역임했다. 공주교육대학교 사회과교육과를 거쳐 현재는 동국대학교 문화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지은 책으로는 《백제 불교 사원의 성립과 전개》, 《百濟寺院の展開と古代日本》 등이 있으며, 옮긴 책으로는 《정창원문서 입문》, 《아스카의 목간》, 대중서로는 《내가 사랑한 백제》 등이 있다.
펼치기
박미선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사학과에서 <신라 점찰법회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 고대 정치사상 및 역사 교육에 관심을 가지고 공부하고 있으며, 명지대?인천대?대림대 등에서 한국사와 문화사를 강의하고 있다. 저서로 《신라 점찰법회와 신라인의 업·윤회인식》, 《마주보는 한국사교실 2》, 《스무살을 위한 교양 세계사 강의》(공저), 《세계사뛰어넘기 1》(공저) 등이 있고, 논문으로 〈중대 신라인의 정토(淨土)와 성불(成佛) 인식〉, 〈『김현감호(金現感虎)』 설화의 전승과 신라인의 세계관〉 등이 있다.
펼치기
석길암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동국대학교 WISE캠퍼스 불교학부 교수. 한국외국어대학교 경제학과, 동국대학교 대학원 졸업(철학박사). 금강대학교 HK교수를 역임했으며, 동아시아불교 사상과 한국불교사를 주로 연구하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 〈팔상성도의 시현과 대승 불전의 붓다관〉 〈대승기신론을 읽어온 문헌학과 교학의 시선들〉 〈동아시아 불교사 상사 연구의 한 반성〉과 저서로 《불교 동아시아를 만나다》 《동아시아 종파불교-역사적 현상과 개념적 이해》(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배금란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종교학과 박사 서울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연구원
펼치기
신선혜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고대사 전공, 호남대학교 교양학부 교수. 「신라 촌락문서와 『화엄경론』의 유통」, 「한국 고대 士類의 불교적 이해」, 『삼국유사의 세계』(공저) 등의 논저가 있다.
펼치기
이수미 (지은이)    정보 더보기
덕성여자대학교 철학 전공 교수. 서울대학교 약학과를 졸업하고 철학과에서 석사를 마친 후 미국 일리노이대학교(UIUC)와 캘리포니아대학교(UCLA)에서 불교학으로 각각 석사와 박사를 취득하였다. 한국 불교를 중심으로 동아시아 불교 사상을 전공했으며, 유식(唯識) 및 여래장(如來藏) 사상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저서로 Buddhist Hermeneutics and East Asian Buddhist Interpreters: Delivering Dharma of No Dharma(2022)가 있고, 「지눌 수증론의 해오(解悟)와 증오(證悟)의 의미 재조명」(2023), “On the Ālayavijnāna in the Awakening of Faith: Comparing and Contrasting Wŏnhyo and Fazang’s Views on Tathāgatagarbha and Ālayavijnāna”(2019) 등 다수의 논문이 있다.
펼치기
이장웅 (지은이)    정보 더보기
건국대학교 글로컬캠퍼스 강사
펼치기
곽승훈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동광불교문화연구소 소장
펼치기
김윤지 (지은이)    정보 더보기
국사편찬위원회 편사연구사
펼치기
정미숙 (지은이)    정보 더보기
부경역사연구소 연구원
펼치기
서지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충북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 부교수
펼치기
김연민 (지은이)    정보 더보기
국민대학교 교양대학 강사
펼치기

책속에서

이러한 해석은 고구려가 불교를 수용할 당시 동아시아 불교의 성격 즉 불교의 시대적 전개 과정과 어긋나며, 뒷받침할 만한 근거 자료 또한 미흡하다는 비판을 받기도 한다. 즉, 불교가 왕권 정당화의 이데올로기로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은 후대의 현상이라는 것이다. 고구려의 불교 수용 목적이나 계기를 단선적으로 이해하기보다는 복합적으로 해석할 필요가 있다. 먼저 불교가 전진에서 공식 전래되었다는 점을 감안하면, 전연을 멸망시킨 북방의 패자 전진과의 선린외교 목적이 지목된다. 물론 이는 종주국-신속국 사이 ‘하사(下賜)’의 개념이 아닌, 고구려가 자체적 필요에 의해 능동적으로 수용한 측면이 크다. 1장_고구려 불교사의 흐름과 문화


초기 불교는 고구려 왕권 신성화와는 무관해 보인다. 그 단적인 예로, 장수왕 2년(414)에 건립된 광개토왕비 비문을 보면 왕실과 ‘천제(天帝)’라는 재래 지고신(至高神)의 혈연관계를 강조할 뿐 불교적 분식은 전혀 나타나지 않는다. 광개토왕비가 건립된 장수왕 시기는 불교를 공식 수용한 소수림왕 이후 고국양왕, 광개토왕에 이어 3대가 경과한 시점이다. 그럼에도 왕실 신성화에 천신과 시조를 전면에 내세우고 있을 뿐, 불교에 대한 언급은 없다. 1장_고구려 불교사의 흐름과 문화


이렇듯 업설은 이전 생의 업이 현생에 영향을 끼친다는 것으로 윤회와 연결된다. 이는 현재의 신분에 대해 타당성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특히 지배층에게 유리한 이론이었으나, 업설이 현실의 삶을 숙명론적으로 받아들이게 했다기보다는 내세를 위해 현재를 충실히 살아가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했다고 보아야 한다. 더 나아가 승려를 존숭하고 사찰을 세우는 등의 불사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행위가 업을 소멸하기 위한 것이라는 논리를 제공함으로써 불교의 홍포에 기여했다는 점도 주목된다. 3장_신라 중고기의 불교와 왕권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