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서양철학 > 마르크스주의
· ISBN : 9791190413084
· 쪽수 : 236쪽
· 출판일 : 2020-03-30
책 소개
목차
저자의 말―학문의 염가 판매와 과대광고
1 자본주의에서, 유능한 노동자가 된다는 것
◦원근법적 물신주의—역사에 대한 시각적 기만
◦생산적 노동이란 무엇인가
◦‘생산적 노동’에 대한 스미스의 두 가지 규정
◦서비스 노동은 생산적 노동이 아닌 것인가
◦미덕의 불운
2 자본가의 지배와 자연의 침묵
◦자본에 포섭된 노동—“칼 없는 계약”은 없다
◦절대적 잉여가치도 ‘상대적’이고, 상대적 잉여가치도 ‘절대적’이다 ◦자연은 사고야자나무를 누구에게 선물했는가 ◦자연을 지배하고 노동자를 지배하고 식민지를 지배하다 ◦자본과 식인종—적어도 400만 명의 식인종이 산다 ◦노동자는 자본가다?—어리석은 ‘위대한 지성’
3 커져가는 계급 격차-노동력의 가격과 잉여가치의 크기
◦마르크스의 『자본』은, 흐르는 강물처럼
◦‘노동력의 가치’와 ‘잉여가치’에 영향을 주는 세 가지 요인 ◦잉여가치의 ‘상대적 크기’는 어떻게 달라지는가
◦잠시 기분전환을 위하여—잉여노동시간이 사라진 세상 ◦고전파 경제학의 잉여가치율 정식—“하데스의 투구”를 쓰고 싶은 사람들
4 임금에서 생기는 착시 현상
◦임금은 노동소득이고 이윤은 불로소득이다
◦임금은 노동의 대가가 아니다
◦‘노동의 가격’이라는 엉터리 말
◦‘노동의 가격’이라는 교활한 말
◦‘당신이 일한 만큼 받는 것’이라는 거짓말
5 임금형태를 둘러싼 술책
◦임금형태 ①—시간급제
◦임금형태 ②—성과급제
◦국가별로 다른 임금, 그리고 그 차이의 의미
◦아름답고 조화로운 자본주의?—케리와 바스티아에 대한 비판
부록노트
◦ 노동력을 생산하는 노동에 대하여
주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자본주의에서 노동자는 다음과 같은 비극적 아이러니와 마주하게 됩니다. “생산적 노동자가 된다는 것은 결코 행운이 아니며 오히려 지독한 불운이다.” 그의 불운은 그가 가진 미덕의 결과입니다. 생산적이고 유능한 존재가 된다는 것은 훌륭한 일이지만 자본주의라는 조건에서는 더 쉽게 더 많이 착취된다는 뜻이니까요. 알을 많이 낳는 암탉이 양계장이라는 조건을 고려하면 결코 축복이 아닌 것처럼 말이지요.
노동자는 자본가의 개인 소유물이 되지는 않습니다. 다만 자본가에게 이익을 제공하는 사회적 편제, 자본가에게 ‘최선’이 되도록 세팅된 편제 속으로 들어가는 것이지요. 이것이 포섭입니다. 자본주의 생산양식은 형식적으로라도 노동의 포섭이 이루어져야만 가능합니다. 노동자들이 노동력의 판매를 통해서만 살아갈 수 있어야 하며, 노동과정은 자본가의 통제 아래서 진행되어야 합니다.
높은 생산성과 자연의 부는 필요노동을 줄여줍니다. 그러나 이것이 잉여노동이 늘어나야 할 이유는 아닙니다. 필요노동이 일정 수준으로 줄어들어야 잉여노동이 가능하고, 필요노동이 많이 줄어들면 그만큼 잉여노동을 늘릴 여지가 생기겠지요. 하지만 그건 그럴 수 있다는 이야기이지 꼭 그래야 한다는 건 아닙니다. 마르크스의 말처럼, “천혜의 자연조건이란 언제나 잉여노동[따라서 잉여가치나 잉여생산물]의 가능성을 부여할 뿐이지 결코 현실성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