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한국정치사정/정치사 > 한국정치사정/정치사-일반
· ISBN : 9788946065949
· 쪽수 : 224쪽
· 출판일 : 2018-12-31
책 소개
목차
1장_ 한국의 민주화운동과 국제 연대: 방법론적 모색 / 정근식
2장_ 프로테스탄티즘과 민주주의 정신: WCC의 아시아 민주화운동 지원과 국제 연대 / 김학재
3장_ 한국 노동운동의 국제 연대: 민주화, 세계화, 그리고 집합기억과 연대성 / 권영숙
4장_ 민족의 농민에서 세계시민으로: 한국의 농민운동과 ‘농업 개방 반대’의 동아시아 연대 / 주윤정
저자소개
책속에서
1970년대의 사회운동에서 형성된 ‘종교적 외피’론, 1980~1990년대의 ‘민중운동’ 특히 농민운동과 노동운동의 전개 과정, 1990년대의 ‘민중’으로부터 ‘시민’으로의 전환 과정에서 나타나는 국제 연대의 요소들을 아우르면서, 이런 사회운동의 변화를 ‘동아시아 냉전·분단 체제’의 변동이라는 거시적·구조적 변수와 연관 지어 설명하려고 한다. 이런 문제의식은 첫째, 동아시아 냉전의 구조 변동이 한국의 정치나 민주화(운동)에 미친 영향, 둘째, 국내에서 민주화나 민중운동의 형성에 영향을 미친 외국인들의 활동, 그리고 외국에서 민주화운동을 지원한 해외 교포 네트워크나 외국인 또는 국제기구의 영향을 좀 더 적극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는 생각에서 도출되었다.
미국으로부터의 민주주의 촉진 정책은 비록 종교, 학생 네트워크 같은 민간 차원의 상호작용도 있었지만, 주로 정부 차원에서 이루어졌고, 냉전의 군사, 안보 전략의 관점에서 선택적으로 이루어진 특성이 있으며, 아래로부터의 풀뿌리 민주주의보다는 미국 모델의 자유민주주의 체제를 강조하는 형태로 국제적 연대가 이루어졌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임을 위한 행진곡」은 국제 연대운동의 대표적인 ‘상징적 레퍼투아르repertoire’라고 규정할 수 있다. 사회운동론에서는 집합 행위들을 역사적으로 축적되고 사회적으로 공유된, 집합적인 결과물의 목록, 즉 일종의 ‘레퍼투아르’라고 본다. 필자는 집합행위뿐 아니라, 운동과 시위를 표현한 상징화나 수행(퍼포먼스) 등도 사회운동의 레퍼투아르일 수 있다고 보고, 이를 ‘상징적 레퍼투아르’라는 명칭으로 개념화하려고 한다. …… ‘연대’라는 제목으로 동아시아 전역에서 불리는「임을 위한 행진곡」은 제목 그대로 한국 사회운동의 국제 연대 가능성과 지반, 그리고 현재를 조망해볼 수 있는 하나의 거울 사례이다. 이 사례는 사회운동에서 전파와 모방이 어떻게 이뤄지는지를 잘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