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경제학/경제일반 > 경제사/경제전망 > 세계 경제사/경제전망
· ISBN : 9791191393606
· 쪽수 : 360쪽
· 출판일 : 2022-03-09
책 소개
목차
서문 메타버스에 대한 다양한 시선
1장. 메타버스, 어디까지 왔나: 메타버스 개론
이제껏 없던 새로운 세상이 열린다
1. 동굴벽화에서 메타버스까지
인류의 시작부터 함께한 메타버스의 역사 | 원광연
2. 메타버스가 다시 돌아오고 있다!
메타버스에서 포스트 메타버스로 | 우운택
2장. 현실과 가상의 경계를 넘나들다: 메타버스와 공간
물리적인 한계를 뛰어넘은 공간
3. 우리는 이미 현실과 가상이 공존하는 도시에 살고 있다
Virtual Placemaking Urban Informatics | 이지현
4. 메타버스에서 나는 어떤 집에 살까
메타버스와 건축디자인 | 차승현
5. 메타버스가 공존하는 스마트 도시 공간
Urban Space Robot | 이동만
3장. 누구나 원하는 대로 존재할 수 있는 세계: 콘텐츠 창작과 향유
창작과 향유의 패러다임이 변화하다
6. 배우지 않고도 창작할 수 있는 세계
콘텐츠 생성과 향유 방식의 변화 | 노준용
7. 인간은 본질적으로 놀이를 원한다
메타버스와 디지털 커뮤니케이션의 미래 | 시정곤
4장. 진짜 같은 가상 현실, 아바타는 진짜 나일까?: 아바타와 소통
아바타로 세상과 소통하는 시대
8. 인간은 아바타로 불멸의 존재가 될까
아바타 기술의 현재와 미래 | 이성희
9. 메타버스에서 악수하기
메타버스에서의 인터랙션 | 윤상호
10. 아바타는 나처럼 느끼고 행동할 수 있을까
메타버스와 인지신경과학 | 이정미
11. 아바타는 어떤 목소리로 말하게 될까
메타버스와 음성언어 | 송지은
5장. 우리는 어떻게 나아가야 할까: 메타버스에 대한 고찰
메타버스는 현실이 아니다 새로운 가능성을 가진 도구일 뿐
12. 포스트 메타버스가 인간에게 약속해 줄 수 있는 것
포스트 메타버스 공간의 물리학적 고찰 | 박주용
13. 만들어진 사회와 정체를 드러낸 현실
메타버스가 만드는 새로운 세계에 대한 단상 | 이원재
6장. 무궁무진한 잠재력을 가진 메타버스: 메타버스의 확장성
메타버스는 대안이 될 수 있을까
14. 메타버스로 연결되는 문화유산 경험
시간을 넘어 공간으로 확장하는 문화유산 | 안재홍
15. 메타버스, 누구나 탈 수 있나요?
메타버스의 장애인 접근성과 확장성 | 도영임
16. 달을 볼 수 있는 최초의 망원경을 만나다
인문학, 디지털 인문학, 그리고 메타 인문학 | 이은수
7장. 전에 없던 새로운 감각: 메타버스와 예술
기술과 예술이 결합될 때
17. 음악은 ‘듣는 것’이 아니라 ‘하는 것’이다
메타버스에서 음악하기 | 이경면
18. 아바타 가수와 AI 피아노가 들려주는 음악
음악 공연 기술의 미래 | 남주한
19. 그 어디에 있는, 그 어디에도 없는 공간
메타버스 시대의 뉴미디어 아트 | 이진준
저자소개
책속에서
우리가 새로운 기술을 통해 역량을 확대해 온 것처럼 메타버스도 역량 확장 도구로 활용해야 한다. 메타버스라는 새로운 세계와 관련 기술이 사람과 사회의 능력을 확장하는 도구로 정착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사회적으로 합의해야 하는 더 중요한 부분이 숙제로 남아있다. 메타버스를 활용하는 사람이 기술에 종속된 아바타로 전락하지 않도록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메타버스를 일상으로 활용하는 증강도시의 시민은 행복할 것인가. 이 기술이 사람을 위해서 쓰이지 않는다면 오히려 사람들은 여전히 스마트폰을 벗어나지 못한 채 기계나 인공지능에게 밀려나는 일상을 살게 될 수도 있다. 그래서 경제적 가치와 사회문화적 가치 사이의 조화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일상의 일부분이 될 메타버스가 사람이나 사회의 능력을 확장하는 도구로써 사용되도록 해야 한다.
- 메타버스가 다시 돌아오고 있다!
장소성 연구는 공간이 지닌 여러 의미를 발견하고 지속적으로 학습하여 사람들이 원하는 공간에 최적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메타버스와 결합하게 되면 새로운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첫 번째로 그 공간이 어떤 형태로 활용되는지를 이해해야 한다. 주말에 사람이 모이는 곳인지, 모여서 사회적인 행위를 하는 곳인지, 혹은 주로 어떤 놀이를 하는 곳인지 등 물리적인 공간에 축적된 다양한 의미를 발굴해야 한다. 두 번째는 현실 세계에 모여있는 사람들에게 어떤 장소성이 이 사람에게 가장 맞는 것인지 실시간 공간 의미를 추론할 수 있어야 하며, 마지막으로 그 내용에 따라 다양한 의미의 공간을 재구성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 메타버스가 공존하는 스마트 도시 공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