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교양 인문학
· ISBN : 9791195137930
· 쪽수 : 286쪽
· 출판일 : 2015-12-21
책 소개
목차
0. 책을 펴내면서 13
선물 문화 vs 자선 기부 문화 charity & giving
이 책의 내용 구성과 목표
1. 빌 게이츠가 대통령을 만나 악수하는 모습을 언론이 대서특필하는 이유 26
빌 게이츠가 호주머니에 손을 넣고 악수하는 모습에 암시된 의미
미국식 문화인가?
신호 이론, 외연과 내포
빌 게이츠의 왼손과 숨겨진 의미
2. “호주머니에 손을 넣고 Putting my hand in my pocket”는 무슨 뜻인가? 35
연상주의-근접성의 법칙에서 의미
인과관계 법칙에서 의미
상징적 의미
3. 시뮬라크르, 시뮬라시옹- 빌 게이츠의 자선 단체 트러스트 구조 47
변화와 발전의 조건: 다양성의 차이와 자기 동일성의 유지
빌 게이츠의 의사 소통-외연과 내포
4. 바르트의 의미 작용 개념 55
기표, 기의, 의미 작용
디노테이션과 코노테이션
사진의 의미 작용
빌 게이츠가 호주머니에 손을 넣고 악수하는 사진과 의미 작용
5. 월 스트리트에서 교육이 강조되는 이유 67
월 스트리트는 흡혈귀인가?
6. 필연주의와 아담 스미스의 공감 개념 83
아담 스미스의 공감 개념
반대자와의 공존이 필요한 이유
필연주의 철학, 자유 의지, 니세시티
칼빈주의 운명예정설과의 차이점
자기 책임성 vs 사회 책임성
필연주의 입장에서 “바틀비 스토리” 해석
7. 프라이밍 효과 Priming effect 108
연상주의 association of ideas
결사의 자유가 중요한 까닭
동업에 대한 인식 차이
생각의 연쇄 고리 이론
8. 황금률 Golden Rule이란 무엇을 말하는가? 118
‘황금률’의 의미
상호주의와 일관성 원칙
정언 명령
가언 명령
정의의 원칙과 우선적 적용 순서
칸트의 정언 명령의 장점
9. 휴머니즘-“인간의 인간에 대한 사랑” 130
조지 엘리어트의 “휴머니즘교”
포이에르바하의 “기독교의 본질”
‘휴머니즘’의 신조
10. 실업 문제의 해결-마리우스 개혁 135
11. 소크라테스와 인터넷 시대 141
12. 페이스북이 하버드대학에서 탄생한 이유 148
13. 아담 스미드의 모두가 잘사는 경제학 이론 154
개인은 사회적 문화적 소산
자본주의 사회를 지탱하는 3가지 기본원칙
14. ‘나눔 경제’와 ‘우애 복지 국가’ 164
우애 복지 국가 affiliative welfare
15. 왜 미국의 최고 갑부들은 재산을 기부하는 걸까? 167
★ 기부와 자선의 전통 1-셰익스피어의 경구
★ 기부와 자선의 전통 2-아담 스미스의 “보이지 않는 손” 위대한 양심의 힘
★ 기부와 자선의 전통 3-신중함의 가치와 보수성의 가치
16. “자선 charity”은 무엇을 의미하는가?-“믿음 소망 사랑”의 새로운 해석-KJB 182
17. 노블레스 오블리주 Noblesse oblige란 무엇인가? 196
노블레스 오블리주 개념 정의
“높은 사회적 신분 지위에 상응하는 도덕적 의무”로 이해할 때 나타나는 문제점
프랑스에서 “노블레스 오블리주”가 처음 등장한 과정
영미국의 평등 사회-법 앞에 모두가 평등하다-equality before the law
18. 프랑스에서 전개된 “노블레스 오블리주” 213
♣ 노블레스 오블리주-자선과 기부
♣ 남모르게 실천한 자선과 선행은 언제 어떻게 드러날까?
