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시 > 한국시
· ISBN : 9791194643074
· 쪽수 : 248쪽
· 출판일 : 2025-03-05
책 소개
목차
책머리에
1
서러워 마라
머지않아 때가 온다
눈이 온다 | 신경림 14
내가 만약 | 에밀리 디킨슨 16
삶이 그대를 속일지라도 | 알렉산드르 세르게예비치 푸시킨 18
커브 | 폴 엘뤼아르 19
방랑길에 | 헤르만 헤세 20
어머니께 | 헤르만 헤세 22
너는 울었다 | 이반 세르게예비치 투르게네프 24
좋은 약 | 나태주 26
젊은 시인에게 주는 충고 | 라이너 마리아 릴케 28
등꽃 아래서 | 송수권 30
마지막 기도 | 레프 니콜라예비치 톨스토이 33
두 번은 없다 | 비스와바 심보르스카 35
내 인생은 장전된 총 | 에밀리 디킨슨 38
집 | 가브리엘라 미스트랄 41
행복 | 헤르만 헤세 44
청춘 | 사무엘 울만 46
시집 「풀잎」의 서문 | 월트 휘트먼 49
아이를 얕보지 마세요 | 로버트 베이든 파월 52
연꽃 피는 날이면 | 라빈드라나트 타고르 54
원무 | 폴 포트 56
서정시를 쓰기 힘든 시대 | 베르톨트 브레히트 58
아내를 위하여 | 이시카와 다쿠보쿠 61
살아남은 자의 슬픔 | 베르톨트 브레히트 64
나무 | 조이스 킬머 66
미뇽 | 요한 볼프강 폰 괴테 68
2
사랑했다고
사랑한다고
사랑할 것이라고
이별 노래 | 정호승 72
바람의 말 | 마종기 74
푸른 밤 | 나희덕 76
애너벨 리 | 에드거 앨런 포 79
내가 죽거든 | 크리스티나 로제티 82
우연 | 쉬즈모 84
상처 | 조르주 상드 86
청명한 공기 | 폴 엘뤼아르 88
핑크 | 아우구스트 슈트람 90
첫 아침 | 빌헬름 뮐러 92
슬픈 노래 | 프랑시스 잠 94
내 사랑은 | 존스 베리 96
첫사랑 | 요한 볼프강 폰 괴테 98
선물 | 기욤 아폴리네르 100
선물 | 사라 티즈테일 102
친구 보내고 | 왕유 104
거리에 비 내리듯 | 폴 베를렌 106
구절초 | 박용래 108
외할머니 | 나태주 110
부부 | 함민복 112
가재미 | 문태준 114
밤 바느질 | 이백 117
산에서 | 요제프 폰 아이헨도르프 118
그리움 | 유치환 120
너는 한 송이 꽃과 같이 | 하인리히 하이네 122
결혼생활 | 칼릴 지브란 124
술 노래 | 윌리엄 버틀러 예이츠 126
3
혼자 우는
밤을 위하여
섬 | 정현종 130
어느 무신론자의 기도 | 이어령 132
갈대 | 신경림 136
서시 | 윤동주 138
영혼에 관한 몇 마디 | 비스와바 심보르스카 140
병病에게 | 조지훈 144
하이쿠 | 탄 타이키 147
편도나무에게 | 니코스 카잔차키스 148
가을 | 라이너 마리아 릴케 150
해 질 녘 | 다니카와 ㅤㅅㅠㄴ타로 152
옛날을 생각함 | 요한 볼프강 폰 괴테 154
인생의 비극은 | 무명 시인 156
해 질 무렵 | 아우구스트 슈트람 158
캄캄한 깊은 잠이 | 폴 베를렌 160
숲에게 | 다니카와 ㅤㅅㅠㄴ타로 162
취하라 | 샤를 피에르 보들레르 164
수선화 | 윌리엄 워즈워스 167
밤 | 가브리엘라 미스트랄 170
가을날 | 라이너 마리아 릴케 172
저녁별 | 사포오 174
나의 방랑생활 | 장 니콜라 아르튀르 랭보 176
쉽게 쓰여진 시 | 윤동주 178
흰 구름 | 헤르만 헤세 181
맑은 밤의 시 | 소강절 183
낙화 | 조지훈 185
남신의주 유동 박시봉방南新義州 柳洞 朴時逢方 | 백석 188
4
희망에는 날개가 있다
나 하나 꽃 피어 | 조동화 194
풀 | 김수영 196
상승 | 사를 피에르 보들레르 198
제주바다1 | 문충성 201
때는 봄 | 로버트 브라우닝 204
삼월 | 에밀리 디킨슨 206
상쾌한 여행 | 요제프 폰 아이헨도르프 208
감각 | 장 니콜라 아르튀르 랭보 210
아침 릴레이 | 다니카와 ㅤㅅㅠㄴ타로 212
서풍의 노래 | 퍼시 비시 셸리 214
희망에는 날개가 있다 | 에밀리 디킨슨 216
산 너머 저쪽 | 카를 부세 218
여행으로의 초대 | 샤를 피에르 보들레르 220
씨 뿌리는 계절, 저녁때 | 빅토르 마리 위고 224
그런 길은 없다 | 메기 베드로시안 226
능금나무에서 | 전봉건 228
벙어리장갑 | 오탁번 230
다리 위에서 | 이용악 233
지금은 좋은 때 | 에밀 베르하렌 235
높은 산속의 저녁 | 헤르만 헤세 238
묘비명 | 나태주 240
살아야겠다 | 폴 발레리 242
풀잎 | 박성룡 243
봄의 말 | 헤르만 헤세 245
용기 | 요한 볼프강 폰 괴테 247
출처 248
저자소개
책속에서
‘그립고 아름답고 슬픈 눈이 온다.’는 마지막 문장이 가슴에 남아 울렁거린다. 커다란 종에서 울려 나온 종소리가 멀리까지 가서 사람들 마음에 맴돌며 오랫동안 지워지지 않듯이. 모처럼 좋은 시를 읽는 일은 그 어떤 것과도 바꿀 수 없는 기쁨이다.
- (나태주, 「눈이 온다」(신경림) 중에서)
이보다 힘찬 웅변이 없다. 인생에 대한 웅변, 삶에 대한 웅변이다. 어느 날 살아가다가 지쳤거나 우울할 때 소리 내어 읽으면 좋을 문장이다. 용기를 얻을 것이다. 스스로 반성이 될 것이다. 아, 아직은 아니구나. 아직은 가능하겠구나.
- (나태주, 「청춘」(사무엘 울만) 중에서)
조연이 있기에 주연이 있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아무리 주연이라 해도 자기 관리를 잘 하지 않으면 하루아침에 나락으로 떨어지고만다. 모름지기 자기를 챙기면서 살아야 할 일이다. 아니다. 다른 사람을 챙겨주면서 살아야 할 일이다.
- (나태주, 「아이를 얕보지 마세요」(로버트 베이든 파월)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