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학 일반
· ISBN : 9791189254957
· 쪽수 : 348쪽
· 출판일 : 2023-10-17
책 소개
목차
서문_책머리에
1장 금표의 이해
01 금표란?
02 금표의 목적별 분류
03 금산과 봉산
04 금표와 경계석
05 금표와 공유지의 비극
2장 왕실금표
01 왕릉금표
02 태실의 금표와 화소
03 왕실 관련 장소금표
3장 산림금표
01 황장금표
02 향탄금표
03 삼산봉표
04 기타
4장 사찰금표
01 장묘 금지 금표
02 왕실 관련 사찰
03 사찰 내 행위 금지
04 기타
5장 종교·신앙금표
01 강화 마니산 참성단 금표
02 안동 용수사 금호비
03 제주 금경산 표석
04 제주 수월봉 영산비
05 제주 추자도 신묘금지비
06 관왕묘와 금잡인 표석
6장 장소·행위 금지 금표
01 사산금표
02 사패지 금표
03 행위 금지 금표
04 기타
7장 기타 금표
01 한글 금표
02 목적을 알 수 없는 금표
발문_맺음말
부록 금표 일람표
미주
참고문헌
저자소개
책속에서
금표(禁標)란 금할 금(禁), 표할표(標)에서 보듯 행위의 금지를 표식한 것이다. 주로 표석의 형태나 바위 등에 글자를 새겼는데, 출입과 이용의 제한을 두는 경우가 많기에 금표의 분류 기준은 어떤 행위의 금지냐에 따라 달라진다.
현재까지 확인된 금표 가운데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는 건 산림 관련 금표로, 이 중 나무와 관련된 금표의 비중이 다수를 차지한다. 이러한 산림 자원을 보호하기 위한 다양한 흔적들이 송금(松禁) 〉금산(禁山) 〉봉산(封山) 〉봉표(封標) 등으로 남아 있다.
산림 자원 이외의 금표는 〉왕실 관련 장소 〉사찰 〉제단·신앙 관련 장소 〉행위 금지 등이 확인되는데, 장소가 가지는 상징성의 측면과 행위 금지의 관점에서 금표의 성격을 구분할 수 있다. 또한, 금표의 실물은 확인되나 추가 명문이나 문헌 자료 등의 부재로 어떤 목적인지 분류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 그렇기에 금표에 대한 체계적인 분류가 선행되어야 한다. 즉, 목적별로 금표를 분류하고, 그 아래 개별 금표로 재분류하는 방식으로 금표에 대한 세분화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