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숏폼 시대의 콘텐츠와 광고

숏폼 시대의 콘텐츠와 광고

유승철, 이형민, 전민희, 박세진, 박한나, 권예지, 성윤택, 문장호, 백태현, 엄남현 (지은이)
학지사비즈
1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6,200원 -10% 0원
900원
15,3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숏폼 시대의 콘텐츠와 광고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숏폼 시대의 콘텐츠와 광고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경상계열 > 광고/마케팅
· ISBN : 9791193667200
· 쪽수 : 304쪽
· 출판일 : 2025-10-30

책 소개

숏폼이라는 새로운 미디어 현상이 우리의 일상과 사회, 나아가 비즈니스와 커뮤니케이션 방식에 어떤 의미를 던지고 있는지, 그리고 우리는 이 변화의 물결을 어떻게 이해하고 탐색해야 하는지에 대한 깊은 고민과 학문적 탐구의 결과물이다.

목차

머리말


제1장 숏폼이란 무엇인가?
1. 숏폼: 순간을 지배하는 새로운 영상문법
2. 숏폼 콘텐츠의 정의와 특성: 짧지만 강렬한 찰나의 미학
3. 숏폼 콘텐츠의 발전사
4. 숏폼의 광고 마케팅적 가치
5. 숏폼이 가져온 광고 커뮤니케이션의 변화: 짧게, 강렬하게, 함께!
6. 숏폼, 유행을 넘어 디지털 소통의 새로운 질서로

제2장 숏폼 콘텐츠와 주의경제
1. 콘텐츠 수용자의 ‘주의’를 끌라!
2. 주의의 경제학
3. 숏폼 콘텐츠는 어떻게 수용자의 주의를 끄는가?
4. 주의경제의 실천: 숏폼 콘텐츠로 광고하기
5. 짧아지는 주의의 함정
6. 숏폼 콘텐츠와 주의경제의 미래

제3장 플랫폼별 숏폼 콘텐츠 트렌드 분석
1. 디지털 미디어의 새로운 권력, 숏폼
2. 숏폼의 핵심 특성과 소비자 심리
3. 숏폼 플랫폼 3강 구도 분석: 유튜브 쇼츠, 인스타그램 릴스, 틱톡

제4장 숏폼 광고의 특성과 성공 사례
1. 숏폼 광고: 디지털 소비자를 움직이는 메시지
2. 숏폼 광고의 이론적 토대: 주목, 기억, 그리고 확산
3. 숏폼 광고의 형식적 특성: 압축, 자극, 반복, 그리고 플랫폼 최적화
4. 숏폼 광고의 전략적 특성: 참여, 타깃팅, 협업
5. 숏폼 광고 사례: 유형 구분과 대표 사례 분석
6. 숏폼 광고 전망: 광고 패러다임 변화의 중심

제5장 숏폼 광고에서의 브랜드 메시지 전략
1. 숏폼 콘텐츠의 확산과 광고 패러다임의 변화
2. 숏폼 광고 메시지의 전략적 특징
3. 숏폼 광고 메시지의 유형별 전략 및 표현 방식
4. 임플로이언서를 활용한 숏폼 광고 메시지 전략
5. 결론: 숏폼 시대, 브랜드 메시지 전략의 재구성

제6장 감정과 숏폼 광고, 그 얽힘의 기술
1. 왜 숏폼 광고는 감정을 겨냥하는가
2. 감정 중심 숏폼 커뮤니케이션의 전략적 진화
3. 감정에서 행동으로: 전환을 이끄는 감정 메커니즘
4. 공감의 과학: 감정 전이와 확산
5. 감정을 설계하는 숏폼 기획법
6. 감정을 설계한다는 것의 윤리적 질문

제7장 숏폼의 비주얼 및 청각 요소의 광고효과
1. 숏폼의 비주얼 요소와 광고효과
2. 숏폼의 청각 요소와 광고효과
3. 숏폼의 시청각 통합과 광고효과

제8장 숏폼 광고의 상호작용과 경험 설계 알고리즘
1. 들어가며: 내 피드에 뜬 이 숏폼, 대체 왜 보이는 걸까?
2. ‘왜 이 광고가 보이나요’: 알고리즘 설명 가능성의 힘과 한계
3. ‘이런 숏폼 광고는 그만 볼게요’: 알고리즘 통제 가능성의 환상과 현실
4. 아는 만큼 보인다: 알고리즘을 이해하는 리터러시의 중요성
5. 미래의 광고 알고리즘: 생성형 AI와 초개인화 시대의 빛과 그림자
6. 알고리즘 시대, 숏폼 광고의 새로운 균형점을 찾아서

제9장 숏폼 광고의 성과 측정 및 주요 지표
1. 숏폼 시대의 광고 성과 측정 패러다임의 변화
2. 숏폼 광고 플랫폼의 알고리즘에 대한 소비자 반응 메커니즘
3. 유튜브 쇼츠 광고의 성과 측정 지표
4. 인스타그램 릴스 광고의 성과 측정 지표
5. 틱톡 광고의 성과 측정 지표
6. 숏폼 광고 성과 해석의 전략적 함의

