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민주주의 씨앗뭉치 Seed Pods of Democracy

민주주의 씨앗뭉치 Seed Pods of Democracy

장문정, 김경원, 강유미, 정근식, 김상규, 게이코 세이, 에치오 만치니 (지은이)
이은북
3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7,000원 -10% 0원
1,500원
25,500원 >
27,000원 -10% 0원
0원
27,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21,000원 -10% 1050원 17,850원 >

책 이미지

민주주의 씨앗뭉치 Seed Pods of Democracy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민주주의 씨앗뭉치 Seed Pods of Democracy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디자인/공예 > 디자인이야기/디자이너/디자인 실기
· ISBN : 9791191053401
· 쪽수 : 416쪽
· 출판일 : 2024-07-20

책 소개

민주화운동기념관 개관을 기념하여 지난 2022년 7월부터 진행된 민주주의 포스터 프로젝트의 결과물이다. 민주주의 포스터 프로젝트는 민주화 운동 및 인권에 관한 작품을 수집·보존하며, 민주주의와 인권 관련 문제를 널리 알리고 공유하고자 기획되었다.

목차

민주주의 씨앗뭉치 | 장문정, 김경원, 강유미

민주: 끊임없는 질문
일상의실천
조나단 반브룩
크리스 버넷
카로 악포키에르
크리스티나 다우라
가스 워커
빅토리아 치혼
디자인 & 피플
프라챠 수비라논트
크리스 리(이정민)
카테리나 코롤레프체바
미콜라 코발렌코
베른하르트 렝거

인권: 모든 사람의 이야기
안마노
디스 애인트 로큰롤(찰리 워터하우스, 클라이브 러셀)
하이 온 타입
마크 고잉
엘리엇 스톡스
에런 니에
굿퀘스천(우유니, 신선아)
이경민(플락플락)
신인아
권민호
이지원(아키타입)
박새한
게릴라 걸즈
애니나 테케프
로시 루즈베하니
멜린다 베크
레이븐
이재영(6699프레스)
윤예지
엘머 소사
루이스 마존
프란체스카 산나
다이애나 에자이타
루카 손치니

씨앗뭉치: 공감과 연대
파흐미 레자
일레인 로페즈
일레인 L
시멘트(박용훈, 양효정)
국지은
오사와 유다이
문상현
골든 코스모스(도리스 프라이고파스, 다니엘 돌즈)
사키 호
세바스티안 큐리
스튜디오 하프-보틀
킴 알브레히트
스튜디오 헤잔느 달 벨로
장문정

폭력과 이를 넘어서는 정의에 관하여 | 정근식
국가폭력의 역사에 대한 시각적 기념, 그 가능성과 한계 | 김상규
군부와 청소년 행동주의: 태국의 경우 | 게이코 세이
프로젝트 중심 민주주의: 민주주의 실험을 위한 디자인 | 에치오 만치니
민주인권 디자인 워크숍

