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교양 인문학
· ISBN : 9791190944908
· 쪽수 : 352쪽
· 출판일 : 2024-05-31
책 소개
목차
옮긴이의 말
한국어판 특별 기고문
한국어판 서문
서문
1.다학문적 인류세
2.인류세의 지질학적 맥락
3.지질연대 단위로서의 인류세와 대가속
4.인류세와 기후변화
5.인류세와 생물권 전환
6.인류세의 안트로포스
7.행성적 한계의 경제학과 정치학
8.인류세의 실존적 도전 과제
감사의 말
참고 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끝없는 경제 성장, 무한한 자원, 전 지구적 문제에 대한 손쉬운 기술적 해법(technological fixes)은 거의 환상이나 신화에 가까운 이야기라는 것이 인류세가 주는 가장 큰 메시지다. 기술 개발의 노력이 필요 없다는 이야기가 아니라, 인간 삶과 자연환경에 대한 관점 변화와 합리적인 정책 개발이 수반되어야 함을 말한다. 바로 이런 점 때문에, 인류세 연구는 외면하고 싶은 불편한 진실을 드러내 왔고 앞으로도 계속 수많은 도전을 받을 것이다. 이 책은 그런 도전을 이해하는 데 좋은 길잡이가 될 것이다.
- <옮긴이의 말>
우리의 공동 노력으로 모든 학문과 세계관이 ‘거대한 통합’을 이룰 가능성은 크지 않지만, 훔볼트가 한때 그랬던 것처럼 데이터와 이야기에 대한 글로벌 네트워크 구축을 기대해 볼 수는 있다. 인류세를 마주하는 것은 과학적이면서 인문학적인 과업이다.
- <1.다학문적 인류세>
한 인간의 평균 수명 정도밖에 안 되는 시간 단위인 인류세가 어떻게 공식 지질연대 단위로 제안될 수 있었을까? 인류와 지구의 상태에 관해 많은 것을 드러내 주는 이 질문이 바로 이 책의 핵심이다. 이 질문의 중요성을 온전히 이해하려면 인류와 지구의 역사를 살펴보고, 양자가 서로 어떻게 얽혀 있는지 알아볼 필요가 있다.
- <2.인류세의 지질학적 맥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