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고대~고려시대 > 한국고대사 > 신라/통일신라
· ISBN : 9791189254704
· 쪽수 : 312쪽
· 출판일 : 2022-08-05
책 소개
목차
책머리에
1장 신라왕릉의 이해
01 능묘의 구분
02 시기별 왕릉의 구분
03 왕릉에 세워진 석물과 비석
04 십이지신상의 변화 과정
05 왕릉과 사찰은 어떤 관련이 있을까?
06 진위 논란이 있는 신라왕릉
2장 신라 상대
01 오릉
02 탈해왕릉
03 지마왕릉
04 일성왕릉
05 아달라왕릉
06 미추왕릉
07 내물왕릉
08 법흥왕릉
09 진흥왕릉
10 진지왕릉
11 진평왕릉
12 선덕여왕릉
13 진덕여왕릉
3장 신라 중대
01 무열왕릉
02 문무왕릉
03 신문왕릉
04 효소왕릉
05 성덕왕릉
06 경덕왕릉 176
4장 신라 하대
01 원성왕릉
02 헌덕왕릉
03 흥덕왕릉
04 희강왕릉
05 傳 민애왕릉
06 신무왕릉
07 문성왕릉
08 헌안왕릉
09 헌강왕릉
10 정강왕릉
11 효공왕릉
12 삼릉
13 경애왕릉
14 경순왕릉
5장 왕릉과 함께 주목해볼 고분
01 마립간 시기의 왕릉 추정지
02 경주 김유신 묘
03 주목할 만한 왕릉급 고분
부록
신라왕릉 십이지신상
신라왕릉 일람표
맺음말
미주
참고문헌
저자소개
책속에서
이 책을 준비하면서 경주와 연천 등지에 있는 신라왕릉을 수차례 찾아다녔다. 처음에는 그저 왕릉에만 관심을 쏟다가 왕릉을 통해 신라의 역사에 접근하는 방법을 모색했고, 그 결과 이 책이 빛을 볼 수 있었다.
이 책은 단순히 신라왕릉만을 다룬 책이 아니다. 해당 왕의 시대에 존재했던 특징적인 사건이나 인물, 유적 등을 함께 소개했고, 이 책 하나만으로 신라의 역사에 개괄적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기획했다. 많은 시행착오를 거치며 출간되었으니, 내가 이 책에 가지는 애착은 남다를 수밖에 없다.
책을 집필하면서, 나 역시 모르고 지나쳤던 부분을 더 많이 공부하고 왕릉으로 만나는 역사
알게 되었다. 최근의 연구 성과를 반영하기 위해 노력했고, 이 같은 집필과정은 오래도록 기억에 남을 것 같다. - 맺음말 가운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