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동양철학 일반
· ISBN : 9791192376028
· 쪽수 : 872쪽
· 출판일 : 2022-04-14
책 소개
목차
┃동 양 철 학 차 례┃
1장 개개인의 도덕의식을 사회 정의로 꽃피우자, 유가
동아시아 철학의 아버지, 공자 ― 015
공자 철학의 알파이자 오메가, 인 ― 024
상반된 가치의 소통 ― 032
인간의 본성을 바라보는 두 가지 시선, 맹자와 순자 ― 040
* 동아시아의 바이블, 『논어』 ― 052
2장 자연과 하나가 되기를 추구하다, 도가
지식과 도덕은 권력의 앞잡이다 ― 057
너는 자연 그대로 아름답다 ― 067
모름을 지키자, 모름지기 ― 075
꿈이냐! 현실이냐! ― 083
만물과 하나 되는 나 ― 091
* 장자의 ‘천인합일’ 사유와 자연 생태계 복원 ― 100
3장 평화주의의 극한, 묵가
노동자로 구성된 철학 공동체의 탄생 ― 105
서로서로 사랑하고, 서로서로 이롭게 하라 ― 114
죽음으로 도의를 실천하다 ― 122
* 묵자에 대한 평가 ― 130
4장 법에 따른 통치로 세상 바로 세우기, 법가
현실과 미래를 중시한 철학 ― 135
천하 통일의 시금석이 되다, 한비자 ― 145
황제 지배 질서의 기틀을 세우다 ― 157
* 해충 다섯 마리와 잘못 열 가지 ― 164
5장 유교와 도가 사이의 한판 대결, 중국 철학
사상 통합의 선구자, 황로 도가 ― 169
유교의 국교화를 이루어내다, 동중서 ― 177
유가와 도가의 하이브리드 철학, 위진 현학 ― 187
* 왕조 교체는 천명에 따른 것이다 ― 196
6장 우주와 자아의 합일을 꿈꾸다, 인도 철학과 불교
윤회를 너머서 해탈로, 베다 사상 ― 201
인간은 왜 번뇌에 시달리는 것일까, 석가모니 ― 211
중국 불교의 특이성, 분파불교 ― 220
중국적인 너무나 중국적인, 선종 ― 228
* 자이나교 ― 240
7장 ‘존재’와 ‘의식’의 관계를 탐색하다, 신유교
유불도의 하이브리드 철학, 성리학 ― 245
성리학의 집대성자, 주희 ― 253
마음 철학의 탄생, 심학 ― 263
완전한 해방을 꿈꾸다, 양명 좌파 ― 272
* 신유교는 유불도의 통합 사상이다 ― 284
8장 중국 근현대 철학과 서양의 근대성
명말청초의 철학 사조 근대를 예비하다 ― 289
서구 제국주의와 중국 근대 ― 302
중국 전통 철학과 서양 철학의 만남 ― 313
현대 중국의 딜레마 계몽이냐! 구국이냐! ― 323
* 태평천국운동과 비밀결사의 역사적 역할 ― 334
9장 전통적 ‘심정’과 근대적 ‘형식’의 기묘한 만남, 일본 철학
일본 근대 철학의 맹아 ― 339
복고와 혁신의 이중주 ― 348
국가 종교로서의 신도와 천황의 역할 ― 357
‘인간 본능의 국유화’로서 ‘국체’ ― 367
* 「교육칙어」 ― 376
10장 유불도의 융합, 한국 철학
한국 전통 철학과 종교의 원형, 무교 ― 381
통섭을 위한 길, 원효의 화쟁 사상 ― 392
조선 유학의 3걸, 서경덕, 이황, 이이 ― 402
동서양 철학의 통섭, 정약용 ― 413
동아시아 민주주의 이념의 실마리 ― 425
* 정약용의 과거제도 비판 ― 436
§ 동서양철학사 연표
§ 참고문헌
┃서 양 철 학 차 례┃
1장 자연 철학과 인문주의의 탄생
만물의 근원을 묻다, 자연 철학자 ― 017
만물의 근원은 정신일까? 물질일까? ― 029
인간을 우주의 중심에 놓다, 소피스트 ― 039
* 인류 문명사의 거대한 수레바퀴 ― 046
2장 서양철학의 아버지, 소크라테스
우리는 모른다는 사실을 알아야 한다 ― 051
철학을 했다는 이유로 고소를 당하다 ― 058
철학은 죽음을 위한 준비다 ― 065
* 다이몬의 소리를 들어라 ― 074
3장 서양철학의 알파이자 오메가, 플라톤
플라톤과 서양 철학 ― 081
에로스, 플라톤 철학의 중심어 ― 087
진짜 세계는 이데아에 있다 ― 095
철학자가 통치자가 되어야 한다 ― 103
* 사랑이란 잃어버린 자기의 반쪽을 찾는 것 ― 110
4장 만학의 아버지, 아리스토텔레스
모든 학문의 개척자 ― 115
현실과 이상 사이에서 - 123
자연은 결코 허튼짓을 하지 않는다 ― 131
좋은 피리는 피리를 잘 부는 사람에게 줘라 ― 139
* 설득의 고수가 되려면 세 가지만 기억하라 ― 148
