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위안부'는 여자다

'위안부'는 여자다

(여성주의 관점으로 '위안부' 역사를 복원하다)

캐롤라인 노마 (지은이), 유혜담 (옮긴이)
열다북스
2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2,500원 -10% 0원
1,250원
21,250원 >
22,500원 -10% 2,500원
카드할인 500원
500원
24,5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22,500원 -10% 1120원 19,130원 >

책 이미지

'위안부'는 여자다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위안부'는 여자다 (여성주의 관점으로 '위안부' 역사를 복원하다)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근현대사 > 일제치하/항일시대
· ISBN : 9791190158107
· 쪽수 : 484쪽
· 출판일 : 2020-07-30

책 소개

호주 페미니스트 학자 캐롤라인 노마는 지금껏 한국에서 본격적으로 다루어지지 않았던 시각으로 일본군 '위안부' 제도를 분석한다. 여성에 대한 성적 지배 시스템인 민간 성착취 산업의 확산과 이로 인해 발달한 남자들의 성착취 섹슈얼리티가 전시 '성노예제'의 근원이라는 것이다.

목차

한국판 서문
감사 인사
개요: 첫 번째 피해자
책의 구조 / 논의의 토대 / 근절주의적 개념어들 / 일본군 성노예제(‘위안소’ 제도)란 무엇인가? / 왜 성착취 선경험 피해자에게 집중해야 했는가? / 우리 시대 ‘위안부’

1. 희생양이 된 생존자: 일본인 ‘위안부’와 현재의 ‘위안부’ 운동
방법론적 틀 - ‘희생양 삼기’ / ‘위안부’ 정의 운동의 근절주의 역사 / 성착취 선경험 피해자와 우익 발언 / 좌파의 성착취 선경험 피해자 희생양 삼기 / 1990년대 일본의 ‘성노동론’ / 일본인 ‘위안부’ 피해자를 둘러싼 편견 / 래디컬한 역사 비판 /

2. 다이쇼 시대: 성착취를 평등화하다
일본의 ‘신여성’ / 성착취라는 음침한 골짜기 / 성착취가 해방이라는 이데올로기 / 다이쇼 시대의 성착취 호황 / 인신매매: 다이쇼 시대의 성착취 공급사슬 / 미성년자 성착취 ‘게이샤’ 업소의 성착취 / 다이쇼 시대 ‘공창’ 피해자의 경험 / 다이쇼 시대 민간 성노예제 생존자의 증언 / 결론

3. 1930년대: 민간 성착취의 군사화
일본군의 민간 경제 및 사회 장악 / 민간 성착취, 남성 섹슈얼리티를 빚다 / 성착취 섹슈얼리티의 탄생 / 일본군 남자들의 포르노 소비 / 민간 성착취 산업과 일본군의 결탁 / 국가 총동원과 일본 민간 성착취 산업 / 결론

4. 일본군 성노예제: 모든 남자에게 평등한 성착취
누가 ‘가라유키상’을 불렀는가: 전쟁 전 해외 인신매매 / 문제는 본토다: 인신매매망에 집중하면 놓치는 것 / 성착취를 평등화한 일본군 / 일본군의 성착취 수요 수출 / ‘위안소’ 제도: 성착취 접근성의 평등화 / ‘배출구’가 필요했다는 거짓말 / ‘성착취 섹슈얼리티’의 군 내부 전파 / 결론

5. 식민지 업소에서 ‘위안소’로: 성착취의 제국주의
강제로 끌려온 여자, 성착취를 ‘선택’한 여자 / 식민지 한반도 성착취 산업과 일본의 역할 / 한국 여자 인신매매의 시작 / 식민지 대만 성착취 산업: 인신매매 처리장? / 결론

6. 끝의 끝까지: 오키나와 피해자와 전쟁 말엽 ‘위안소’
성착취 산업 바깥의 피해자만 안타까운 사람들 / 민간 성착취는 계속 ‘위안부’를 공급했다 / 일본 본토 여자와 오키나와 ‘위안소’ / 결론