제10장 숏폼의 윤리적 과제 및 지속가능성
1. 숏폼 콘텐츠의 개념과 디지털 미디어 환경의 변화
2. MZ세대의 미디어 소비 특성과 숏폼 콘텐츠의 수용
3. 숏폼 콘텐츠의 중독적 사용과 그 영향
4. 숏폼 콘텐츠 중독의 사회적 파급효과
5. 숏폼 콘텐츠 이용자의 자기조절 및 통제 전략
6. 중독 대응을 위한 사회적·정책적 논의
7. 결론 및 제언: 숏폼 콘텐츠 생태계의 윤리적 지속가능성을 위하여


찾아보기

저자소개

엄남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홍익대학교 광고홍보학부 교수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Ph.D. (광고학) 한국광고홍보학회 총무이사, 광고학연구 및 광고연구 편집위원 전) University of Wisconsin, Communication 학과 교수 전) 제일기획 AE (광고주: 삼성그룹, 삼성전자, KTF 등) 전) 대한민국광고대상 심사위원(2016년, 2017년, 2018년) 논문: Journal of Advertising, International Journal of Advertising, Psychology & Marketing, Asian Journal of Communication 등 다수
펼치기
유승철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이화여자대학교 커뮤니케이션·미디어학부 교수로, 미디어 공학&창업 트랙을 담당하고 있으며, 디지털 마케팅과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분야에서 활발히 연구 활동을 하고 있다. ㈜제일기획에서 마케팅 전문가로 활동하며 산업 경험을 쌓은 후 미국 텍사스대학교에서 광고학 석·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미국 로욜라대학교(Loyola University Chicago)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글로벌 광고/마케팅 교육과 연구를 수행했다. AI 기반 광고, 의료/식품 마케팅, 푸드테크와 K-푸드 브랜딩에 관한 연구를 중심으로 진행하고 있으며, 산업과 학문의 융합을 강조한다. 특히 2023년 개설한 K-MOOC 강좌 ‘디지털 마케팅과 소셜 미디어 브랜드 콘텐츠 전략’을 통해 디지털 교육 혁신을 선도하고 있으며, 2024년부터는 K-MOOC에서 ‘푸드테크 시대의 K-푸드 브랜드 스토리텔링’ 강좌를 운영하면서 K-푸드의 글로벌 시장 확대 전략을 연구하고 있다. 2021년 12월에는 미디어산업 발전에 이바지한 공적을 인정받아 문화체육관광부장관 표창을 수상했다. 2024년부터는 신촌에 FMC 연구소(Food & Medical Communication Lab)를 개설해 청년식당 창업 컨설팅과 다수의 산학연구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는 『한 권으로 끝내는 온라인 교육 콘텐츠 제작』, 『인공지능과 다크 마케팅』, 『인공지능 시대의 광고윤리』(공저), 『메디 커뮤니케이션』(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성윤택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KOBACO) 미디어광고연구소 연구위원이다. 성균관대학교에서 언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수용자 연구, 시청률 및 통합시청조사 등이 주요 연구 분야다.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 연구원(2010~2013), 홍익대, 평택대, 한국방송통신대 등(2007~2016) 시간강사를 역임했다. 현재 인터넷신문자율공시기구 검증위원으로 활동 중이다. 『2020 방송영상 산업백서』(2021), 『데이터 시대의 언론학 연구』(2017)에 공저자로 참여했고, “미디어 테크놀로지의 진화 방향”(2010), “What to Read in the Morning?: A Niche Analysis of Free Daily Papers(FDPs) and Paid Papers in Korea”(2007) 등의 논문을 게재했다.
펼치기
문장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숙명여자대학교 홍보광고학과 교수이다. 미국 남가주대학교(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에서 석사 학위를, 텍사스-오스틴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캘리포니아 주립대학교 플러턴 캠퍼스(California State University Fullerton)에서 조교수로 근무했다. 주 관심 분야는 디지털 광고전략, 소셜 미디어, 몰입미디어 등이다.
펼치기
권예지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 미디어광고연구소 선임연구위원
펼치기
이형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성신여자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연구 분야는 공공커뮤니케이션, 정책PR, 엔터테인먼트 콘텐 츠의 행동심리학적 설득 효과 등이다. 한국광고학회, 한국PR학 회, 한국광고홍보학회 등에서 총무이사를 역임하였으며, 여성가 족부, 보건복지부, 국방부, 한미연합사령부, 서울시청 등에서 홍 보 자문 및 평가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주요 논문들을 , , , 등의 국제학술지에 게재하였다.
펼치기
박한나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재 선문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광고홍보콘텐츠 전공 주임 교수와 진로설계교양센터장을 맡고 있다. 미국 플로리다대학교에서 PR 전공으로 매스커뮤니케이션학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펼치기
박세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양대학교 ERICA 미디어학과 부교수로 미국 University of Ten- nessee에서 Communication & Information 전공으로 석사 및 박사 학위를 받았다. 육군 공보장교로 17년간 복무하면서 공공커 뮤니케이션 분야의 다양한 실무 경험을 쌓았으며, 국내외 학술지 에 20여 편의 논문을 게재하였다.
펼치기
전민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인천가톨릭대학교 RISE사업추진단 연구교수
펼치기
백태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성균관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