♣ 프랑스에서 처음 등장한 “노블레스 오블리주” 개념-
발자크, “골짜기의 백합” (경험많은 멘토가 사회 진출을 앞둔 젊은 청년들에게 보내는 조언)
19. The Meaning of “Noblesse Oblige” in “The Lily of Valley" 269
참고문헌 279
부록. 청년 희망 펀드 개시 281
저자소개
책속에서
“‘진실한 사람’은 비겁한 위선자가 전혀 아니며 마구잡이로 구는 사람도 결코 아닙니다. … 당신은 매너가 분명하고, 온화한 말투에다, 자부심과 긍지를 갖추고, 어른을 공경하고, 비굴하거나 아첨하지도 않고 예의 바르며, 무엇보다도 신중한 사람이 될 것으로 믿습니다. … 이제 당신은 호감 가는 젊은 청춘, 남들로부터 주목 받는 우아함, 성공을 약속하는 지혜로 탄탄히 무장했음을 선언합니다. 내가 지금까지 말씀 드린 모든 내용은 단 두 단어로 요약될 수 있는데, 바로 프랑스의 전통적인 격언인 “노블레스 오블리주 Noblesse oblige”입니다. 이와 같은 원칙들을 실제 생활에 어떻게 적용해야 하는지 그 부분을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성공의 주된 요인으로써 전략이 필요하다는 점 그리고 군중 사이를 뚫고 나아가는 최고의 상책은 사람들을 서로 싸우게 갈라놓고 그 틈을 이용하는 것에 있다는 그런 말들을 자주 들을 겁니다. (역주 이이제이以夷制夷 정책으로 표현되는 주변국 한 민족이 부흥하지 못하도록 주변 민족간에 서로 이간질시키고 서로 싸우게 만드는 “분리 통치 divide and rule” 정책은 유럽과 아시아의 역사를 통해 존재해왔다. 이런 이이제이 정책은 현대정치이론으로는 “내부 식민지 이론 internal colonialism”으로 이해될 수 있다. 중심부의 이익을 위해서 서로 갈라 싸우게 만든다는 ‘내부식민지론’은 국가간뿐만 아니라 한 국가 내부에서도 적용될 수 있다. 영국의 경우를 잘 설명해 주는 Hechter의 “Internal Colonialism. The Celtic Fringe in British National Development 1536?1966” 논문을 참조하라.) 그러한 방법은 왕권을 서로 다투는 유력자들은 다른 경쟁자들을 서로 싸우도록 함으로써 경쟁자를 제거할 수 있었던 중세 시대에서는 통할 수 있었을 것입니다. 하지만 오늘날은 모든 것이 밝은 대낮에 이루어지므로 당신에게 전혀 도움이 되지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오늘날은 의리 있고 정직한 사람이든 아니면 비방하고 중상모략하고 사기치는 그런 비열한 적수이든지 간에, 일단 경쟁자라면 서로 직접 상대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역주. 어린이들이 자주 빠지기 쉬운 “오줌 멀리 싸기 시합 pissing match” 놀음같이 괜히 쓸데없는 자존심 싸움이랑 하지 말고, 직접 대면하여-face-to-face- “정면돌파”하라는 충고이다.)
빌 게이츠가 대통령을 만나 악수하는 모습을 언론에서 대서특필하는 이유
빌 게이츠가 호주머니에 손을 넣고 악수하는 것에 암시된 의미
악수 handshake는 인종과 언어를 달리해도 서로 통하는 세계 만국의 공통어라고 말한다. 그런데 악수에도 결례가 있는 것일까? 한국의 대통령이 청와대에서 세계 최고의 재산가인 빌 게이츠를 면담했고, 그 다음날 일간신문 1면 머리 기사로 빌 게이츠가 대통령과 악수를 하면서 왼손을 바지 주머니에 넣은 채로 한 손으로 악수를 나눈 사진이 실렸다. 빌 게이츠가 악수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청와대 사진을 살펴보자.
사진과 같이 빌 게이츠가 양복 상의 단추를 풀고 왼손을 바지 호주머니에 넣은 채 한 손으로 대통령과 악수를 나눈 모습을 두고서 많은 사람들이 왈가왈부하고 악수 논란 the handshake furore이 일어났다. 인터넷 뉴스 기사에 달린 댓글의 수가 1600개를 넘었음을 볼 때 국민적 관심도가 무척 높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빌 게이츠는 2008년 청와대를 방문하였을 때도 왼손을 바지 호주머니에 넣고 악수를 하며 똑같은 모습을 보였는데 그 때도 같은 논란이 일어났다.
이러한 빌 게이츠의 악수하는 모습에 대해서 “그가 한국의 대통령을 하대하고 결례를 범했다 disrespecting the South Korean president by his 'rude' handshake”는 지적과 반대로 “미국 특유의 인사법 as an American style of greeting”으로 “문화적 차이 cultural difference”라는 엇갈린 반응이 일어난 것이다. 왜 두 사람이 만나서 반갑게 악수한 사진을 두고서 해석을 달리하고 논란이 일어나는가? 표현과 의미가 서로 차이가 나서인가? 그같이 악수하는 모습이 미국인의 시각에서는 어떤 의미를 주는 것일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