결론: 성노예제와 현대 일본이라는 용광로
다이쇼 시대의 귀환? / 희생양이 된 일본군 성노예제 피해자들 / 군사적 환원주의: 과연 전부 전쟁 탓일까? / 민간 성노예제를 보는 역사적 시각

해설
옮긴이의 말
미주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캐롤라인 노마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호주 출신 페미니스트 학자로 호주 로열 멜버른 공과대학교(RMIT) 국제도시사회학부 교수다. 전시와 평시의 성착취 제도에 초점을 맞춘 일본 근현대사가 주 연구분야다. 다른 저서로는 일본의 전후 성착취 산업이 경제 성장과 여성 인권에 미친 영향을 분석한 『위안부와 미군점령 이후 일본의 기업 문화Comfort Women and Post-Occupation Corporate Japan』(2018년)가 있으며, 성착취 생존자 증언집 『성착취 내러티브: 성적 인신매매 생존기Prostitution Narratives: Stories of Survival in the Sex Trade』(2016년)에 편집진으로 참여했다. 여성인신매매반대연합 호주지부(CATWA)와 도쿄 포르노 매춘 문제 연구회(APP)에서 활동하고 있다.
펼치기
유혜담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90년 태어나 진인휘라는 이름으로 자라고, 유혜담이라는 이름으로 활동해 왔습니다. 통번역대학원을 졸업하고 페미니즘 도서 ≪코르셋: 아름다움과 여성혐오≫, ≪여자는 인질이다≫, ≪젠더는 해롭다>, ≪위안부는 여자다≫를 번역했으며 ≪탈혼기≫를 썼습니다. 페미니즘 출판사 별세계를 세워 모든 여성들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고 있습니다.
펼치기

책속에서

군 성착취 제도는 전쟁 기간 중 어떤 시기, 어떤 지역인가에 따라 형태가 달랐다. 중국에서 일본군은 현지 여자를 납치해 동굴에 한 명씩 가둔 후 성착취에 이용했고 계급이 낮은 남자가 이 과정을 독자적으로 지휘했다. 변호사 가와구치 가즈코는 1941년부터 산시성에 배치된 일본군 병사들이 직접 동굴에 '위안소'를 만들어 중국 여자를 납치했으며, 피해자들은 완전한 어둠 속 "나무판자와 풀로 만들어진 침상" 위에서 병사들에게 연쇄 강간을 당했다고 적고 있다. 이들은 화장실에 갈 때만 동굴을 떠날 수 있었고 이때마저 감시받았다. 한 여자는 40일 동안 이렇게 갇혀 있었다고 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위안소'는 형태와 운영 방식이 일본 민간 성착취 업소와 똑같았다. '위안소'에도 장병이 낸 군표를 장부에 기록하는 등 요금 지급 제도가 존재했다. 또 일부 '위안소'가 억류된 여자들에게 성병 검사를 시행한 것도 당시 일본 성착취 업소와 비슷했다. 이렇게 업소와 유사한 '위안소'는 군이 직접 세우는 때도 있었지만, 위임을 받거나 공모한 성착취 업주들이 대신 세우기도 했으며 군이 기존의 민간 성착취 업소, 공공건물, 민간 주택을 징발해 '위안소'로 바꿔놓기도 했다. 1944년 6월 일본군 병사들은 오키나와 주택들을 징발해 '위안소'로 활용했다. 이들은 주택에 침대를 줄지어 배치하고 천장에 천을 걸어 칸막이를 만든 후 그곳에서 여자를 성착취했다. 이미 인신매매된 여자들을 전선이나 외곽 주둔지로 재인신매매해 이동식으로 성착취하는 '위안소' 형태도 있었다.
한국인 '위안부' 생존자 김연실은 본인이 매여 있던 '위안소'에서 일주일에 한 번 연락선을 타고 성착취당할 여자가 부족했던 근처 일본군 막사로 옮겨졌다고 회고한다. 또한 일본군이 퇴각하는 와중에 이전 점령지의 '위안소'에 있던 여자를 납치해 와 끌고 다니며 성착취하는 일도 있었다. 시로타 스즈코는 트루크 제도에서 일본군이 미군 폭격으로 기지에서 후퇴하게 되자 일본군 병사들이 숲에서 목재를 훔쳐내 '위안소'를 지었다고 기억한다.
'위안소'로 인신매매된 여자들은 일본인, 한국인, 대만인, 중국인, 필리핀인, 인도네시아인, 베트남인, 말레이시아인, 태국인, 버마인, 인도인, 티모르인, 차모로인, 네덜란드인, 유라시아인 등의 국적/인종적 배경을 가졌다. …'위안소'를 벗어나지 못하고 수년간 휴식 없이 성착취당한 여자들도 존재했다. 하야시는 여자들이 1) 소개업자를 통하거나 2) 일본군이 현지 동네 유지에게 부탁하거나 3) 일본군 관련인이 직접 납치하는 셋 중 한 가지 방법으로 인신매매되었다고 지적한다. 그러나 하야시는 한 가지 방법을 빠트렸다. 바로 민간 성착취 업소의 '위안소' 전환이다. 이 경우 여자는 자연스럽게 민간 성착취 피해자에서 군 성착취 피해자가 됐다.
_ 개요: 첫 번째 피해자 '일본군 성노예제'란 무엇인가 중에서


