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글쓰기의 원리와 방법

글쓰기의 원리와 방법

김종성 (지은이)
서연비람
27,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4,300원 -10% 0원
1,350원
22,9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글쓰기의 원리와 방법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글쓰기의 원리와 방법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책읽기/글쓰기 > 글쓰기
· ISBN : 9791189171094
· 쪽수 : 464쪽
· 출판일 : 2018-10-30

책 소개

서연비람 신서 1권. 문장 이론 따로, 예시 문장 따로가 아니라, 이론에 알맞은 예시 문장을 한국 고전에서부터 최근의 신문 사설에 이르기까지 한국어로 쓰인 각종 인쇄물에서 찾았다. 지은이는 비록 글쓰기 이론의 예시에 알맞은 문장이라 하더라도 ‘잘 지은 글’이라고 판단이 서지 않으면 빼버리고, ‘잘 지은 글’이라고 판단되는 글을 예시 문장으로 채택했다.

목차

제Ⅰ장 문장과 표현

1. 주제
2. 단락
3. 구성
4. 문장의 기본 구조와 정확한 어휘의 사용
5. 수사와 기교


제 Ⅱ 장 언어와 표현

1. 한국어의 특질
2. 형태소와 어휘
3. 품사와 표현


제 Ⅲ 장 묘사와 서사

1. 묘사
2. 서사


제Ⅳ장 설명과 논증

1. 설명
2. 논증
3. 논문 작성법
4. 논술문 작성법


제 Ⅴ 장 글쓰기와 한글맞춤법

1. 한글맞춤법의 원리
2. 한글맞춤법 각론
3. 문장부호

참고문헌

저자소개

김종성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86년 월간 《동서문학》 신인문학상 중편소설 「검은 땅 비탈 위」 당선. 2006년 경희문학상 소설 부문 수상. 2024년 이병주국제문학상 대상 수상. 고려대학교 문과대학 국문학과 졸업 및 경희대 대학원 국문학과 석사과정과 고려대 대학원 국문학과 박사과정 졸업(문학박사). 연작소설집『탄(炭)』ㆍ『마을』ㆍ『가야를 찾아서』, 중ㆍ단편소설집 『연리지가 있는 풍경』ㆍ『말 없는 놀이꾼들』ㆍ『금지된 문』 등 출간. 연구서 『한국환경생태소설연구』ㆍ『글쓰기의 원리와 방법』ㆍ『한국어 어휘와 표현Ⅰ⸱Ⅱ⸱Ⅲ⸱Ⅳ』 등 출간. 전 경희대 국문학과 겸임교수 및 고려대 세종캠퍼스 문화창의학부 교수.
펼치기

책속에서

(2) 주제문

참주제가 완성되면 거기에 맞는 주제문(主題文)을 작성해 보아야 한다. 주제문을 효과적으로 작성하려면 우선 무엇보다도 표현이 정확하고 구체적이어야 하며, 너무 넓은 범위를 다루지 않도록 하고, 정확한 근거에 의해 증명될 수 있는 내용으로 해야 한다. 초점을 하나의 주제에 한정되어 맞추어야 하고 명료하게 표현한다, 서술이 일관성이 없거나 모순되어서는 안 되며, 막연한 추측성 표현이나 불필요한 구절을 포함해서는 안 된다. 그리고 주어, 서술어를 갖춘 완전한 문장이어야 한다. 평서문이 좋으며, 의문문은 안 된다. 또한 글쓴이의 의견이나 태도가 분명하게 드러나야 하며, 누구나 다 알고 있는 상식적인 것이어서는 안 된다. 뿐만 아니라 주제문은 글의 분량과 성격이나 글을 읽을 사람의 성격을 염두에 두고 작성해야 한다.
이러한 주제문은 문학작품 등에서는 문장의 표면에 잘 드러나 있지 않으나, 논설문, 보고문, 설명문 같은 문장에서는 겉으로 잘 드러나 있다.


(1) 단락의 어원과 개념

문장이 모여서 통일된 한 가지 생각을 이루는 글의 덩어리를 단락(段落, paragraph)이라고 한다. ‘paragraph’의 어원(語源)은 고대 그리스어의 'para'와 ‘graphein'의 합성어이다. 'para'는 ‘바꾼다’는 의미를, ‘graphe in'은 ‘쓴다’는 의미를 갖고 있다. “줄을 바꾸어 쓴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는 단락은 그 내용의 전개상 몇 개의 단위로 나눈다. 정확하게는 ‘문장의 단락’이라 하나, 줄여서 ‘문단’, ‘단락’, ‘단’이라고도 한다. 단락은 행(行)을 달리하여 표시되며, 하나 이상의 문장으로 구성된다. 단락은 문장보다는 길고 복잡한 한 단위의 생각이다.

(2) 줄갈이

단락을 구분할 때 첫 칸을 비우는 것을 줄갈이(改行, indention)라고 한다. 대화문은 첫 칸을 비우고, 인용단락은 첫 두 칸을 비운다.
글에서 단락을 특별히 강조하는 이유는 단락은 곧 글의 논리를 표상하기 때문이다. 논리가 어떻게 연결되면서 한 편의 글이 되는가를, 글을 읽는 사람은 단락을 통해서 이해할 수 있다.


(3) 단락 가르기

단락은 대체로 다음과 같은 경우에 가른다.

① 단락은 한 가지 생각이 끝날 때 가른다. 대체로 소단락(小段落)이 되기 쉽다.
② 단락을 가를 때 전체 문장의 통일과 정돈을 생각해서 가른다. 대체로 대단락(大段落)이 되기 쉽다.
③ 시점(視點, point of view)을 새롭게 바꿀 때 단락을 새롭게 설정한다.
④ 별도의 생각을 말하고자 할 때 단락을 새롭게 설정한다.
⑤ 색다른 논점(論點)으로 이야기를 옮기려 할 때 단락을 새롭게 설정한다.
⑥ 구체적인 예시와 자료를 덧붙일 때 단락을 새롭게 설정한다.
⑦ 시간과 장소가 바뀔 때 단락을 새롭게 설정한다.
⑧ 등장인물이나 행동이 바뀔 때 단락을 새롭게 설정한다.
⑨ 내용이 바뀔 때 단락을 새롭게 설정한다.

한편 행(行)을 자주 바꿔 단락을 많이 만들면 독자에게 읽기에 편리하고, 지루한 감을 주지 않는 장점이 있으며, 소설 작품 같은 경우는 분위기를 서정적(抒情的)으로 만들어주는 효과도 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