5장 이성에 합당한 삶 vs 고요한 정신적 쾌락
우주의 섭리를 따르자, 스토아 학파 ― 153
로마 황제이자 철학자,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 161
개인의 쾌락에 몰두할 것, 에피쿠로스 ― 169
* 헬레니즘과 세계시민주의 ― 180
6장 중세와 르네상스 철학
기독교가 유럽의 절대 이념이 되다 ― 185
정치와 도덕은 별개다, 마키아벨리 ― 195
화형당한 철학자, 브루노 ― 205
* 모든 별은 인간과 같은 유기체다 ― 214
7장 ‘육체’와 ‘정신’은 별개 vs ‘육체’와 ‘정신’은 하나
코기토 에르고 숨, 데카르트 ― 219
신은 곧 자연이다, 스피노자 ― 229
‘영원한 상’을 깨달아 자유로부터 자유로워져라 ― 239
* 동양 철학과 유사한 스피노자의 철학 ― 246
8장 비판 철학과 절대정신, 칸트와 헤겔
이성을 재판에 회부하다 ― 251
별이 반짝이는 하늘과 내 마음속의 도덕률 ― 260
미네르바의 부엉이는 황혼녘에 날개를 편다 ― 268
* 근대 철학의 두 가지 흐름 ― 276
9장 탈근대 철학의 지존, 니체
선과 악을 넘어서 ― 281
신은 죽었다! 위버멘쉬를 말하자! ― 291
모든 것은 가며, 모든 것은 되돌아온다 ― 299
염세주의를 넘어서 능동적 니힐리스트가 되자! ― 308
*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 316
10장 철학이 심리학으로 갈무리되다
정신분석학의 창시자, 프로이트 ― 321
분석심리학의 탄생, 칼 융 ― 331
대중들은 늘 파시즘을 욕망했다, 빌헬름 라이히 ― 340
*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 348
11장 현상의 본질을 탐구하다
현상학의 창시자, 후설 ― 353
존재를 제대로 인식하자, 하이데거 ― 360
죽음을 삶의 촉진제로 삼자 ―369
* 하이데거는 자발적으로 나치에 협력했을까? ― 376
12장 현대의 사회 철학, 그리고 니체의 계승자들
세상을 해석하지 말고 변혁하자, 마르크스 ― 381
계몽은 야만이다, 아도르노 ― 391
자발적 복종에서 벗어나기 위하여, 마르쿠제 ― 401
자기 검열의 메커니즘, 미셸 푸코 ― 406
유목민처럼 살자, 질 들뢰즈 ― 415
* 디지털 사이언스 시대에서, 포스트 휴먼을 꿈꾸며 ― 424
§ 동서양철학사 연표 ― 425
§ 참고문헌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하룻밤에 읽는 동양 철학┃
옛 철학자들의 글을 읽다 보면 한 가지 놀라운 느낌을 왕왕 받게 된다. 그것은 옛사람이 삶에 대해 골머리를 앓았던 고민이나 오늘날의 사람들이 갖는 삶에 대한 고민이나 별 차이가 없다는 사실이다. 이것이 바로 지나간 옛 철학자의 사상이 현대인들에게 의미가 있는 이유다. 과거로부터 출발한 옛 철학자들의 빛줄기는 지금도 우리에게 여실히 전해지고 있다. 그럼 이 빛줄기를 따라 더듬어 올라가 옛 철학자들의 품속으로 건너가 보자.
- 머리말
장자는 정치를 혐오했으며, 세상과도 거리를 두었다. 세상에 대한 장자의 참여는 본래의 성향을 그대로 표출할 수 있는 범위 내로만 한정된 것이었다. 장자는 인위적인 압박감을 동반한 화려한 삶을 선택하기보다는, 소박하더라도 자연 그대로 ‘노니는 것’, 유遊를 선택한다. 사람을 마치 아름다운 자연을 바라보듯이 하는 것은 불가능한 일일까? 우리는 폭포나 바다를 볼 때 있는 그대로 바라보지, 거기에 자기만의 가치관을 부여하지는 않는다. 아무런 편견 없이 바라보는 것이다.
- 2장 자연과 하나가 되기를 추구하다, 도가, 「너는 자연 그대로 아름답다」 중에서
법가는 과거의 전통에 얽매이지 않고 현실과 미래를 중시했다. 그리고 최고 통치자에게 시대의 변화를 인정하고 새로운 방식의 정책 대응을 할 것을 강조했다. 천하를 다스리는 원리에 대해, 유가가 인·의·예와 같은 덕치주의가 근본이라고 주장했음에 비래, 법가는 엄격한 법치주의가 근본이라고 주장했다.
- 4장 법에 따른 통치로 세상 바로 세우기, 법가, 「현실과 미래를 중시한 철학」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