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평화를 주소서

평화를 주소서

이기헌 (지은이)
가톨릭동북아평화연구소
1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6,200원 -10% 0원
900원
15,3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27개 1,96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평화를 주소서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평화를 주소서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가톨릭 > 가톨릭 문학
· ISBN : 9791192063041
· 쪽수 : 362쪽
· 출판일 : 2023-10-06

책 소개

천주교 의정부교구장 이기헌 주교가 은퇴를 기념하여 그동안 써 온 평화 순례기와 평화 메시지를 모은 책이다. 이 책 제1부에는 그가 동북아 평화와 민족 통일에 대한 열망을 품게 만든 동북아 4개국 순례기가 담겨 있다.

목차

추천사 · 004
간행사 · 008
책을 펴내며 · 016
지난 세월을 돌이켜보며 · 021

제1부 평화순례

제1장 중국
34년 전, 처음 동포들을 만났던 감동과 추억들 · 036
34년 전 기록들 · 041 | 처음 중국 땅을 밟다 · 041
중국에서 맞은 둘째 날 · 043 | 중국 성당에서 미사에 참례하다 · 044
연길행 비행기를 타다 · 048 | 송강으로 가며 본 풍경들 · 050
백두산의 원시림과 쭉쭉 뻗어 있는 길 · 056 | 해란강이 있는 용정을 가다 · 059
연길 성당에서 목이 쉬어라 우리말 성가를 함께 부르다 · 064
조선 중학교를 방문하다 · 068 | 김대건 신부님께서 첫 미사드린 곳을 가다 · 069

제2장 일본
가깝고도 먼 나라에서 만난 민족의 상처 · 076
일본에서 쓴 사목 단상들 · 081 | 이방 속의 한국, 한인 성당 · 081
향수병 전문의 · 083 | 한 지방 두 살림의 조화 · 087
타향 같은 고향 · 091 | 기도, 화해, 일치에 인색함을 반성하자 · 094
해방 50년을 맞는 한국과 일본 · 097 | 종군 위안부 앞에 일본 정부는 ‘벽창호’ · 101
뉴스마다 ‘북한 핵’ - ‘한복 수난’ · 104
묵주 100개 선물 “너무 고맙다” 북한 천주교인 대표단 방일 이모저모 · 109
고베의 폐허 속에 교회는 한 줄기 희망 · 112
30년 만에 다시 떠난 일본 평화 순례 · 114 | 조선인 마을 · 116
조선학교 · 117 | 조세이 탄광 수몰지 사고 현장 · 120
히로시마 방문 · 122

제3장 사할린
동토(凍土)에서 지킨 신앙 · 128 | 동양인은 모두 우리 동포 · 130
동포 집 응접실에서 여장을 풀다 · 134 | “고향 사람 좀 보자” 문전 성시 · 139
이것은 틀림없는 은총이다 · 141

제4장 북한
나의 고향, 우리의 반쪽 · 148 | 나의 고향 평양 · 148
처음으로 하는 북한 방문 · 153 | 대련에서 순안까지 · 153
평양 거리를 달리며 · 156 | 가까이서 만난 사람들 · 158
거리의 인상 · 162 | 없는 게 너무 많은 나라 · 168
지방 길을 달리며 · 171 | 그리운 금강산 · 175
장충 성당에서 · 179 | 다시 또 하고 싶은 이야기 · 185
우리 가족 이야기 · 189 | 17년 만에 다시 찾은 평양, 세 번째 방문 · 195
17년 만에 만난 북한 신자 대표들 · 197 | 시설 방문과 밤 9시 기도 · 199
장충 성당에서 드린 미사 · 201 | 결실과 과제 · 203

제2부 평화 메시지

제1장 강론
‘한국전쟁 정전협정 70년’ 한반도 평화 기원 미사 · 210
‘주교 영성 모임’ 미사 · 218 | ‘한일 여자 수도자 장상 총회’ 미사 · 223
2023년 세계평화의 날 미사 · 227 | 민족의 화해와 일치를 위한 미사 · 233
JSA 성당 봉헌식 축사 · 238 | 남북 정상회담 성공 기원 미사 · 241
6월에 북녘의 교회를 생각하며 · 246 | 설맞이 이산가족 위령미사 · 250
‘적군 묘지’ 미사 · 254 | 민족화해센터 봉헌 미사 · 259
통일 전망대 성모의 밤 · 265

