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자기계발 > 성공 > 성공학
· ISBN : 9791191056983
· 쪽수 : 280쪽
· 출판일 : 2021-10-07
책 소개
목차
머리말 당신은 지금 날아가는 화살처럼 살고 있는가
제1장 어느 순간에도 정답은 내 안에 있다 - 나를 대하는 태도
아직도 콤플렉스를 감추며 살고 있는가
‘말하는 대로’의 힘은 생각보다 세다
절대 양보해서는 안 될 한 가지
나는 과연 안목을 갖춘 사람인가
마음의 평정을 되찾는 법
이미 알고 있는 것이라도 한 번쯤은 의심하라
밝은 사람 주변에 사람이 모여든다
세상을 흑백이 아닌 회색으로 바라보는 여유
제2장 꿀을 얻으려거든 벌집을 걷어차지 마라 - 타인을 대하는 태도
왜 당신은 도와달라고 말하지 못하는가
어른에게 필요한 관계의 기술
유대감은 어떻게 유지되는가
‘덕분에’라는 말을 늘 기억하라
사소한 선물이 깊은 인연을 만든다
움직이지 않고 얻을 수 있는 건 없다
가까이에 마음에 들지 않는 사람이 있다면
사람과 사람 사이에 거리가 필요한 이유
성숙한 어른의 기본 조건
남의 시간을 생명처럼 아껴라
마음을 얻는 지혜, 경청
타인의 인생을 끼니로 여겨라
진짜 일류는 타인을 모방하며 배운다
어떤 순간에도 잃어선 안 되는 것
타인의 실수에 대처하는 자세
제3장 어른이 되어서도 성장하는 사람들의 비밀 - 세상을 대하는 태도
누군가의 노력이 있었기에 현재의 내가 있다
지금 불행한 사람들에게 보내는 메시지
열 살 아이처럼 실컷 놀아보라
부모님께 고맙다고 말해본 적이 언제인가
한계 없이 세상 모든 것으로부터 배워라
묻는 것은 한때의 수치지만 묻지 않는 것은 일생의 수치다
나만 상처받았다고 생각하는 당신에게
언제 어디서든 자신감이 넘치는 사람들의 비밀
마음을 한곳에 묶어두지 마라
제4장 당신이 몇 살이든 인생은 매일 출발선에 있다 - 미래를 대하는 태도
오랫동안 함께하고 싶은 사람이 되려면
도전에 대한 사람들의 착각
지적 호기심이 즐거운 인생을 만든다
무덤까지 가져가야 할 습관 하나
사람은 적당히 긴장할 때 더 크게 성장한다
하지 않아도 될 일을 일부러 해보라
목표 없는 노력은 결과도 없다
인생에도 에너지 절약이 필요하다
인생은 유한함을 잊지 마라
오늘이 무언가를 시작하기에 가장 빠른 날이다
행운을 놓치지 않는 법
혼자 있는 즐거움을 기꺼이 누려라
상상하는 사람에게는 언젠가 기회가 온다
맺음말 지금 여기를 응시하라
리뷰
책속에서
흔히들 자화자찬하는 사람을 곱지 않은 시선으로 본다. 하지만 본인 입으로 자기 자랑을 한다는 것은 일면 스스로
를 긍정하는 것이니만큼 무작정 나쁘게 볼 일은 아니다. 다른 사람에게 칭찬을 들어도 그것을 강점으로 인식하지 못하는 사람들의 공통점이 바로 이 ‘자기 긍정’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칭찬을 듣고도 겉치레라며 무시해버리면 강점을 발견할 기회를 잃고 만다. 그래서 나는 사람들에게 이렇게 말하곤 한다. “빈말처럼 들려도 누군가로부터 칭찬을 받으면 일단 믿어봅시다.”
- <‘말하는대로’의 힘은 생각보다 세다> 중
자기 자신과 문제가 되는 대상을 분리해야 한다. 누군가에게 “넌 왜 이렇게 소심하니?”라는 말을 들으면 비난을 들은 것 같아 화가 난다. 그러면서도 ‘나는 왜 이렇게 소심하지’라며 자책한다. 상대가 한 비난과 자신을 동일시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 비난은 상대의 생각이지 내 것이 아니며 그 자체로 내가 되는 건 더더욱 아니다. 타인의 과제를 내 것으로 가져와 타인의 기대를 충족시키려 애쓸 필요도 없고, 타인의 과제에 개입하면서 타인에게 어떤 기대를 하거나 집착하는 것도 하지 말아야 한다.
- <마음의 평정을 되찾는 법> 중
현실에서 벌어지는 대다수의 문제는 법원에 가져가 시시비비를 가릴 수 없는 것들이다. 또한 모든 문제에 흑백논리를 들이대 선 아니면 악이라는 식으로 판단을 내리는 것도 불가능하다. 이 세상에는 흑백논리로 판단할 수 없는, 즉 선과 악의 양극단에 속하지 않는 문제가 훨씬 더 많은 법이다. 따라서 흑백논리에 집착하면 인간관계에 균열이 생길 수밖에 없다. 어른이라면 양극단의 편협한 시각에서 벗어나 이 세상에는 회색의 문제도 많다는 것을 받아들여야 한다
- <세상을 흑백에 아닌 회색으로 바라보는 여유>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