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지구와 물질의 철학

지구와 물질의 철학

릭 돌피언 (지은이), 우석영 (옮긴이)
산현재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8,000원 -10% 0원
1,000원
17,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지구와 물질의 철학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지구와 물질의 철학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서양철학 > 현대철학 > 현대철학 일반
· ISBN : 9791198084613
· 쪽수 : 216쪽
· 출판일 : 2023-04-17

책 소개

신유물론, 포스트휴머니즘, 에코페미니즘 진영의 연구자 릭 돌피언의 작품. 스피노자, 질 들뢰즈, 미셸 세르, 카렌 바라드 등을 안내자 삼아 저자는 근대 이래 서양철학의 기본틀이 돼온 휴머니즘, 이분법, 상관주의를 거부하고 그것과 격절하는 지구철학과 물질철학을 전개한다.

목차

추천사
감사의 말

1부 저류 상상하기

어디로 흘러갈지는 모르지만, 어디에서 시작할지는 알고 있다
데카르트주의의 역사는 비판의 역사
왜 오늘의 세계는 지금 다른 방식의 생각하기를 요청하나?
휴머니즘 다시 쓰기
중요한 것은 상상─상상이 모든 것을 길러낸다

2부 이것은 지구가 아니야!

철학자는 기하학자다
무인도
지구의 병리학자들
목표물이 된다는 것

3부 나는 무언가를 볼 수 있다

나는 사람이 아니야, 알겠니?
그늘 속 그늘
우리 시대의 균열
상처─나는 상처를 몸에 구현하려고 태어났다

4부 기하학자여, 새로운 지구를 보여주시길

기하학자는 비판을 넘어서 물리학에서 시작한다
기하학자의 제 1공리: 신체는 접히는 것이다
기하학자는 야생적이고, 불규칙하고, 살아있는 것의 지도를 그린다
기하학자는 어떻게 예술이 대상물화하는지를 그려낸다
지구─당신은 어디에나 있다

참고문헌

저자소개

릭 돌피언 (지은이)    정보 더보기
네덜란드 위트레흐트Utrecht 대학교의 조교수이자 홍콩 대학교 명예 교수(2017-2023)이며, 스페인 바르셀로나 대학교에서 방문 교수직(2019-2020)을 역임했다. 저서로는 《Foodscapes: towards a Deleuzian Ethics of Consumption》(2004), 《신유물론─인터뷰와 지도제작 New Materialism: Interviews and Cartographies (with Iris van der Tuin)》(2012), 《Michel Serres and the Crises of the Contemporary》(2018)가 있다. 편저로는 《This Deleuzian Century: Art, Activism, Life(with Rosi Braidotti)》(2014), 《Philosophy After Nature》(2017)가 있다.
펼치기
우석영 (옮긴이)    정보 더보기
지구철학 연구자. 작가. 포스트휴먼 지구철학, 돌봄, 탈성장, 포스트휴먼 예술 등 관심사가 난잡하다. 산행과 책으로의 산행을 즐기며 지낸다. 한신대 생태문명원(연구위원), 생태적지혜연구소(학술위원) 등에서 활동하고 있다. 《기후 돌봄》(공저), 《기후위기행동사전》(공저), 《불타는 지구를 그림이 보여주는 것은 아니지만》, 《걸으면 해결된다 Solvitur Ambulando》(공저), 《낱말의 우주》 등을 썼다.
펼치기

책속에서

나의 성찰은 스피노자, 질 들뢰즈, 미셸 세르Michel Serres의 사상과 강하게 뒤섞이는데, 그건 내가 보기에 이들이 나의 신유물론적, 포스트휴머니스트적, 에코페미니스트적 동맹들의 사상과 가장 잘 공명하기 때문이다.


스피노자에게 하나로서 기능하는 것이라면, 자기 존재를 보존하려는 목표를 지닌 것이라면, 그것이 무엇이든 개체일 수 있다는 것을 기억해두자.
이 개체는 어떤 한 인간일 수도, 인간 집단일 수도 있다. 그것은
하나의 구름, 섬, 경계면이나 생태계일 수도 있다.


콘이 암시하는 것은 정확히 로지 브라이도티(2019)가 내내 강조하고 있는 것이다─‘선주민의 지식’과 그것이 데카르트적 인간중심주의에 제공하는 대안들은
우리의 과거로 여겨져서는 안된다는 것, 그것들이 우리의 미래라는 것.
우리에게 가능한 유일한 미래, 라고 나는 덧붙이고 싶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