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나의 길고 아픈 밤

나의 길고 아픈 밤

(죽음을 미루며 아픈 몸을 생각하다)

뤼방 오지앙 (지은이), 이세진 (옮긴이)
위즈덤하우스
14,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2,600원 -10% 0원
카드할인 10%
1,260원
11,340원 >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9,800원 -10% 490원 8,330원 >

책 이미지

나의 길고 아픈 밤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나의 길고 아픈 밤 (죽음을 미루며 아픈 몸을 생각하다)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인문 에세이
· ISBN : 9791189709112
· 쪽수 : 244쪽
· 출판일 : 2018-12-15

책 소개

어둠을 직시하는 용기, 철학자의 투병 일기. 질병 그리고 아픈 몸과 함께 살다가 종국에는 죽음에 이르는 현대인의 마지막 과정을 냉철하고 관조적으로 성찰하여 병과 죽음을 보는 새로운 관점을 보여 준다.

목차

1. 고통효용론의 시체가 아직도 꿈틀댄다 7
2. 형이상학을 끌어들이지 않고 질병을 사유하다 11
3. 철학자도 세상 모든 사람들처럼 건강 문제로 고민한다 17
4. 사회 폐기물로서의 병자 25
5. 나의 천일야화 30
6. 나를 죽이지 않는 것이 나를 더 강하게 만들지는 않는다 38
7. ‘회복탄력성’이 왜 필요한가? 43
8. 환자들의 왕국을 방문하다 48
9. 공포를 퍼뜨리는 단어 63
10. 애도의 5단계, ‘뉴에이지적’ 환상 71
11. 두 번째 의견의 철학 84
12. 나는 기억나지 않는다 87
13. 환자들은 건강한 사람들보다 지적, 도덕적으로 우월한가? 92
14. 비극이자 희극인 질병 103
15. 만성 질환이 의료 이상(理想)에 끼치는 영향 118
16. 통증의 역사 137
17. 행복은 CEA 수치에 있다 149
18. 영구 화학 요법 173
19. 필요조건도 충분조건도 아닌 고통 182
20. 병은 디테일에 숨어 있다 187
21. 만성은 시간 잡아먹기다 194
22. 질병 정책 198
23. “우리의 육체에게 동정을 구하는 건 낙지 앞에서 설교하기다.” 202

감사의 글 207
주 210
참고 문헌 232

저자소개

뤼방 오지앙 (지은이)    정보 더보기
프랑스의 현대 철학자 뤼방 오지앙은 홀로코스트에서 살아남은 유대계 폴란드인 집안에서 태어나 브뤼셀과 텔아비브, 파리, 케임브리지 대학, 컬럼비아 대학, 몬트리올에서 공부했다. 철학과 사회인류학 박사학위를 받았고 유럽 최고의 연구 기관인 프랑스 국립과학연구소CNRS의 연구 국장을 지냈다. 주요 연구 분야는 분석철학과 도덕철학이며 가난과 이민에 관한 글들을 썼다. 사회적 정의 안에서 개인의 정치적 자유의 문제를 고찰하며 윤리적 최소주의 입장을 취했다. 『딜레마-어느 유쾌한 도덕철학 실험 보고서L’nfluence de l’deur des croissants chauds sur la bonté humaine et autres questions de philosophie morale expérimentale』가 국내에 번역되었으며, 그 밖에 『수치는 부도덕한가La honte est-elle immorale?』, 『칸트의 면도날과 실용철학의 다른 에세이들Le rasoir de Kant et autres essais de philosophie pratique』, 『포르노그라피를 생각하다Penser la pornographie』 등의 책을 썼다. 『나의 길고 아픈 밤』은 그가 췌장암을 겪으면서 쓴 마지막 에세이로 2017년 프랑스 심리학 특상Prix Spécial을 수상했다.
펼치기
뤼방 오지앙의 다른 책 >
이세진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에서 태어나 서강대학교와 같은 학교 대학원에서 철학과 프랑스 문학을 공부했다. 프랑스 랭스 대학교에서 공부했으며, 현재 전문 번역가로 일하고 있다. 『고대 철학이란 무엇인가』, 『돌아온 꼬마 니콜라』, 『브뤼노 라투르의 과학인문학 편지』, 『세바스치앙 살가두, 나의 땅에서 온 지구로』, 『아가트』, 『스캔다르와 유니콘 도둑』 외 다수의 책을 우리말로 옮겼다.
펼치기

