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일본사 > 일본고대/중세사
· ISBN : 9791193975022
· 쪽수 : 298쪽
· 출판일 : 2025-10-20
책 소개
일본 육군의 아버지로 일컬어지는 원수 · 육군 대장 야마가타 아리토모山県有朋, 메이지 천황을 따라 자결한 후 군신軍神으로 신사에 모셔진 육군 대장 노기 마레스케乃木希典, 러시아의 발틱함대를 대한해협에서 맞아 싸워 이긴 원수 · 해군 대장 도고 헤이하치로東郷平八郎의 일생을 조명하는 일은 곧 메이지 시대 일본의 군대 · 전쟁 · 정치의 실상을 스케치하는 것이다. 야마가타 · 노기 · 도고와 함께 생활했거나 전쟁터를 누볐던 인물들의 옆모습도 자연스럽게 그려질 것이다. 그 과정에서 메이지 시대 일본군의 고질이었던 사쓰마번薩摩藩(가고시마번)과 조슈번長州藩(야마구치번), 육군과 해군의 심리구조와 경쟁 구도가 적나라하게 드러날 것이다.
목차
책을 내면서 7
제1부 야마가타 아리토모 19
1 조슈번의 무사 21
2 메이지 정부의 고위 관료 33
3 육군 지휘체계 확립 42
4 군인에서 정치가로 57
5 청일 · 러일전쟁 70
6 원로 정치인 93
제2부 노기 마레스케 109
1 육군 장교가 되기까지 111
2 사족의 난과 세이난 전쟁 121
3 독일 유학과 귀국 후의 생활 135
4 청일전쟁 146
5 타이완 총독 전후 154
6 러일전쟁 168
7 러일전쟁 이후 181
8 순사 그리고 신격화 194
제3부 도고 헤이하치로 211
1 러일전쟁 이전 213
2 러일전쟁 228
3 러일전쟁 이후 244
4 제1차 세계대전과 일본 254
5 군축 문제와 도고 261
6 만년 283
참고문헌 295
저자소개
책속에서
◎ 1875년 9월 일본이 강화도 사건을 일으켰다. 야마가타 아리토모가 시모노세키에 머물며 조선과 전쟁이 일어날 상황에 대비했다. 1876년 2월 13일 야마가타가 기도 다카요시에게 다음과 같은 내용의 서신을 보냈다. “조선에 파병할 준비를 마쳤는데, 군사를 운송할 선박과 강화도 지역의 지세가 어떤지 걱정이 됩니다.”
◎ 1879년 5월 내무경 이토 히로부미와 공부경 이노우에 가오루가 내각의 개혁을 단행하기로 합의했다. 이토와 이노우에가 야마가타를 만나 참모본부장에서 물러나 내각 개혁에 앞장서 달라고 요청했다. 야마가타가 말했다. “육군을 발전시키기 위해 내가 참모본부에 있어야 한다.” 그는 4년 가까이 참모본부장으로 있으면서 육군 근대화의 기틀을 마련했다.
◎ 1889년 12월 24일 야마가타 아리토모가 제3대 총리대신에 취임했다. 1890년 6월 야마가타가 육군 중장에서 대장으로 승진했다. 천황 일족을 제외하고 대장의 지위에 오른 것은 사이고 다카모리에 이어 야마가타 아리토모가 두 번째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