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동양철학 일반
· ISBN : 9791189199104
· 쪽수 : 400쪽
· 출판일 : 2018-07-10
책 소개
목차
시작하며
서문 - 문화와 고전 그리고 인생
01 역경 - 경전 중의 으뜸, 배워두면 인생이 편하다
02 역경 - 달관의 마음으로 바라보다
03 역경 - 하늘의 도리를 살펴 사람의 도리를 세우다
04 상서 - 정치를 계획하다
05 상서 - 이상적인 군주란 어떠해야 하는가?
06 시경 - 사람을 온유하고 돈후하게 만들다
07 시경 - 가장 영원한 감정, 효
08 예 - 예는 진실한 마음에 있다
09 대동·소강 - 정치가가 지녀야 하는 이상
10 악 - 사람의 마음과 통하여 인문을 완성하다
11 산해경 - 신화적 사유를 통해 근원을 찾다
12 천인지제 - 현대인은 하늘을 어떻게 생각하는가?
13 공자 - 모든 사람은 성인의 경지에 도달할 수 있다
14 공자 - 성공에는 지름길이 없다
15 공자 - 즐거움의 보증 수표, 수양
16 공자 - 종교적 정서를 드러내다
17 맹자 - 인생은 수양이 필요하다
18 맹자 - 성선설은 무엇을 말하는가?
19 맹자 - 인정은 무엇을 말하는가?
20 맹자 - 즐거움의 비결
21 대학 - 수신이 바로 인생의 근본이다
22 중용 - 마땅히 가야 할 인생의 길을 이해하다
23 노자 - 천하 대란에도 해결책은 있다
24 노자 - 자기 자신의 성인이 되다
25 노자 - 깨달음을 통해 집착을 없애다
26 노자 - 부드러움이 강함을 이기다
27 장자 - 몸과 마음을 다스리는 것이 수행이다
28 장자 - 유용과 무용의 사이
29 장자 - 죽음을 분명히 알다
30 장자 - 인간과 자연이 하나가 되다
31 묵자 - 모든 사람을 똑같이 사랑하다
32 순자 - 순자, 유가와 다른 길을 가다
33 순자 - 사상의 전환을 가져온 순학
34 한비 - 최대의 맹점은 현실과 타협하는 군주에 있다
35 삼강오상 - 삼강오상은 유가 사상이 아니다
36 도교 - 고대의 민간 신앙에 의탁하다
37 불교 - 윤회하지 않는 열반의 경지
38 불학 - 깨달음에 이르는 불학의 사유
39 주희 - 주희의 유가 해석은 옳은가?
40 왕양명 - 왕양명은 무엇을 궁구하였는가?
마치며
책속에서
이념이 완벽하지 않으면 인생 문제를 탐구하는 데 있어서 생명의 한 면만 주의해서 보게 되어 밝은 면이나 어두운 면에만 집중할 것이다. 또 만약 이념에 깊이가 있지 않으면 생로병사에 대한 궁금증을 해결하지 못하고, 희로애락의 원인을 알지 못하며, 원한과 원수를 극복할 힘을 얻지 못하고, 만남과 이별에 대해 어찌할 방법이 없을 것이다. 문학과 예술에서 보여주는 이념에는 종종 이러한 문제들이 존재한다. 종교는 신앙에 대한 개인의 인연과 선택을 다루는데, 교의에서 보여주는 이념도 독단으로 흘러가서 사변하거나 토론할 공간이 없다. 그러므로 이념 중에서 가장 생각할 만한 것은 바로 철학이다.
서문 ─ 문화와 고전 그리고 인생
『역경』, 특히 「역전」은 다른 사람에게 선을 권장하고, 심지어 필요할 경우에는 생명을 희생할 수 있다는 유가 사상의 발전을 드러낸다. 예를 들어, 곤괘의 「대상전」에 “군자는 목숨을 바쳐 뜻을 이룬다(君子以致命遂志)”라는 구절이 있다. 하지만 상수 측면에서 보면 그것은 문제를 해결하는 데 참고가 되기도 하며 인생을 살아가는 데 실제적인 도움을 주었다.
나도 『역경』을 배우고 깨달은 점이 있다. 배우지 않으면 할 줄 모르고, 배운다고 해서 반드시 할 수 있는 것도 아니다. 하지만 배워서 내 것이 되면 인생이 편할 것이다. 『역경』은 결코 쉬운 학문이 아니다. 하지만 어렵기 때문에 배울 가치가 있는 것이다. 그러니 국학의 인생에 대한 가르침을 이야기하면서 어떻게 『역경』을 빼놓을 수 있겠는가?
01 역경 ─ 경전 중의 으뜸, 배워두면 인생이 편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