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큰글자책] 노예국가

[큰글자책] 노예국가

(자본주의 사회에서 노예로 산다는 것)

힐레어 벨록 (지은이), 성귀수 (옮긴이)
루아크
29,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9,000원 -0% 0원
870원
28,130원 >
29,000원 -0% 0원
카드할인 10%
2,900원
26,1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큰글자책] 노예국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큰글자책] 노예국가 (자본주의 사회에서 노예로 산다는 것)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교양 인문학
· ISBN : 9791194391050
· 쪽수 : 188쪽
· 출판일 : 2024-11-01

책 소개

현대 자본주의체제의 맹점을 명쾌하게 짚어내고, ‘분배주의’의 정치·경제적 이념을 체계적으로 서술한 최초의 문헌이다.

목차

옮긴이 해설
여는 말

1장 전제들
2장 우리 문명의 토대는 노예제도였다
3장 노예제도는 어떻게 붕괴되었나
4장 분배주의국가는 어떻게 몰락했는가
5장 자본주의체제는 성장과 비례해 불안정해진다
6장 불안정성에 대한 안정적 해결책
7장 사회주의는 자본주의의 쟁점에 대한 가장 손쉬운 미봉책이다
8장 개혁의 주체와 대상 모두 노예국가를 만들어간다
9장 노예국가는 시작되었다

닫는 말

저자소개

힐레어 벨록 (지은이)    정보 더보기
1870년 7월 27일 프랑스 라셀생클루에서 태어나 1902년 영국으로 귀화했다. H. G. 웰스, 조지 버나드 쇼, G. K. 체스터턴과 더불어 영국 에드워드시대를 대표하는 4대 문인 중 한 명으로, 문학, 역사, 경제, 사회, 정치 분야에 걸쳐 150여 권에 이르는 방대한 저작을 남겼다. ‘브라운 신부 시리즈’의 작가 체스터턴과는 가톨릭 정신에 입각한 발상의 공감대로 각별한 친분 관계여서, 버나드 쇼는 둘을 일컬어 체스터벨록(Chesterbelloc)이라 부르기도 했다. 특히 인류가 추구해나가야 할 사회·경제적 시스템으로 ‘분배주의’ 이론을 주창하고, 그것을 세상에 알리는 노력에서 힐레어 벨록은 단연 선구자의 위치를 차지한다. 그는 중세야말로 개인의 경제적 자립과 자유, 학문을 통한 지적 열풍이 들끓던 시대였음을 역설했는데, 중세를 이른바 ‘암흑시대’로 규정하는 계몽주의적 사관이 대세를 점하던 20세기 초, 이는 매우 비범한 이해력을 드러낸 것이라 하겠다. 대표작으로는 《악동을 위한 동물이야기》(1896), 《로마로 가는 길》(1902), 《헬렌을 위한 경제학》(1924), 《거대한 이단》(1938) 들이 있다.
펼치기
성귀수 (옮긴이)    정보 더보기
음절배열자, 번역가. 연세대학교 불어불문학과 졸업. 동 대학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저서로 시집 『정신의 무거운 실험과 무한히 가벼운 실험정신』과 '내면일기' 『숭고한 노이로제』가 있고, 옮긴 책으로 아폴리네르의 『일만 일천 번의 채찍질』, 가스통 르루의 『오페라의 유령』, 아멜리 노통브의 『적의 화장법』, 장 폴 브리겔리의 『사드-불멸의 에로티스트』, '스피노자의 정신'의 『세 명의 사기꾼』, 디누아르의 『침묵의 서』, 샤를 루이 바라의 『조선기행』, 모리스 마테를링크의 『꽃의 지혜』(선집 3권), 폴린 레아주의 『O 이야기』, 장 퇼레의 『자살가게』, 크리스티앙 자크의 『모차르트』(4권), 토르케마다의 『카인의 턱뼈』, 모리스 르블랑의 『결정판 아르센 뤼팽 전집』(10권), 수베스트르와 알랭의 『팡토마스』 선집(5권), 앙리 코뱅의 『막시밀리앙 헬러』, 래그나 레드비어드의 『힘이 정의다』, 알랭 로브그리예의 『진』, 장 주네의 『꽃피는 노트르담』, 조르주 바타유의『불가능』 등 100여 권이 있다. D. A. F. 드 사드 사후 200주기를 맞아 2014년부터 사드 전집을 번역하고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토지와 자본에서의 사유재산, 다시 말해 생산수단의 소유권과 통제 권한이 일부 시민에게만 귀속되고, 나머지 대다수 시민은 그와 같은 소유권을 가지지 않거나 극히 제한된 범위에서만 가질 때 우리는 그 체제를 자본주의 사회라 부른다. 그런 사회에서 재화가 생산되는 방식은 프롤레타리아트의 노동력을 토지와 자본에 투자하는 길밖에 없으며, 그를 통해 프롤레타리아트는 생산된 전체 재화의 일부만 누릴 수 있을 뿐이다. 자본주의국가를 규정하는 두 가지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가의 구성원인 시민은 정치적으로 자유다. 이를테면, 자기 의지에 따라 재산이나 노동력을 투자하거나 투자를 거둘 수 있다. 둘째, 국가 구성원인 시민이 자본가와 노동자로 구분되며, 그 비율은 시민 전체가 소유권을 보장받는 게 아니라 상대적인 소수집단으로 소유권이 제한되는 방향에서 결정된다.
_1장 전제들


노예제도는 유럽 역사에서 결코 생소한 경험이 아니다. 유럽인에게 그것이 수용 가능한 무엇이라 보는 것은 전혀 엉뚱한 견해가 아니다. 노예제도는 지금은 많은 사람이 거의 시효가 다 된 것으로 치부하는 기독교적 신앙이 유럽에 뿌리내리기까지 오랜 세월 사회를 지탱하는 근간으로 유지되었다. 그런 관점에서 볼 때 노예제도를 확고한 토대로 삼아 장기간에 걸쳐 구축된 사회질서를 제치고 일어선 기독교(가톨릭)적 체제는 하나의 거대한 실험이었다. 바로 그 실험을 통해서 우리는 노예제도가 그와는 전혀 다른 성격의 사회체제로 이행하는 점진적인 변화 과정을 목도하게 된다.
_2장 우리 문명의 토대는 노예제도였다


노예제도의 쇠락은 이른바 빌레Villae(빌라villa의 복수형–옮긴이)로 불리는 대규모 농가군락이 생산활동의 기본 단위로 자리 잡으면서 완만하게 진행된 현상이다. (중략) 농업 생산의 단위로 기능했던 빌레는 서기 400여 년에 걸친 고도의 문명사회에서 중세 암흑시대로 넘어가면서 점점 더 사회의 기본 모형으로 자리를 굳혀갔다.
_3장 노예제도는 어떻게 붕괴되었나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