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동양철학 일반
· ISBN : 9791192376011
· 쪽수 : 448쪽
· 출판일 : 2022-04-14
책 소개
목차
§ 머리말 009
1장 개개인의 도덕의식을 사회 정의로 꽃피우자, 유가
동아시아 철학의 아버지, 공자 ― 015
공자 철학의 알파이자 오메가, 인 ― 024
상반된 가치의 소통 ― 032
인간의 본성을 바라보는 두 가지 시선, 맹자와 순자 ― 040
* 동아시아의 바이블, 『논어』 ― 052
2장 자연과 하나가 되기를 추구하다, 도가
지식과 도덕은 권력의 앞잡이다 ― 057
너는 자연 그대로 아름답다 ― 067
모름을 지키자, 모름지기 ― 075
꿈이냐! 현실이냐! ― 083
만물과 하나 되는 나 ― 091
* 장자의 ‘천인합일’ 사유와 자연 생태계 복원 ― 100
3장 평화주의의 극한, 묵가
노동자로 구성된 철학 공동체의 탄생 ― 105
서로서로 사랑하고, 서로서로 이롭게 하라 ― 114
죽음으로 도의를 실천하다 ― 122
* 묵자에 대한 평가 ― 130
4장 법에 따른 통치로 세상 바로 세우기, 법가
현실과 미래를 중시한 철학 ― 135
천하 통일의 시금석이 되다, 한비자 ― 145
황제 지배 질서의 기틀을 세우다 ― 157
* 해충 다섯 마리와 잘못 열 가지 ― 164
5장 유교와 도가 사이의 한판 대결, 중국 철학
사상 통합의 선구자, 황로 도가 ― 169
유교의 국교화를 이루어내다, 동중서 ― 177
유가와 도가의 하이브리드 철학, 위진 현학 ― 187
* 왕조 교체는 천명에 따른 것이다 ― 196
6장 우주와 자아의 합일을 꿈꾸다, 인도 철학과 불교
윤회를 너머서 해탈로, 베다 사상 ― 201
인간은 왜 번뇌에 시달리는 것일까, 석가모니 ― 211
중국 불교의 특이성, 분파불교 ― 220
중국적인 너무나 중국적인, 선종 ― 228
* 자이나교 ― 240
7장 ‘존재’와 ‘의식’의 관계를 탐색하다, 신유교
유불도의 하이브리드 철학, 성리학 ― 245
성리학의 집대성자, 주희 ― 253
마음 철학의 탄생, 심학 ― 263
완전한 해방을 꿈꾸다, 양명 좌파 ― 272
* 신유교는 유불도의 통합 사상이다 ― 284
8장 중국 근현대 철학과 서양의 근대성
명말청초의 철학 사조 근대를 예비하다 ― 289
서구 제국주의와 중국 근대 ― 302
중국 전통 철학과 서양 철학의 만남 ― 313
현대 중국의 딜레마 계몽이냐! 구국이냐! ― 323
* 태평천국운동과 비밀결사의 역사적 역할 ― 334
9장 전통적 ‘심정’과 근대적 ‘형식’의 기묘한 만남, 일본 철학
일본 근대 철학의 맹아 ― 339
복고와 혁신의 이중주 ― 348
국가 종교로서의 신도와 천황의 역할 ― 357
‘인간 본능의 국유화’로서 ‘국체’ ― 367
* 「교육칙어」 ― 376
10장 유불도의 융합, 한국 철학
한국 전통 철학과 종교의 원형, 무교 ― 381
통섭을 위한 길, 원효의 화쟁 사상 ― 392
조선 유학의 3걸, 서경덕, 이황, 이이 ― 402
동서양 철학의 통섭, 정약용 ― 413
동아시아 민주주의 이념의 실마리 ― 425
* 정약용의 과거제도 비판 ― 436
§ 동서양철학사 연표
§ 참고문헌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옛 철학자들의 글을 읽다 보면 한 가지 놀라운 느낌을 왕왕 받게 된다. 그것은 옛사람이 삶에 대해 골머리를 앓았던 고민이나 오늘날의 사람들이 갖는 삶에 대한 고민이나 별 차이가 없다는 사실이다. 이것이 바로 지나간 옛 철학자의 사상이 현대인들에게 의미가 있는 이유다. 과거로부터 출발한 옛 철학자들의 빛줄기는 지금도 우리에게 여실히 전해지고 있다. 그럼 이 빛줄기를 따라 더듬어 올라가 옛 철학자들의 품속으로 건너가 보자.
- 머리말
인仁은 사람 ‘인人’과 숫자 두 ‘이二’가 합쳐진 한자어다. 즉, 사람 둘이 있다는 의미다. 이 글자는 사람 사이의 관계를 드러낸다. 사람 사이의 양상을 떠올리면 부부·친구·윗사람 혹은 아랫사람 등 숱한 관계가 있다. 부모와 자식을 제외하고 가장 순수한 관계는 남여 사이일 것이다. 인은 마치 남녀 사이처럼 이해를 따지지 않고 관계를 확산시키자는 의미다. “사람을 사랑한다.”라는 공자의 말에는 혈족에 얽매인 사랑을 뛰어넘는 사회적 개방성이 내포되어 있다. 공자 이전에는 교육이 왕족이나 귀족의 자제들로만 국한되었기에 개방된 사랑을 실천하기 어려웠다. 하지만 공자가 마련한 사적 교육 기관은 국가 교육 기관과 달리 보편적 사랑을 실천하기에 훨씬 좋은 조건이었다.
- 1장 개개인의 도덕의식을 사회 정의로 꽃피우자, 유가, 「공자 철학의 알파이자 오메가, 인」 중에서
장자는 정치를 혐오했으며, 세상과도 거리를 두었다. 세상에 대한 장자의 참여는 본래의 성향을 그대로 표출할 수 있는 범위 내로만 한정된 것이었다. 장자는 인위적인 압박감을 동반한 화려한 삶을 선택하기보다는, 소박하더라도 자연 그대로 ‘노니는 것’, 유遊를 선택한다. 사람을 마치 아름다운 자연을 바라보듯이 하는 것은 불가능한 일일까? 우리는 폭포나 바다를 볼 때 있는 그대로 바라보지, 거기에 자기만의 가치관을 부여하지는 않는다. 아무런 편견 없이 바라보는 것이다.
- 2장 자연과 하나가 되기를 추구하다, 도가, 「너는 자연 그대로 아름답다」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