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기업 경영 > 경영전략/혁신
· ISBN : 9791191517668
· 쪽수 : 232쪽
· 출판일 : 2024-02-10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 ESG와 이해관계자 자본주의 시대의 개막
제1장 수술대에 오른 주주자본주의
이젠 ESG 경영 시대
바이든, “주주자본주의 끝내겠다!”
프리드먼 독트린
신자유주의가 남긴 상처들
‘분기 자본주의(Quarterly Capitalism)’의 그늘
제2장 이해관계자 자본주의의 부상
미국 재계의 이해관계자 자본주의 선언
90년간의 논쟁
다보스 선언도 ‘이해관계자 자본주의’
제3장 ESG와 이해관계자 자본주의
모범적인 사례들
국내 기업의 움직임은?
이해관계자 자본주의와 ESG
이해관계자 자본주의의 측정(SCM)
제4장 자본주의 혁신을 위한 실행 과제
해결해야 할 과제들
역풍 앞에 선 빅테크
팬데믹과 자본주의 개혁
재택근무의 양극화
모두가 아픈 시대, 팬데믹 흉터 효과
제5장 ESG의 확산
중장기 기업가치 올리는 ESG
파타고니아의 ESG 경영
탄소국경조정제도 채찍 꺼내든 EU
그린혁신의 가속화
일상 속 ESG 실천
에필로그 – 자본주의의 미래
저자소개
책속에서
관점을 바꾸면 ESG는 기업 스스로 리스크를 줄이고, 새로운 성장 기회를 포착하는 기회가 될 수 있다. 다양한 연구 결과를 보면 환경과 사회, 지배구조에서 좋은 점수를 받은 기업은 경영 성과도 더 좋은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2,200개에 이르는 기존 연구 사례를 종합 분석한 한 연구는 ESG가 재무 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주고 이는 장기간에 걸쳐 안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히고 있다. MSCI는 ESG 관리 수준이 높은 기업은 위험도가 낮아 수익성도 높고 기업 가치 평가도 더 양호하다고 평가했다.
<프롤로그>에서
ESG에 대한 논의는 최근 본질적으로 국면이 달라진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두드러진 변화는 그동안은 ESG를 왜 해야 하는지, 즉 ‘Why’에 대한 논의가 활발했다면 이제는 ESG를 어떻게 실행에 옮기고 구체적인 성과를 낼지, 즉 ‘What & How’로 논의의 초점이 옮겨갔다는 점이다. 이에 따라 ESG 경영 논의의 폭이 넓어지면서 심도(深度)도 깊어지고 있다. ESG 변화의 핵심은 가속화하고 있는 제도화이다. 기후공시, 공급망 대응 등 기업들이 실제로 대응해야 할 일들이 많아지고 있다.
<제1장 수술대에 오른 주주자본주의>에서
2019년에 큰 변화가 일어났다. 미국 재계 단체인 비즈니스라운드테이블(BRT)은 이때 그동안 유지해온 주주 우선주의 중심의 기업지배구조 원칙을 크게 개편한 새로운 원칙을 내놓았다. BRT는 2019년 8월 기업의 목적은 고객, 근로자, 거래기업, 지역사회, 주주 등 모든 이해관계자에게 봉사하는 것임을 선언했다. 이 내용에 중요한 변화가 포함돼 있다. 가장 눈여겨봐야 할 것은 기업이 중시해야 할 이해관계자 중 주주의 순위가 맨 앞에서 맨 뒤로 밀렸다는 점이다. 대신 고객을 맨 선두에, 근로자를 두 번째에 세웠다. 20여 년 동안 신자유주의의 기본 틀이 돼온 주주 우선주의에 대해 CEO들이 종지부를 찍고 이해관계자 자본주의를 선언한 것으로 큰 의미가 있다
<제2장 이해관계자 자본주의의 부상>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