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서양철학 > 현대철학 > 현대철학 일반
· ISBN : 9791191278705
· 쪽수 : 328쪽
· 출판일 : 2021-10-04
책 소개
목차
옮긴이 서문
편저자 서문
I. 인터뷰들
1장. 로지 브라이도티와의 인터뷰
2장. 마누엘 데란다와의 인터뷰
3장. 카렌 바라드와의 인터뷰
4장. 퀑탱 메이야수와의 인터뷰
II. 지도제작
서론: 사유의 ‘새로운 전통’
5장. 신유물론의 횡단성
6장. 이원론을 극단으로 밀어붙이기
7장. 성적 차이화(Sexual Differing)
8장. 남(여)성의 종말
감사의 말
참고 문헌
옮긴이 해설: 신유물론: 들뢰즈‘의/이후’ 유물론
부록: 용어해설
주
리뷰
책속에서
이 책은 『New Materialism: Interview & Cartographies』의 완역이며, ‘신유물론’(New Materialism)이라는 제목으로 한국에서 발간되는 최초의 번역물이다. 돌이켜 보면, 들뢰즈, 데리다, 푸코 이후 수많은 문헌들이 출간된 것 같다. 그 많은 책들이 가리키는 철학의 출구 내지 해방구는 어디일까? 심지어 철학은 ‘비철학’으로 선언되기도 한다. 이것은 이상한 시대의 광증일까? 그렇다면 반가운 일이다. 왜냐하면 그 광증으로부터 새로운 결실이 맺어질 것이기 때문이다. _옮긴이 서문에서
이 책은 여러 해 동안의 진지한 협력의 결과물이다. 우리는 이 책을 통해 신유물론의 개방적인 지도제작을 목표로 했으며, 이로써 사유의 이 새로운 전통을 근본적으로 탐구하고, 잠재적으로 실행될 수 있는 모든 것을 포함하는 데 주안을 두었다. _편저자 서문에서
메타방법론의 혁신으로서, 주체에 관한 구체화되고 착근된 페미니즘 유물론 철학의 분야는 보편주의와 이원론 둘 모두와 단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