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문화/문화이론 > 문화연구/문화이론
· ISBN : 9791189652913
· 쪽수 : 128쪽
· 출판일 : 2021-11-30
책 소개
목차
감사의 말
들어가며
모호하고 흥미로운 목소리
하카 여성성의 재현과 전복
1장 하카에게 젠더는 왜 중요한가
하카는 누구인가
하카 여성은 중국 여성과 어떻게 다른가
대만 대중문화의 하카 여성 재현
노래, 하카 여성의 목소리
2장 뤄쓰룽, 하카 여성성을 다시 생각하다
변화하는 맥락에서 하카 여성 되기
하카 여성성의 미학화, 초상화 전략
3장 뤄쓰룽의 음악적 초상화 전략
산거, 전략적 반본질주의의 표현
노래 가사로 여성 주체를 묘사하다
마치며
주
참고자료
부록 | 뤄쓰룽 음반의 가사/시 해설
책속에서
그녀의 노래가 음악적 통합과 일명 "초상화 전략"을 통해 하카 여성의 정형화된 이미지를 벗어나 그들을 위한 "새로운 얼굴들"을 만들어냈으며 다양하고 섬세한 여성적 주체들을 창조했다는 것을 보여줄 것이다. 이를 통해 그녀의 노래는 가부장 사회의 시선으로부터 하카 여성의 이미지를 해방시키려 한다. (중략) 뤄쓰룽의 음악은 민족문화에 의해 정형화되고 강요된 하카 여성의 자기 인식에 반론을 제기하고, 하카 여성성을 가변적이고 역동적이고 창조적인 과정으로 전환시킨다. _「들어가며」
하카는 전통적으로 여성 다수가 문맹인 민족이라는 점을 감안할 때 여성의 직접적 시각이 반영된 문자 기록이 매우 적다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하카 여성 음악은 그들의 표현 수단이자 그들의 문화를 이해하는 원천으로서 매우 특별하고 주목받아 마땅하다. (중략) 하카 여성들은 감정을 분출하는 노래를 부르고 또 부름으로써 자신들에게 가해진 통제와 제약에 순응했다. (중략) 하카 여성의 음악적 표현의 자유는 제한적이었으며, 의식적인 젠더 비평의 조짐이 없었다는 것을 발견했다. 그렇다면 20세기
의 사회·문화적 변화와 더불어 하카 여성은 음악과 자기 인식에서 역량을 키울 수 있었을까?
_「1장 하카에게 젠더는 왜 중요한가」
뤄쓰룽에게 회화, 시, 음악 형태의 예술적 창조 행위는 하카 여성성에 대한 정의를 탐색하는 중요한 수단이었다. 이들은 이미지, 언어, 음향이라는 각기 다른 표현 매체에 의존해 제시되지만, 하카 여성성의 미학화에 기여한다는 측면에서 상호 관련성이 매우 높으며 서로 참조할 만하다. 이 수단들이 만나는 지점은 여성의 주체성을 추구하거나 탐색하는 접근 방식에 있다고 생각한다. 여성의 시각을 구현하는 이 접근 방식을 초상화 전략이라 부를 수 있다. _「2장 뤄쓰룽, 하카 여성성을 다시 생각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