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정의와 공정 2

정의와 공정 2

(키워드 한국 공론장)

김비환, 양재진, 박준식, 이준웅, 송지우 (지은이)
나남출판
1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6,200원 -10% 0원
180원
16,020원 >
17,100원 -5% 0원
0원
17,1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정의와 공정 2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정의와 공정 2 (키워드 한국 공론장)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학 일반
· ISBN : 9791192275215
· 쪽수 : 224쪽
· 출판일 : 2024-12-10

책 소개

최근 한국 사회의 화두를 집약하는 키워드를 추리고, 키워드가 한국 사회에서 활용되는 방식 등을 살펴 공론장의 바람직한 의사소통이 일어나도록 이끈다. 2024년 한국 공론장의 핵심 키워드 ‘정의와 공정’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합리적 의사소통을 활성화하기 위해 한림대 도헌학술원에서 기획한 ‘키워드 한국 공론장’ 강연을 바탕으로 집필되었다.

목차

서문 5

1장 자유/자유주의란 무엇인가?: 사회구성주의적 이해 김비환
1. 자유에 대한 사회구성주의적 이해 19
2. 정치적 자유에서 비정치적 자유로 21
3. 근대적 자유 개념의 형성 배경 24
4. 홉스의 자유 개념과 자유주의 정신 27
5. 로크의 자유 개념과 자유주의 29
6. 루소의 자유 개념 30
7. 프랑스 자유주의 전통: 몽테스키외, 콩스탕, 토크빌 32
8. 계몽주의에 대한 낭만주의의 반발 35
9. 낭만적 자유주의: 훔볼트와 밀 40
10. 뉴딜과 냉전 이후 자유주의/자유의 분화 46
11. 결론: 자유와 정의 49

2장 복지란 무엇인가?: 1·2차 보편복지 논쟁을 통해 본 복지의 참뜻 양재진
1. 서론 55
2. 복지의 탄생 57
3. 1차 보편복지 논쟁: 무상급식 63
4. 2차 보편복지 논쟁: 기본소득 73
5. 결론 85

3장 사회적 협치와 공정의 균형 찾기: 최저임금위원회의 경험을 중심으로 박준식
1. 문제 제기 89
2. 협치의 딜레마: 충돌하는 공정성 요구와 공정의 균형 95
3. 협치의 진화 103
4. 최저임금과 협치: 공정의 균형 찾기 110
5. 결론 133

4장 한국 사회 소통비판을 위한 공론장 개념의 재구성 이준웅
1. 문제 제기: 왜 비판이 통하지 않는가 139
2. 이 모든 게 공론장이라면 145
3. 공론장에 대한 비판론 153
4. 공론장의 경험적 재구성 158
5. 공론장 이념의 규범성 168
6. 한국 사회 소통현실에 대한 규범적 비판 173

5장 인권: 우리 시대의 정치도덕 송지우
1. 인권의 정치적 배경 181
2. 인권의 개념 185
3. 인권의 내용: 어떤 권리가 인권인가? 189
4. 인권과 인권 의무: 인권의 의무 주체는 누구인가? 191
5. 인권은 정말 보편적인가? 194
6. 인권은 위선인가? 억압인가? 197
7. 인권은 쓸모 있는가? 199
8. 인권과 인권, 인권 대 인권 204
9. 인권은 가변적인가? 206
10. 인권의 미래 209

저자 소개 214

저자소개

김비환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성균관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영국 케임브리지대학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1997년부터 2023년까지 성균관대학교 정치외교학과에 재직하였고, 현재는 명예교수로서 현대 정치사상과 민주주의 이론을 강의하고 있다. 쓴 책으로는 『사유재산의 정치철학』, 『개인적 자유에서 사회적 자유로』 등 다수가 있다.
펼치기
이준웅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에서 대인소통 전공으로 석사학위를 받고, 미국 펜실바니아 대학의 애넨버그 학교에서 정치소통을 연구했다. 현재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에서 가르치고 있다. 주요 저서로《말과 권력》(한길사, 2011)이 있고, 한국 언론에 대한 논문으로《비판적 담론 공중의 등장과 언론에 대한 공정성 요구》, 《한국 언론의 경향성과 이른바 ‘사실과 의견의 분리’》, 《소통은 진리를 위한 것인가》, 《디지털 뉴스 시대의 언론윤리》, 《민주화 이후 한국 언론의 과제》 등이 있다.
펼치기
양재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행정학과 교수. 2023년 대한민국학술원상 수상. 연세대학교 행정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럿거스대학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행정학회 편집위원장, 한국사회보장학회장, 연세대학교 김대중도서관장 등을 역임했다. 주요 연구 분야는 복지국가, 발전국가, 정부학이다. 한국정치학회 학술상(2013), 한국정치학회 인재저술상(2017), 아시아행정학회 아키라 나카무라 최우수논문상(2019) 등을 수상했다. 주요 저서로 《복지의 원리》, 《The Political Economy of the Small Welfare State in South Korea》(영국 케임브리지대학 출판부), 《복지국가의 조세와 정치》 등이 있다.
펼치기
박준식 (지은이)    정보 더보기
2019년 현재 한림대학교 사회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연세대학교 사회학과에서 사회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연구 분야는 산업 발전, 지역사회, 공동체, 노동체제이다. 주요 저서로 <글로벌 시대의 체제 전환>, <자동차산업의 구조조정과 고용관계 변화의 국제비교>, <생산의 정치와 작업장 민주주의> 등 다수의 책과 논문이 있다. 최근에는 4차 산업혁명과 노동 및 고용문제, 노동체제의 전환 등과 관련해 활발한 공동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펼치기
송지우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국 하버드대에서 철학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서울대 정치외교학부 교수이다.
펼치기

책속에서

노직과 같은 자유지상주의자처럼 자유를 불간섭이라는 소극적 의미로 규정해 보자. 이 경우 자유주의적 정의 원칙은 개인에게 최대한 평등한 (소극적) 자유를 보장해 주어야 한다는 원칙을 제 1원칙으로 채택하고 … 롤스나 민주주의자처럼 자유의 핵심을 자율성 혹은 자결이라고 정의해 보자. 그러면 정의의 원칙은 개인이 최대한의 자율성을 누릴 수 있도록 권리와 자유를 ‘동등하게’ 보장해 주어야 한다.(평등한 자유의 원칙) (1장, 자유/자유주의란 무엇인가?)


기본소득이 전 국민을 지급 대상으로 하기에 ‘보편적’이라는 수식어를 붙이지만, 기존 복지의 할당 원리 중 하나인 보편주의와는 성격이 질적으로 다르다. 기존 복지의 보편주의와의 차이는 ‘사회적 위험’이나 ‘욕구’를 먼저 따지는지 아닌지에 달렸다. (2장, 복지란 무엇인가?)


협치는 이론보다 실천이 훨씬 어렵다. … 이해 당사자가 사회적 협치와 숙의를 진행할 협상 공간을 폭넓게 허용하는 것은 우리나라 최저임금제도의 중요한 특징이다. … 사회적 공론과 협상 공간이 존재한다는 사실이 우리나라 최저임금제도의 유연성과 불확실성을 동시에 규정한다. (3장, ‘사회적 협치와 공정의 균형 찾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