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남성 특권

남성 특권

(여성혐오는 어디에서 비롯되는가)

케이트 만 (지은이), 하인혜 (옮긴이)
오월의봄
19,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7,100원 -10% 0원
950원
16,150원 >
17,100원 -10% 0원
카드할인 10%
1,710원
15,39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남성 특권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남성 특권 (여성혐오는 어디에서 비롯되는가)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여성학/젠더 > 남성학/남성문제
· ISBN : 9791190422819
· 쪽수 : 348쪽
· 출판일 : 2021-08-19

책 소개

오직 ‘남성’이라는 이유로 거머쥔 특권이 주조해내는 거대한 억압과 착취를 추적한 책. 여성혐오의 구조적, 철학적 기원을 치밀하게 분석한 첫 책으로 학계는 물론 대중적으로도 큰 주목을 받았던 젊은 여성 철학자 케이트 만의 두 번째 저작이다.

목차

• 이 책에 쏟아진 찬사 4
• 한국의 독자들에게―케이트 만 9

1장 남성 특권은 어떻게 작동하는가 14
2장 ‘비자발적’ 독신이라는 환상: 인셀 그리고 피해자 의식 30
3장 가해자 감싸기: 강간 사건과 힘패시 58
4장 달갑지 않은 섹스: ‘동의’라는 함정 90
5장 통증을 둘러싼 불신: 몸의 기본값에 관하여 118
6장 통제되는 몸: 낙태금지법의 진짜 욕망 146
7장 사소하지만 거대한 불의: 가사노동의 문법 176
8장 앎의 소유자들: 맨스플레인, 진술 억압, 가스라이팅 200
9장 ‘당선 가능성’이 말하지 않는 것: 여성 그리고 권력 230
10장 다음 세대의 여성들을 위하여 262

• 주 275
• 감사의 말 329
• 추천의 글
특권을 누리는 남성들의 생떼를 받아주지 않기 위해―김은주 332
더 나은 세계를 위해 싸우기―김애령 335
그것은 논란이 아니라 폭력입니다―손희정 338
• 옮긴이 후기 342

저자소개

케이트 맨 (지은이)    정보 더보기
코넬 대학교 철학과 부교수로 2013년부터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주로 윤리, 사회 및 여성주의 철학 분야에서 활발히 활동하며 학술 저널뿐만 아니라 여러 연구 활동들을 《뉴욕타임스》《허프포스트》 《워싱턴 포스트》 《CNN》 등에 게재했다. 또한, 『다운 걸Down Girl』 『남성 특권Entitled』을 출간하여 페미니스트 철학자로서 여성혐오와 사회 구조의 불평등에 관해 꾸준히 이야기해 왔다. 『비정상체중』에서 그 논의들을 이어간다. 이 책에서 그는 크고 뚱뚱한 몸을 둘러싼 차별, 낙인, 가스라이팅에 주목한다. 뚱뚱하다는 이유로 부도덕하고 게으르며 멍청하다는 프레임을 씌우는 ‘비만혐오’ 문화를 탐구하며, 이 문화가 특히 계급 차별, 인종 차별, 성차별과 어떻게 연결되어 왔는지를 철학적으로 접근하고 파헤친다. 나아가 비만혐오가 일상 곳곳에서 어떻게 작동하며, 왜 중요한 사회 정의의 문제가 되어야 하는지를 정교한 언어로 제시한다. 이로써 견고하게 쌓여온 뚱뚱함에 관한 담론을 해체하며 모든 사이즈의 가능성을 이야기한다. 그래서 오늘도 그는 “뚱뚱함을 지향한다.”
펼치기
하인혜 (옮긴이)    정보 더보기
인천대학교 영어영문학과 부교수이다. 「18세기 영국의 포스트휴머니즘적 상상력」이라는 논문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고, 1660년부터 1830년대 영국의 문학과 물질문화, 기계철학, 생태주의 비평이 교차하는 지점을 연구하고 있다. 17~18세기 여성 작가들의 글쓰기와 주체성, 비인간 동식물이 들려주는 이야기에 특별히 관심을 갖고 글을 쓰고 있다. 최근에는 포스트휴머니즘 관점에서 기후 위기와 비인간 주체를 새롭게 통찰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 중이다. 저서로 『18세기의 방: 공간의 욕망과 사생활의 발견』(공저, 2020)이 있고, 역서로는 『남성 특권: 여성혐오는 어디에서 비롯되는가』(2021)가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나는 여성혐오가 가부장제적인 규범과 기대치를 적용하고 강제하고 강화한다고 본다. 여성으로 하여금 남성과 혼인하고, 임신하고, 충실하게 남편과 아이들을 섬기도록 강제하는 규범은 문화적 맥락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발현되면서도, 문화적 차이를 넘어 보편적으로 작동한다.


낙태 반대 운동과 트랜스젠더 반대 운동은 어떤 공통점을 갖는가? 왜 여성들은 여전히 퇴근 후 귀가해서도 대부분의 가사노동을 전담하는가? 왜 어떤 남성들은 여성이나 다른 취약계층에게 성적 위해를 저지른 후에도 아무런 처벌을 받지 않는가? 맨스플레인은 왜 여전히 그토록 비일비재한가?


인셀은 타인이 자신을 지속적으로, 애정과 존경을 담아 우러러보길 기대하는 남성들이 가진 유해한 특권의식의 결정체다. 그리고 이들은 그런 눈길로 자신들을 추앙하지 않았거나 그렇게 하기를 거부한 사람들을 겨냥하고 심지어 파괴한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