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청소년 > 청소년 역사
· ISBN : 9791190631815
· 쪽수 : 248쪽
· 출판일 : 2024-01-25
책 소개
목차
책을 읽기 전에 • 12
시작하며 • 18
제1장 원시 시대 ~ 구석기 시대 ~ 신석기 시대의 건축: 700만 년 전 ~ 기원전 3000년 전
1. 원시시대 • 23
2. 구석기 시대 • 26
3. 신석기 시대 • 31
제2장 청동기 시대 ~ 철기 시대의 건축: 기원전 3,000년 ~기원전 500년
1. 아프리카 아시아의 건축 • 43
메소포타미아 건축 • 43
이집트 건축 • 49
페르시아 건축 • 54
이슬람 건축 • 57
인도 건축 • 61
중국 건축 • 64
2. 유럽의 건축 • 68
그리스 건축 • 68
로마 건축 • 76
제3장 중세 건축: 450년 ~ 1450년
1. 유럽의 중세 건축 • 89
초기 기독교 건축 양식 • 89
바실리카 양식 • 90
비잔틴 건축 • 92
로마네스크 건축 • 99
고딕 건축 • 101
2. 아시아의 중세 건축 • 110
캄보디아 • 111
인도 • 115
중국 • 122
한국 • 128
일본 • 133
제4장 르네상스 시대: 1,300년 ~ 1,500년
르네상스 건축 양식의 특징은 무엇인가 • 139
초기 르네상스 건축 (1400~1500) • 146
전성기(성기) 르네상스 건축 (1500~1550) • 156
후기 르네상스 건축 (1550~1600) • 170
제5장 유럽의 절대왕정, 침략과 식민지의 시대 : 15세기 ~19세기
1. 북, 중앙, 남아메리카의 건축 • 182
북아메리카 인디언의 건축 • 183
중앙아메리카 인디언의 건축 • 185
남아메리카 인디언의 건축 • 193
2. 절대왕정 시기 유럽의 건축 • 197
바로크(Barocco) 건축 • 197
로코코(Rococo) 건축 • 202
제6장 근대와 현대: 19세기 ~ 현재
1. 근대 • 209
신고전주의(Neo-classicism) 건축 • 210
낭만주의(Romanticism) 건축 • 212
절충주의(Eclecticism) 건축 • 214
보자르(Beaux-arts) 건축 • 218
2. 현대 • 226
a) 초기 유럽의 현대 건축: 1900 ~ 1960
표현주의 건축(Expressionism Architecture) • 229
아르 데코(Art deco) • 231
국제주의 양식(International style) • 232
b) 후기 현대 건축: 1960년대 ~ 현재3. 신석기 시대
비판적 지역주의(Critical regionalism) 건축(모더니즘 양식) • 236
포스트모던 건축(Post-modernism style) • 239
해체주의 건축(Deconstructivism) • 241
지속가능한 건축(Sustainable Architecture) • 243
맺음말 • 248
저자소개
책속에서
인류는 도구를 사용하면서 동굴 밖에 거주하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게 되었다. 이제 사나운 맹수가 다가오면 돌로 만든 도끼로 내려치거나 동물의 뼈로 만든 뾰족한 칼로 찌를 수 있었다. 인류는 나뭇가지나 맘모스 뼈로 벽을 만들고 풀잎과 가죽으로 지붕을 씌웠다. 동굴의 어두컴컴한 환경에서 벗어났다. 뇌는 점점 더 빠르게 진화했다. 짐승의 가는 뼈를 갈아 바늘을 만들고 털을 연결하여 실을 만들었다. 환한 태양광 아래서 가죽을 연결하여 현대의 것과 유사한 옷을 만들었고, 석기는 점점 더 정교해졌다. 도끼나 칼, 창에 나무 막대를 연결하여 사용하기 편하게 만들었다. 또한 사람이 죽으면 그대로 두고 떠나는 것이 아니라 땅 속에 묻고 그 위에 큰 돌을 얹어 놓았다. 고인돌은 최초의 '무덤 건축'이 되었다. 그 후 수 만 년이 지난 후, 비로소 인류는 이집트의 피라미드와 같은 거대한 무덤을 만들 수 있었다.
이집트 건축이란 통일왕조가 세워진 기원전 3000년 무렵부터 페르시아에 침략당한 기원전 500년 무렵까지 고대 이집트 문명의 시대에 나일 강 유역에서 건설된 건축 양식이다. 북아프리카의 나일 강 유역은 상류로부터 휩쓸려 내려온 영양분이 풍부한 흙이 퇴적된 비옥한 삼각주였다. 고대 인류는 농사를 짓기 시작하면서부터 물이 풍부한 나일 강 유역에 모여들었고, 촌락은 작은 도시가 되고, 작은 도시는 합쳐져서 대도시가 되었다. 그리고 마침내 광활한 지역을 통치하는 이집트의 고대 왕조가 탄생했다.
비잔틴 건축은 동로마 제국에서 태동한 건축 양식을 말한다. 비잔틴은 로마의 콘스탄티누스 황제가 330년에 수도를 지금의 터키의 수도인 이스탄불로 옮기면서 붙여진 이름이다. 이스탄불의 당시 이름이 비잔티움이었다. 이렇게 비잔틴 건축 양식은 비잔티움으로 천도하고 동로마 제국이 시작된 때로부터 오스만 투르크족의 침입으로 비잔티움이 함락된 1453년까지 거의 1,000년 동안 동로마 지역에서 전개된 건축 양식이었다. 비잔티움은 아시아와 유럽의 경계에 위치했다. 동서 문화의 교류와 접촉이 활발했던 곳이다. 메소포타미아나 페르시아의 고대 문명과도 맞닿아 있었다. 비잔틴 건축에는 유럽과 아시아의 건축 양식이 공존한다. 중세 서유럽의 건축은 어둡고 우울했지만 비잔틴 양식은 이국적인 아름다움을 뽐냈다. 이국적인 아름다움이란 아시아적인 요소가 들어있기에 가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