제2장 강연
한반도 평화를 위한 한미 주교회의 간 협력 · 272
끝나지 않은 전쟁 · 281 | 그리스도인들의 평화와 화해의 임무 · 294
2019년 한반도 평화를 위한 호소문 · 304 | 평양 장충 성당과 북녘 신자들 · 310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진 북한 신자들의 세례 · 313

제3장 인터뷰
‘DMZ 평화의 상’ 수상 소감 · 326
6・25전쟁 발발 70주년 기념 인터뷰 · 330
2018 남북 정상회담의 성과와 한계 · 340
제4장 평화 단상
밤 9시 기도는 계속됩니다 · 348
빨간색의 편견을 지우며 평화의 여정에 함께합시다 · 352
종군 위안부, 김군자 할머니 · 356

이기헌 베드로 주교 약력 · 361

저자소개

이기헌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47년 평양 출생. 1973년 가톨릭대학교 신학부를 졸업하고 1975년 사제품을 받았다. 1999년 군종교구장으로 임명되어 주교품을 받았다. 2010년 의정부교구장으로 전보되었다. 2012년부터 2012년까지 주교회의 민족화해위원회 위원장을, 2021년부터 주교회의 민족화해주교특별위원회 위원장을 맡아 왔다.
펼치기

책속에서

내가 우리 민족과 한반도 평화에 대해 다른 사람보다 더 많이 생각하며 살 수 있게 되었던 것은 우리 가족이 겪은 이러한 6・25전쟁과 분단 체험의 영향이 컸습니다. 그러나 이보다 더 컸던 것은 전쟁과 분단이 만든 적대감과 분열이 남북뿐 아니라 우리 사회 전체의 성장에 걸림돌과 족쇄 역할을 하고 있다는 깨달음이었습니다. 이에 못잖게 내가 우리 민족의 아픔을 느끼고 민족화해와 한반도 평화에 관심을 갖게 해준 것은 신부가 되고 나서 하게 된 사목 체험이었습니다.
- “책을 펴내며”


의정부교구장 직무 외에 나는 주교회의 민족화해위원장을 꽤 오랜 기간 맡았습니다. 정권이 바뀔 때마다 달라지는 대북정책 때문에 분위기가 달라지는 어려움은 있지만 이런 변화에도 변함없이 할 수 있는 일이 ‘기도 운동’이고 ‘화해와 평화를 위한 교육’임을 실감하였습니다. 그래서 시작하게 된 것이 밤 9시 ‘한반도 평화를 위한 주모경 바치기’ 운동과 본당에 ‘민족화해분과’를 설치하여 신자들이 일상적으로 민족화해와 일치를 위해 기도하고 평화 여정에 함께 하도록 하는 일이었습니다. 다행히 김수환 추기경님께서 ‘민족의 화해와 일치’를 위해 지은 ‘참회와 속죄의 성당’과 ‘민족화해센터’가 우리 교구 안에 있어 여러 관련 활동을 할 수 있었던 일은 교구장인 나에게는 큰 축복이었습니다.
- “지난 세월을 돌이켜보며”


금산이가 찾아와 각별한 인사를 나눴다. 짧은 기간이었지만 정이 많이 들었는가 보다. 금산이를 통해 우리 민족의 모습을 많이 엿볼 수 있었고, 공산주의, 사회주의 속에서 제대로 자란 한 인간의 모습과 고뇌를 느낄 수 있었다. 종교에 대한 이야기를 많이 나눴는데 그가 특별히 나에게 신앙에 대한 긍정적인 말을 못해 맘에 걸렸는지 그는 “많은 변화된 느낌, 좋은 느낌은 있었고 종교에 대한 매력은 있지만 이곳에 발붙여 살기 위해 나는 아직 종교를 가질 수 없다”고 하였다. 그래서 미안하다는 말을 내게 진지하게 하였다. 그가 공산당원임을 밝히면서…. 그러나 하나도 놀랍지 않았다.
- “중국 방문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