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한국문학론 > 한국작가론
· ISBN : 9791192986159
· 쪽수 : 327쪽
· 출판일 : 2023-11-15
책 소개
목차
ㅣ머리말ㅣ 22
제Ⅰ부 김지하의 생명 사상과 미학 사상
1. 생명 사상의 계보와 문명사적 전회 17
⎯생명 사상의 세계 사상사적 위상과 의미
자생 담론의 출현과 생명 사상의 내발성 17
생명 사상의 발생론적 토대와 사상의 계보 22
생명 사상의 이론적 가능성과 보편성의 탐색 30
생명 사상의 세계 사상사적 위상과 전망 40
2. ‘흰그늘’의 미학과 예감의 우주 45
⎯김지하의 시와 미학 사상을 중심으로
미학과 시 45
김지하 미학의 토대와 정립 50
흰그늘의 미학과 시의 실제 58
흰그늘 혹은 한국시의 미적 범주와 전망 73
3. 회음부의 사상, 줄탁의 윤리 79
⎯김지하론
감옥 속의 몸, 몸 속의 감옥 79
신생의 즐거움, 중심의 괴로움 83
몸과 우주의 동기감응 91
생명 사상에서 생명 운동으로 100
4. 산알 소식에 접하여 몸을 말하다 103
⎯김지하의 흰그늘의 산알 소식과 산알의 흰그늘 소식
5. 풍자냐 자살이냐⎯비트냐 펑크냐 119
⎯90년대 혹은 김지하와 백민석의 거리
김지하와 백민석, 그리고 90년대 119
풍자냐 자살이냐, 비트냐 펑크냐 121
우주 생명 공동체와 인공화된 가상 공동체 130
대립을 넘어 길항으로 144
6. 저항 그리고 정서의 응축과 시적 긴장 147
⎯김지하의 『타는 목마름으로』
제Ⅱ부 생명 사상의 창발적 진화
1. 생명 문화 정립을 위한 시론적 모색 155
패러다임의 전환과 생명 문화 155
몸, 생명, 우주의 카오스모스 161
산알의 문화와 문화의 산알 171
반성과 전망 178
2. ‘그늘’의 발생론적 기원과 동아시아적 사유의 탄생 181
‘지속 가능한 발전’에서 ‘생명 지속적 발전’으로 181
동아시아, 새로운 주체성의 회복을 위하여 186
생명학의 뿌리를 찾아서 190
생명이 세상을 바꾼다. 197
에코토피아와 디지털토피아 204
그늘에 대하여 211
3. ‘그늘’ 그 어떤 경지 215
⎯사유 혹은 상상의 토포필리아
4. 에코토피아와 디지털토피아 223
⎯생태시학의 모색과 전망
‘지금, 여기’에서 ‘존재’를 문제 삼는 이유? 223
에코토피아와 디지털토피아 225
몸의 소리, 몸의 정치 230
신생의 즐거움, 중심의 괴로움 234
5. 놀이, 신명, 몸 237
⎯한국문화의 정체성을 찾아서
문화의 보편성과 특수성으로서의 놀이 237
신명풀이와 한국적 놀이 양식의 탄생 241
탈, 춤, 마당 그리고 몸 247
현대판 길놀이·탈놀이·뒷놀이 254
세계 문화의 지평으로서의 한국 문화 261
6. 욕, 카타르시스를 넘어 신명으로 267
제Ⅲ부 생명 사상과 몸 사상의 만남
그늘이 우주를 바꾼다 283
⎯김지하 ‘생명과 평화의 길’ 이사장과의 대담
ㅣ인명 찾아보기ㅣ 313
ㅣ용어 찾아보기ㅣ 317
ㅣ김지하 약력ㅣ 3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