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철학 일반 > 교양 철학
· ISBN : 9791190216357
· 쪽수 : 416쪽
· 출판일 : 2020-06-25
책 소개
목차
들어가며 7
프롤로그_내재적 비판, 혹은 니체의 눈으로 니체 읽기 13
1. 다양한 해석과 엄밀한 해석 13
2. 내재적 비판 22
3. 니체의 책 또한 니체의 눈으로! 29
제1장 계보학이란 무엇인가? 33
1. 비판으로서의 계보학 34
2. 두 가지 계보학 40
제2장 힘에의 의지 47
1. 내 안에 존재하는 이 많은 영혼들! 43
2. 의지들의 의지, 의지들에 대한 의지 59
3. 무엇이 힘들을 종합하는가 63
4. ‘힘의 의지’와 ‘힘에의 의지’ 73
5. 능동과 반동, 혹은 무구함이란 무엇인가 81
6. 긍정과 부정: ‘한다더라’ 삶에 대하여 86
7. 두 번의 긍정, 끊임없이 곁눈질을 하는 자에게 필요한 것 95
제3장 강자의 도덕과 약자의 도덕 105
1. 연애는 우정을 잠식한다 106
2. 니체를, 니체 독서를 교란시키는 것 111
3. ‘선한 것’과 ‘좋은 것’은 어떻게 다른가? 118
4. 노예의 도덕과 주인의 도덕 123
5. ‘이익’의 도덕과 ‘자긍심’의 도덕 133
제4장 도덕의 생리학 149
1. ‘귀족의 도덕’과 노예 심성 150
2. 어원학과 문법의 환상 156
3. 생명의 자연학, 도덕의 생리학 166
4. 생명의 무구성과 힘에의 의지 177
5. 기쁨의 윤리학과 웃음 185
6. 공리주의와 천민의 도덕 190
제5장 인간은 어떻게 약속할 수 있는 동물이 되었나? 195
1. 약속할 수 있는 동물 197
2. 망각의 무구성 204
3. 반동적 기억 211
4. 고귀한 눈과 천한 눈 216
5. 잔혹, 기억의 테크닉 223
제6장 주권적 개인과 공동체의 정의 227
1. 주권적 개인 228
2. ‘자유로운 인간’의 징표들 238
3. 인간은 어떻게 자신의 가책에서 쾌감을 얻게 되었나? 244
4. 공동체와 정의 254
5. 가책의 도덕에서 위대한 건강으로 268
제7장 힘에의 의지와 금욕주의 273
1. 금욕과 금욕주의는 전혀 다르다! 274
2. ‘의욕하지 않음’이 아니라 ‘무를 의욕함’이라 함은? 281
3. 철학자에겐 왜 금욕주의적 이상이 필수적인가? 284
4. 철학과 금욕주의의 연대! 295
5. 예술가와 금욕주의 303
제8장 금욕주의의 계보학 317
1. 삶에 반하는 삶이 어떻게 삶으로부터 나오나? 318
2. 약자들로부터 강자들을 보호해야 한다! 326
3. “누가 그랬어?”의 주체 철학 339
4. 고통 없는 삶이 어디 있으랴! 351
5. 고통의 생리학과 혁명의 정치학 359
6. 고통의 테크놀로지 367
7. 최후의 금욕주의 384
8. 진리로부터의 구원 392
부록 혹은 에필로그_니체주의자에게 공동체는 불가능한가? 401
1. 「디 벨레」, 액체적 공동체의 힘 402
2. 니체주의적 공동체는 가능한가? 406
3. 강자들의 공동체, 혹은 넘어섬의 공동체 411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생명(Leben)이 삶(Leben)을 사랑하는 것은 당연하고 자연스러운 것인데, 그런 태도를 뒤집어 삶을 사랑하긴커녕 생명의 본능을 죄악시하고, 본능에 충실한 삶을 가책하게 만드는 도덕이 만들어지고 그것이 ‘선한 삶’으로 찬양된 이유는 대체 무엇일까를 물어야 했습니다. 나아가 ‘선악’이란 개념을 부수어 버린다고 할 때, 삶을 사랑하기 위해선 어떻게 해야 하며 어떤 언행이 삶에 어떤 가치를 갖는지는 대체 무엇을 준거로 판단해야 하는가를 찾아야 합니다. 이것이 『도덕의 계보』란 책을 쓴 이유였습니다.
“삶, 아무 의미 없어!” 쇼펜하우어를 염세주의로 이끈 이런 발상을 니체는 오히려 적극 수용합니다. 정해진 의미가 없다니 이 얼마나 다행인가! 어떤 의미도 없으니, 어떤 의미도 만들 수 있는 것 아니겠어! 이러한 삶의 긍정은 ‘맹목적’이라고 욕을 먹던 의지에 대한 긍정으로 이어지게 되겠지요. 생명체가 생을 지속하려는 ‘생리학적’ 본성을 긍정하고, 그것을 척도로 삶에 대해 이런저런 고상한 의미를 정해 주려 하는 도덕이나 진리 같은 것에 대해 분석하고 비판하는 것은 이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