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신유물론

신유물론

(인터뷰와 지도제작)

릭 돌피언, 이리스 반 데어 튠 (지은이), 박준영 (옮긴이)
교유서가
2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9,800원 -10% 0원
1,100원
18,700원 >
20,900원 -5% 0원
카드할인 10%
2,090원
18,81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6,500원 -10% 820원 14,030원 >

책 이미지

신유물론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신유물론 (인터뷰와 지도제작)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서양철학 > 현대철학 > 현대철학 일반
· ISBN : 9791191278705
· 쪽수 : 328쪽
· 출판일 : 2021-10-04

책 소개

우리 시대의 탁월한 철학자들의 공동 저작이다. 1부는 신유물론의 최초 세대인 로지 브라이도티, 마누엘 데란다, 카렌 바라드, 사변적 유론자인 퀑탱 메이야수와의 인터뷰를 담고 있으며, 2부는 편저자인 릭 돌피언, 이리스 반 데어 튠의 논문이 실려 있다.

목차

옮긴이 서문
편저자 서문

I. 인터뷰들
1장. 로지 브라이도티와의 인터뷰
2장. 마누엘 데란다와의 인터뷰
3장. 카렌 바라드와의 인터뷰
4장. 퀑탱 메이야수와의 인터뷰

II. 지도제작
서론: 사유의 ‘새로운 전통’
5장. 신유물론의 횡단성
6장. 이원론을 극단으로 밀어붙이기
7장. 성적 차이화(Sexual Differing)
8장. 남(여)성의 종말

감사의 말
참고 문헌
옮긴이 해설: 신유물론: 들뢰즈‘의/이후’ 유물론
부록: 용어해설

저자소개

이리스 반 데어 튠 (지은이)    정보 더보기
네덜란드 위트레흐트대학 미디어문화연구학과 젠더학 조교수이다. 2011년에서 2012년까지 하버드대학 역사학부 객원연구원이었다. 〈히파티아: 페미니즘 철학 저널Hypatia: A Journal of Feminist Philosophy〉 〈오스트레일리아 페미니즘 연구Australian Feminist Studies〉 〈유럽 여성학 저널European Journal of Women’s Studies〉 〈국제 여성학 포럼Women’s Studies International Forum〉 등에 신페미니즘 유물론에 관한 글을 쓰고 있다.
펼치기
릭 돌피언 (지은이)    정보 더보기
네덜란드 위트레흐트Utrecht 대학교의 조교수이자 홍콩 대학교 명예 교수(2017-2023)이며, 스페인 바르셀로나 대학교에서 방문 교수직(2019-2020)을 역임했다. 저서로는 《Foodscapes: towards a Deleuzian Ethics of Consumption》(2004), 《신유물론─인터뷰와 지도제작 New Materialism: Interviews and Cartographies (with Iris van der Tuin)》(2012), 《Michel Serres and the Crises of the Contemporary》(2018)가 있다. 편저로는 《This Deleuzian Century: Art, Activism, Life(with Rosi Braidotti)》(2014), 《Philosophy After Nature》(2017)가 있다.
펼치기
박준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수유너머 파랑’ 연구원, 현대철학 연구자. 동국대학교 불교학과를 졸업하고 서강대학교 대학원 석·박사 과정에서 프랑스철학을 공부했다. 현재 서울과학기술대학교와 성신여자대학교에서 철학과 현대 문화론을 가르치고 있다. 최근에는 신유물론에 관심을 두고 번역과 연구를 하면서 강의하고 있다. 육후이의 기술철학 그리고 불교철학과 현대서양철학의 관계도 연구 대상이다. ≪철학, 개념: 고대에서 현대까지≫, ≪신유물론, 물질의 존재론과 정치학≫을 썼으며, ≪신유물론: 몸과 물질의 행위성≫, ≪K-OS≫, ≪욕망, 고전으로 생각하다≫, ≪사랑, 고전으로 생각하다≫ 등을 함께 썼다. 번역서로는 ≪신유물론: 인터뷰와 지도제작≫, ≪신유물론 패러다임≫(공역), ≪해석에 대하여: 프로이트에 관한 시론≫(공역)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이 책은 『New Materialism: Interview & Cartographies』의 완역이며, ‘신유물론’(New Materialism)이라는 제목으로 한국에서 발간되는 최초의 번역물이다. 돌이켜 보면, 들뢰즈, 데리다, 푸코 이후 수많은 문헌들이 출간된 것 같다. 그 많은 책들이 가리키는 철학의 출구 내지 해방구는 어디일까? 심지어 철학은 ‘비철학’으로 선언되기도 한다. 이것은 이상한 시대의 광증일까? 그렇다면 반가운 일이다. 왜냐하면 그 광증으로부터 새로운 결실이 맺어질 것이기 때문이다. _옮긴이 서문에서


이 책은 여러 해 동안의 진지한 협력의 결과물이다. 우리는 이 책을 통해 신유물론의 개방적인 지도제작을 목표로 했으며, 이로써 사유의 이 새로운 전통을 근본적으로 탐구하고, 잠재적으로 실행될 수 있는 모든 것을 포함하는 데 주안을 두었다. _편저자 서문에서


메타방법론의 혁신으로서, 주체에 관한 구체화되고 착근된 페미니즘 유물론 철학의 분야는 보편주의와 이원론 둘 모두와 단절합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912787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