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직업으로서의 교사

직업으로서의 교사

(다시 학교의 가치로, 다시 교사의 가치로)

권재원 (지은이)
우리학교
1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6,200원 -10% 0원
900원
15,3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알라딘 직접배송 1개 9,100원 >
알라딘 판매자 배송 30개 4,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2,600원 -10% 630원 10,710원 >

책 이미지

직업으로서의 교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직업으로서의 교사 (다시 학교의 가치로, 다시 교사의 가치로)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91190337731
· 쪽수 : 352쪽
· 출판일 : 2021-05-15

책 소개

함께 걷는 교육 시리즈. 30년간 치열하게 교육현장을 지켜온 교육사상가 권재원이 교사의 자리를 돌아보며, 교사의 본질과 교육의 가치를 성찰한 교육비평집이다.

목차

프롤로그_ 교사라는 존재 9

1부 교육이라는 영토에서

혁신 이전에 되새길 교육의 진정한 목적 17
코딩교육을 관통하는 교육의 본질 21
교육 관심의 사각지대, 대학 27
학교는 재판받아 마땅한가? 31
숙의민주주의의 절대적 전제조건 38
민주주의의 위기와 교육 44
학교는 정말 남학생에게 불리한가? 51
공부의 공공성과 기쁨 56
진정한 의미에서 역사를 교육한다는 것 61

2부 직업으로서의 교사, 존재로서의 교사

분투하는 모든 무명 교사들에게 박수를 69
남은 것은 교사 패싱 72
존재로서의 교사와 권리 76
교장 자격과 ‘교장 자격증’ 88
급식체 앞에 선 교사 91
직업으로서의 교사 95
교사라는 직업과 방학 101
다시 교권을 생각하며 108
교사의 시간과 공간 112
아재들은 왜 ‘스승의 날’을 공격할까? 117
안경 쓴 뚱뚱한 ‘아줌마’ 선생님의 존재 122
교사의 역사의식이 갖춰야 할 것 128
선생님과 꼰대 사이 133
'시험괴물’로 키우지 않겠다는 각오 141

3부 학교와 제도에 대하여

어제의 촛불, 오늘의 적폐 149
학교민주화, 일상의 작은 출발점 154
승진가산점의 모순 157
임용절벽이라는 기회 160
학교혁신의 역설 165
다양한 교원단체 설립의 자유 170
누더기가 된 교육정책 175
공정한 수능 대 지름길 학종? 179
교육에서 제일 사소한 문제, 대학입시제도 186
공정한 대학입시보다 교육적인 대학입시로 189
학종과 수능 그리고 사교육시장 195
헤드스타트의 힘 199
‘깜깜이’ 교육감 선거 205
‘공정한 수능’이라는 환상과 창의인성교육 210
‘공정성’에의 집착과 우민화 213
교육과정 따로, 대학입시 따로 218
지금 교단을 지배하는 정서 223
교육정책을 읽는 세 가지 키워드 228
무엇이 기초학력인가? 235
교원 능력을 계발하는 진정한 평가를 위하여 242

4부 코로나시대, 교사의 일과 교육

안전한 나라와 공교육 251
개학에 앞서 진짜 준비해야 할 것들 256
온라인시대, 파발마 날리고 봉화 올리는 교육행정 261
어린이집 교사가 신종 코로나에 걸린 날 266
학교의 봄을 기다리며 270
포스트코로나시대의 교육론이 놓친 것 275
한국의 반교육 100년? 282
안정적인 온라인 학사일정에 대한 기대 288
실시간 원격화상수업의 그림자 293
코로나 시국을 업무 정상화의 기회로 299
나는 열정적인 교사가 되고 싶지 않다 304
학교 그리고 진정한 일제잔재 청산 308
포스트코로나시대에 더 중요한 민주시민교육 314
코로나 시국, 교육을 결산한다 335

에필로그_ 다시 학교의 가치로, 다시 교사의 가치로 347

저자소개

권재원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독어교육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교 사회교육과에서 교육학 박사학위를 받았습니다. 33년간 중학교 사회 교사로 근무했고 서울대학교,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상명대학교 등에서 사회 선생님이 되려는 대학생들을 가르쳤습니다. 최근에는 경제 교육과 민주 시민 교육에 관심을 가지고 관련된 책을 쓰고 있습니다. 지은 책으로 《민주주의는 완벽하지 않다고요?》, 《별난 사회 선생님의 한국 지리네요》 ,《열다섯에 배워 평생 써먹는 단단한 돈 공부》, 《반전이 있는 미국사》, 《세상을 바꾼 질문》, 《거짓말로 배우는 10대들의 경제학》 등이 있습니다.
펼치기

책속에서

결국 교육은 교사가 하는 일이며, 교사가 제 일에서 긍정적인 동기를 찾고 스스로 일어서지 않으면 그 어떤 교육개혁도 빛 좋은 개살구가 되고 만다는 생각에 이르렀기 때문이다.―프롤로그


이런 일련의 흐름이 놓치고 있는 것이 있다. 교육의 목적은 미래의 생산력이 아니라는 것이다. 교육은 기본적으로 학생의 행복을 목적으로 한다. 교육은 학생의 미래를 위해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학생의 현재를 위해 존재한다. 교육을 미래의 취직, 미래의 경쟁력을 위한 도구로 생각하게 되면, 그 과정에서 학생의 행복은 철저히 무시된다. 교육은 배움 자체가 즐겁고 행복한 일이기 때문에, 또한 능력이 확장되고 성장하는 것을 확인하는 즐거움이 행복의 초석이라서 중요한 것이지, 미래 일자리, 미래 생산력을 준비하기 때문에 중요한 것이 아니다.―혁신 이전에 되새길 교육의 진정한 목적


오늘날 교육이 남자아이에게 불리하다고 투덜대는 것은 사실상 남자아이가 바뀐 세상에 적응하지 못한다는 고백, 혹은 아들 둔 부모들이 아들 양육에 실패했다는 고백에 불과하다. 공교육은 사회가 필요로 하는 인간상을 목표로 한다. 소위 남자다움이 전근대사회에나 걸맞은 그런 것이라면, 공교육은 당연히 그런 학생이 바뀌지 않으면 안 되게끔, 즉 소위 남성성을 억제하고 새로운 태도와 가치에 따라 생각하고 행동하도록 이끌 수밖에 없다.―학교는 정말 남학생에게 불리한가?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67551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