21세기 들어 두 가지 변화가 나타났다. 첫 번째로 평시 성착취를 성차별적 인권 침해로 바라보는 인식이 강화됐고, 두 번째로 '위안부' 생존자에게 정의를 되찾아 주기 위해 한국을 포함한 여러 정부와 시민 사회가 일본 정부에 점점 더 강한 압박을 가하고 있다. 그러나 오늘날 일본에서 확산을 멈추지 않는 민간 성노예제 문제가 얽히면 이 두 변화는 서로 충돌할 가능성이 크다.
일본은 아직도 성착취 문제 해결을 위한 유엔 팔레르모 의정서를 비준하지 않았으며, 미국 비정부 기구 셰어드 호프 인터내셔널은 일본이 "선진국 중 성착취 시장 규모가 가장 클 것"이라고 추정한다. 일본의 "성 산업은 국민총생산의 1~3% 규모로 일본 국방비 예산과 맞먹는다."…한국 포주들은 계속 일본을 사업하기 좋은 환경으로 보고 있으며, 일본의 정책 및 사업 환경은 일본 조직폭력배들이 대한 해협 너머의 한국 여자들을 인신매매해 오도록 하는 유입 요인이 되고 있다.
이 책의 목표는 이런 생각들을 연결하여 현대 민간 성노예제를 군 성노예제와 같은 틀에서 이해하고 해결해 나가도록 장려하는 것이다. 199/0년대 이후 일부 부류의 군 성노예제 피해자들에게 공감과 연민을 느끼는 분위기가 성공적으로 형성되었듯, 다른 성착취 피해자들도 같은 대우를 받을 수 있기를 바란다. 안타깝게도 지금까지는 군 성착취와 민간 성착취를 연결하고 이를 기반으로 사회 변화 운동을 해 나갈 만한 지적, 운동적 환경이 거의 뿌리를 내리지 못하고 있다. 현시점까지 '위안소' 생존자들의 역사적 경험은 과거 및 현재의 민간 성착취에 반대하는 근절주의 페미니즘 운동과 격리되어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마치 이들의 경험은 상업적 성착취가 아니었다는 듯한 태도다. 이런 접근법이 1990년대 이후 '위안부' 정의 운동의 성과에 일정 부분 이바지했을지는 몰라도, 거의 유사한 경험을 견뎌낸 성착취 선경험 '위안부' 피해자나 현시대 일본 성착취 산업의 한국인 피해자가 공감이나 배상의 측면에서 그 성과를 함께 누릴 수 없다면 '위안부' 운동의 진정한 성공 여부를 되묻지 않을 수 없다.
_ 개요: 첫 번째 피해자 '우리 시대 '위안부''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90158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