작가 약력
필자 약력

저자소개

정근식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전남대학교 교수를 거쳐 서울대학교 사회학과 교수로 재직했다. 하버드·옌칭연구소, 교토대학, 시카고대학, 타이완 중앙연구원, 베를린자유대학 등에서 방문교수로 활동했다. 한국사회사학회, 비판사회학회, 한국냉전학회, 한국구술사학회 회장을 지냈으며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 위원장, 대통령 소속 친일반민족행위 진상규명위원회 위원,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한국민주주의연구소 소장을 역임했다. 『소련형 대학의 형성과 해체』(2018), 『북한의 대학: 역사, 현실, 전망』(2017), 『냉전의 섬, 금문도의 재탄생』(2016), 『전쟁 기억과 기념의 문화정치: 남북한과 미국ㆍ중국의 전쟁기념관 연구』(2016) 등의 저서와 「On the Ruins: Forgetting and Awakening Korean War Memories at Cheorwon」(2017) 등의 논문이 있다.
펼치기
김상규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디자인학과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함께 연구하고 있다. 의자와 전시를 무척 좋아해서 퍼시스의 디자이너로 다양한 의자를 디자인하기 시작했고 예술의전당 디자인미술관에서 큐레이터로 일한 뒤부터는 <한국의 디자인>, <오래된 미래> 등 흥미로운 주제를 다루는 전시를 기획해 왔다. 공공디자인 프로젝트와 디자인박물관 관련 연구도 꾸준히 해 왔고 현재는 생태 전환 디자인과 사물 연구, 20세기 사회주의 체제의 디자인에 관심을 갖고 있다. 이런 관심을 바탕으로 『의자의 재발견』, 『디자인과 도덕』, 『관내분실: 1999년 이후의 디자인 전시』 등을 쓰고 『사회를 위한 디자인』, 『뉴 큐레이터: 건축과 디자인을 전시하기』 등을 옮겼다.
펼치기
에치오 만치니 (지은이)    정보 더보기
지속가능성을 위한 디자인 분야에서 30년 이상 활동해 왔다. 최근에는 지속가능한 변화의 주요 동인으로 여겨지는 사회적 혁신에 주목하고 있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지속가능성을 위한 사회 혁신 디자인 분야에서 활동하는 디자인 대학들의 국제 네트워크인 DESIS를 설립했다. 현재 DESIS 네트워크의 대표이자 밀라노공과대학교의 명예교수이다. 지난 10년 동안 엘리사바디자인공학스쿨(바르셀로나), 퉁지대학교(상하이), 장난대학교(우시), 런던예술대학교(런던), 케이프페닌슐라기술대학교(케이프타운), 파슨스디자인스쿨(뉴욕) 등 전 세계 여러 디자인 학교에서 객원 교수로 재직했다. 저서로는 『Design, When Everybody Designs』(MIT 출판, 2015), 『Politics of the Everyday』(Bloomsbury, 2019), 『Livable Proximity』(Egea, 2021), 『Plug-Ins: Design for City Making in Barcelona』(Albert Fuster 및 Roger Paez 공저, Elisava and Actar, 2023) 등이 있다.
펼치기
김경원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민주주의 포스터 프로젝트 큐레이터. 그래픽디자이너, 디자인 교육자다. 홍익대학교와 킹스턴대학교(영국)에서 커뮤니케이션디자인을 공부했으며 지난 10여 년간 다양한 매체를 기반으로 타이포그래피, 편집, 아이덴티티 디자인 프로젝트를 수행했다. 현재 동서대학교의 디지털미디어디자인전공 교수로 재직 중이다. 역서로는 『디자이너 주인이 되어라』(2014), 『비주얼 그래머』(2015) 등이 있다.
펼치기
게이코 세이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게이코 세이는 저술가이자 큐레이터로 사회 변화와 창의적 미디어 행동주의에 초점을 두고 활동하고 있다. 일본에서 비디오 큐레이터로 일한 후, 1988년 동유럽의 독립 미디어 및 행동주의를 연구하기 위해 그 지역으로 이주했다. 2002년에는 미얀마에서 영화 교육 프로그램과 와탄 영화제(Wathann Film Festival)를 새롭게 만드는 등, 작업과 연구를 더 먼 동쪽으로 확장하기 위해 동남아시아로 활동 기반을 옮겼다. 기획한 주요 출판물로는 『관료 정치에서 TV 정치로』(Von der Burokratie zur Telekratie, 편집, 독일, 1990)와 『말기의 풍경』(Terminal Landscape,체코, 2004)이 있다. 『도큐멘타 12 매거진』에서 편집자로, <도큐멘타 12 매거진스 프로젝트>에서 지역 코디네이터로 일했다.
펼치기
장문정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민주주의 포스터 프로젝트 감독. 그래픽 디자이너, 비주얼 아티스트,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디자인 교육자로 활동하고 있다. 주요 연구 분야는 시각적 내러티브 시스템, 시각적 개념으로서의 다중성, 타이포그래피의 은유적 모듈, 순차적 색상에 관한 연구이다. 또한 사회문화적 디자인, 미술/디자인 전시를 위한 시각아이덴티티, 편집/미디어디자인 분야에서 활동하면서 SeMA 비엔날레 미디어시티서울 2016 출판물 『그런가요』(2016)와 미국공예협회 출판물 『American Craft Inquiry』(2016-2018)를 디자인 디렉션하였고, 《수퍼서피스》(SuperSurfaces, 2017), 《타이포-헤테로크로니아: 서울-아틀란타》(Typo-Heterochronia: Seoul-Atlanta, 2021) 등의 전시를 기획했다. 최근 엘렌 럽튼(Ellen Lupton)의 저서 『Thinking with Type』(2024)에 필자로서 참여하였다. 현재 미국 조지아주립대학교 라마 도드 예술대학의 그래픽 디자인 교수로 재직 중이다.
펼치기
강유미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민주주의 포스터 프로젝트 큐레이터. 아트선재센터와 아라리오갤러리에서 근무했으며,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인사미술공간에서 IASmedia 프로그램과 저널 『볼』 편집을 담당(2007-2008)했다. 아트 스페이스 풀, 아뜰리에 에르메스, 4회 안양공공예술프로젝트, SeMA 비엔날레 미디어시티서울 2016, 서울미디어시티비엔날레 2018, 서울시립미술관 등의 출판 작업에 참여했다.
펼치기

책속에서



일상의실천은 민중(民)과 권력(主)을 두 개의 포스터로 나눠 이야기한다. 근현대 국가폭력 안에 갇혀 지낸 민중(民)은 건축가 김수근이 설계한 남영동 대공분실의 좁게 나열된 창문의 균일한 배치를 통해 형상화했고, 국가폭력에 저항해 새로운 시대를 맞이하게 된 민중의 권력(主)을 견고한 장벽의 균열로 형상화했다. 두 개의 포스터는 근현대 한국 사회에서 억압받은 민중과 저항으로 쟁취한 권력의 인과성을 상호 반전되는 구도로 설명한다.
일상의실천


나는 언제나 이런 질문을 던졌다. “어째서 우리는 같은 땅에 살면서 이토록 상반된 가치를 추구할 수 있을까?” 그 대답은 아직 찾지 못했지만 이 포스터들을 통해 더 많은 올바른 질문을 던지기를 촉구하고자 한다.
우리는 무엇을 믿는가? 우리는 얼마만큼의 정부를 원하는가? 우리는 누가 우리를 대표하기를 원하는가? 다음 세대를 위한 미래는 어떤 모습이겠는가? 이제 싸움을 멈춰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미래는 없다. 어떻게 하면 양쪽 모두를 위해 더 나은 민주주의를 만들 수 있을지, 공화당과 민주당 모두 민주주의를 똑바로 보고 물어야 한다.
크리스 버넷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910534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