책속에서

진료를 받는 동안 ‘장기’ 환자, 다시 말해 현 조건에서 ‘완치’ 가능성은 없을 듯한 질환을 안고 사는 사람으로서, 처음으로 내가 너무나 무력하고 취약하다는 느낌이 뼈저리게 와 닿았다.… 내가 나랏돈과 의료진의 노고가 깃든 치료를 받을 자격 없는 ‘쓰레기’로 보이고 싶지 않다면 ‘내보여야만’ 하는 나의 이미지가 있다는 것이었다. 몸이 쇠약해지는 와중에도 꿋꿋이 버티는 사람, 의사들의 권고를 진심으로 따르길 원하는 사람, 지적으로 항상 믿을 만하고 여전히 사회에 ‘쓸모’가 있을 만한 사람이라는 이미지.… 나는 다음번 ‘검사’ 때에는 반짝반짝 윤이 나게 닦은 구두를 신어야겠다, 코나 귀에 삐죽 튀어나온 털을 정리하고 와야겠다, 알 아라비아타 토마토소스가 묻은 바지는 입지 말아야겠다, 따위의 생각을 하곤 했다. _ 「4. 사회 폐기물로서의 병자」


나는 중병 환자가 의료진과 주위 사람들의 환심을 사기 위한 연출에 쏟아붓는 노력에서 『천일야화』의 이야기들을 떠올렸다.
갑자기 그런 생각이 들었다. 이른바 ‘고질병’에 걸린 사람들은 페르시아 왕 샤리아르의 사악한 계획을 저지하려는 셰에라자드처럼 매일매일 무모한 술책을 새로 지어내야만 하는 것 같다고.… 셰에라자드는 매일 저녁 재미난 이야기로 왕을 사로잡는다. 하지만 그녀는 절대로 이야기의 결말을 밝히지 않는다. 그래야만 왕이 적어도 이야기의 끝을 들을 때까지는 그녀를 살려 두고 싶어질 테니까.… 셰에라자드처럼 의료진들과 척지는 일 없이 유예를 끌고 나가기, 내가 내 병의 성격을 제대로 아는 거라면 이것이 앞으로 내가 바랄 수 있는 최선이다. _ 「5. 나의 천일야화」


회복탄력성은 ‘긍정’심리학을 떠받치는 기둥 중 하나다. 그런데 이 심리학은 볼테르가 조롱했던 라이프니츠의 사상과도 비슷하게, 아둔하리만치 낙관적인 면이 있다. 지난한 실패와 고초로 점철된 삶을 위태위태하게 살아가는 이들의 눈에는 그런 면이 같잖아 보일 법하다.
긍정심리학은 사유의 패배주의자들에게 죄의식을 조장하는 경향이 있다. 절망을 극복할 힘이나 의욕이 없는 사람들은 모두 유죄다.
우리의 실존적 질문들에 고통효용론이 주는 대답들이 그렇듯, ‘긍정’심리학은 피폐한 삶을 사는 환자들에게 여전히 자행되는 사회적 가혹 행위를 정당화하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이런 이유에서 나는 더없이 고약한 질병들을 긍정적으로 제시하는 경향이 있는 이 심리학을 참기가 힘들다. 질병이 ‘우리를 성장시키고’ 우리를 ‘더 나은 존재’로 만들며 우리 자신과 인간 조건에 대한 통찰력을 기르는 ‘도전 과제’라느니, 질병이 우리의 진가(우리의 ‘용기,’ 우리의 ‘회복탄력성’ 등)를 드러낼 수도 있는 중요한 시험이라느니 하는 개수작 말이다.
_ 「‘회복탄력성’이 왜 필요한가?」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