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심리학/정신분석학 > 정신분석학
· ISBN : 9791191013207
· 쪽수 : 364쪽
· 출판일 : 2021-05-07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냄새가 보내는 비밀 신호
제1장 냄새를 잘 맡을수록 인생이 풍부해진다
친구들의 냄새가 더 좋다 / 냄새를 잘 맡을수록 오래 산다 / 후각 경고 / 사람 코가 개 코보다 낫다면 / 악취 폭탄
제2장 나는 냄새를 맡는다, 고로 존재한다
후각 작동법 / 코는 인간의 뇌 / 행복에 관한 수천 가지 수용체
제3장 코가 오랫동안 베일에 싸여 있었던 이유
여기 냄새나요! / 고대 학자들은 냄새를 어떻게 생각했을까 / 냄새를 맡는 괴짜 학자들 /후각 식별 테스트기 / 냄새는 아웃사이더 / 냄새에 예민했던 사람들
제4장 나는 냄새를 맡는다, 고로 느낀다
사회적 정서와 외로움의 관계 / 후각은 시간 측정기 / 인간은 왜 점점 우위를 잃어 가는가
제5장 늘 간발의 차로 앞서 나가는 후각
냄새는 정서를 유발한다 / 냄새를 많이 맡을수록 더 강하게 기억한다 / 후각은 학습 가능하다 / 코의 재생 능력 / 뇌를 변화시키는 정서들 / 후각은 우리를 똑똑하게 만든다 / 후각 상실 / 후각 훈련 / 변덕쟁이 후각 / 익숙해지는 냄새
제6장 바로 코앞에!
아기는 어떻게 냄새로 엄마를 찾는가 / 동시 지각: 암묵적 후각
제7장 코가 냄새에 접근하는 방식: 후각의 비밀
냄새 확대경 / 나는 냄새로 당신이 뭘 먹었는지 안다 / 단식 향수 / 코는 평화의 대변인
제8장 사랑은 코를 타고
섹스 스프레이 / 극비 사항: 유혹의 물질 / 아름다움의 냄새 / 사랑에 빠지는 건 인간인가 유전자인가 / 후각 경고음이 울리면 / 코는 모든 비밀을 알고 있다 / 그 냄새가 나요
제9장 공기 중에 무언가가 있다
객관적 연구는 얼마나 주관적인가 /사람은 실험용 토끼가 아니다 / 생존을 위한 포옹 / 모든 컵이 찬장 안에 들어 있는 것은 아니다
제10장 지능은 코에서 시작된다
사회적 지능 / 순수 이성에 관한 동화 / 사회적 뇌
제11장 친구들은 서로의 냄새를 더 잘 맡는다
슬픈 코 / 코는 거짓말하지 않는다 / 자기 통제 요법
제12장 두려움의 냄새
화장 솜에 스며든 두려움 / 두려움은 전염된다
제13장 위험이나 함정을 냄새로 인지하다
망설이지 말고 항상 코를 따르라 / 모든 게 냄새와 관련된다
에필로그 수와 도식이 더는
감사의 글
참고 문헌
리뷰
책속에서
인간관계에 유독 능숙한 사람도 있다. 이들은 복잡다단한 사회 안에서 인간관계를 원만하게 잘 풀어 나가는데, 이러한 능력이 코, 바로 후각에서 비롯된다는 사실이 연구들을 통해 밝혀졌다. 혼자 있기를 좋아하거나 내향적인 사람들보다 사교적인 사람들이 냄새에 더 민감하다. 2016년에 발표된 중국의 어느 연구에 따르면 친구나 지인이 많은 사람, 다시 말해 사회적 관계망이 넓은 사람들은 미약한 냄새까지 더 잘 맡아 냈다. 즉 후각 능력이 더 좋았다. 이처럼 월등한 후각 능력을 갖춘 사교적인 사람들의 뇌를 살펴보니 감정의 중추인 편도체와 사회적 뇌인 중간 전두엽 간의 연결이 특히 좋았다. 둘다 후각을 담당하는 뇌 영역이다.
― ‘제1장 냄새를 잘 맡을수록 인생이 풍부해진다’ 중에서
우리가 후각에 관해 잘 몰랐던 데는 여러 이유가 있다. 첫째, 철학 및 연구사에서는 인간의 전형적인 특성으로서 감각보다는 사고와 이성을 훨씬 더 중요시했다. 감각을 중요하게 다루는 경우도 가끔 있었지만 그래도 후각은 늘 맨 마지막이었다. 둘째, 후각을 연구하는 방법은 몹시 까다롭다. 냄새를 정확하게 잡아내는 일은 이미지나 소리보다 훨씬 어렵다. 셋째, 화학에 의한 사회적 의사소통은 무의식적으로 이루어진다. 연구자들도 인간이기에 존재조차 모르는 대상을 연구하지는 못한다. 그래서 무의식적으로 이루어지는 신호 전달 역시 이들의 연구 대상이 되지 못했다.
― ‘제3장 코가 오랫동안 베일에 싸여 있었던 이유’ 중에서
감각 기관으로 받아들인 정보는 중앙 정보실로 보내진 다음 우선은 모두 단기 기억에 저장된다. 이름에서 이미 알 수 있듯이 이곳에 머무르는 시간은 짧다. (…) 정보를 골라내는 과정에서 청각과 시각은 단 6초밖에 머무르지 않는다. 그런데 뇌파 유도 장치를 활용해 실험한 결과 후각은 최소 다섯 배가 넘는 시간 동안 단기 기억에 남아 있었다. 왜 그럴까? 이유는 아주 간단하다. 냄새에 관한 단기 기억 자체가 없기 때문이다. 의식 속으로 파고들 만큼 중요한 냄새라면 잊어버릴 확률은 현저히 낮아진다. 이는 노르웨이 후각 연구자 트뤼그 엔옌이 1980년대에 이미 증명했다. 냄새를 다시 알아차릴 확률은 3초 뒤나 30초 뒤나 1년 뒤나 모두 같다.
― ‘제5장 늘 간발의 차로 앞서 나가는 후각’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