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365일 동양 최고의 지혜 채근담

365일 동양 최고의 지혜 채근담

(곱씹을수록 마음을 끌어당기는 인생 지침서)

홍자성 (지은이), 남덕 (엮은이)
인문학서재
1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3개 5,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8,000원 -10% 400원 6,800원 >

책 이미지

365일 동양 최고의 지혜 채근담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365일 동양 최고의 지혜 채근담 (곱씹을수록 마음을 끌어당기는 인생 지침서)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교양 인문학
· ISBN : 9791195161553
· 쪽수 : 416쪽
· 출판일 : 2014-02-15

책 소개

<채근담>은 중국 명나라 말기 문인 홍자성이 저작한 책이다. 총 359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서양의 탈무드와 비견될 만큼 인생에 대한 깊은 통찰력과 처세 방법이 들어 있으며 대구법을 사용해 운치를 돋운 문장들은 간결하고 시적인 표현이 넘친다.

목차

들어가는 말
1월 바쁜 와중에도 느긋한 멋을 지녀라
2월 어둠이 있어야 빛이 눈부신 줄 안다
3월 의심과 믿음 끝에 얻은 지식이 참되다
4월 만물이 모두 한 몸이다
5월 아름다움이 있으면 반드시 추함이 있다
6월 즉흥적으로 시작하면 곧 멈추게 된다
7월 사람의 마음은 쉽게 움직이고 흔들린다
8월 통달하면 괴로움을 즐거움으로 바꾼다
9월 강한 맛은 짧고 담백한 맛은 길다
10월 흘러가든 멈추든 몸을 맡겨 두라
11월 병이 든 다음에야 건강이 보배임을 안다
12월 속세 안에서 속세를 벗어난다

저자소개

홍자성 (지은이)    정보 더보기
명나라 만력제 연간의 문인이자 성리학자다. 본명은 홍응명(洪應明)이지만 한국과 일본에서는 자성(自誠)이란 자(字)로 불렸다. 호는 환초도인(還初道人)이다. 안휘성 휘주의 부유한 상인 가문 출신이며, 그 고장의 저명한 문인 관료인 왕도곤(汪道昆)의 제자로 추정된다. 1572년경 출생해 청장년 때에는 험난한 역경을 두루 겪고 늦은 나이에는 저술에 종사했다. 1602년에는 도사와 고승의 행적 및 명언을 인물 판화와 곁들여 편집한 『선불기종』 4권을 간행했고, 1610년 무렵에는 『채근담』을 간행했다. 벼슬길에 오르지 않고, 은둔생활을 하며 세상의 도리를 탐구하고 자신만의 언어로 인간의 마음, 삶의 품격, 세상의 이치를 기록했다. ‘채근담’은 ‘채소 뿌리를 씹는다’는 뜻으로, 이 책에는 쓴풀처럼 삶의 진실을 곱씹게 만드는 문장들이 가득하다. 도덕을 강요하지 않고, 교훈을 내세우지 않으며, 조용히 그러나 단단하게 마음의 중심을 일깨운다. 그는 외면의 성공보다 내면의 단단함을 더 중요하게 여겼고, 세상과 적절히 거리를 두되 완전히 떠나지는 않는 절제의 지혜를 설파했다. 『채근담』은 그렇게 수백 년 동안, 삶의 길을 잃은 이들에게 하나의 등불이 되어왔다.
펼치기
남덕 (엮은이)    정보 더보기
욕망에 휘둘리면서 일이 제대로 풀리지 않는다고 괴로워하는 사람들, 성급하게 이루려다 실패하는 사람들뿐 아니라 끊임없이 변화하는 세상의 근본 이치를 이해하고 현실을 살아 나가는 방법을 깨치고자 하는 독자들을 위해 명리학 관련 저서를 꾸준히 집필해 오고 있다. 전통 명리학자인 선생의 바람은 자신의 경험과 학문을 후학들에게 제시함으로써 우리나라의 역학이 세계 무대에 등장하는 데 작으나마 보탬이 되고자 함이 그 첫 번째이고, 두 번째는 세상에 잘못 알려져 있는 명리학의 위상을 바로잡고자 함이다. 선생은 광주 제일고등학교, 외국어대학교 영어과 졸업, 연세대학교 경영대학원 수료, 콜롬비아대학교를 수학했으며 승아기업 뉴욕 지사장과 대표이사를 지냈다. 현재는 남덕 역학연구원 원장, (사)한국 정신과학학회 이사로 있다. KBS, MBC, SBS, 교통방송 등 TV와 라디오 방송에 다수 출연해 강의 및 인터뷰를 했으며, International Herald Tribune(Paris), 중앙일보, 매일경제신문, 한국일보, 문화일보, 일간스포츠, 한국경제신문, 서울경제신문, 월간중앙, 여성조선, 우먼센스, 여성동아, 한겨레21, 시사저널, 이코노미스트, TV저널, 건강丹 등 각종 언론매체와 인터뷰했다. 저서로 『간지체성론』 『운명은 외상을 사절한다』 1권 「사주와 운명」, 2권 「직업과 건강」 『운동을 하면 운이 좋아진다』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낮은 곳에 있은 후에야 높은 곳에 오르는 일이 위험한 줄 알며 어두운 곳에 있은 후에야 밝은 곳으로 나가 눈이 부신 줄 알며 고요함은 지켜봐야 움직임이 수고로운 줄 알고 침묵을 지켜봐야 수다스러움이 시끄러운 줄 알게 된다.

【이야기】
찬바람에 을씨년스러운 가을이었다. 족제비 한 마리가 굶주려 앙상하게 말라 있었다. 열매가 없는 숲속에는 더는 먹을 것이 없었다. 날씨도 점점 추워졌다. 족제비는 추운 날씨에 몸을 떨며 산 밑으로 내려왔다. 그러고는 마을 근처에 곡식을 모아둔 헛간을 발견했다. 헛간에는 쥐들이 다니는 작은 구멍이 뚫려 있어 족제비는 그곳을 통과하여 안으로 들어갔다. 곡식이 가득한 헛간에서 족제비는 배불리 먹으며 행복하게 지냈다. 바깥에 찬바람이 불고 눈이 내려도 족제비는 포식하며 따뜻하게 지낼 수 있었다. 앙상하게 말랐던 족제비의 몸은 어느새 살이 찌고 털에는 윤기가 반질반질했다. 마침내 봄이 왔고 사람들이 씨를 뿌리려고 겨우내 닫아두었던 헛간의 문을 열었다. 깜짝 놀란 족제비는 처음에 자신이 들어왔던 구멍으로 머리를 밀었지만 너무 살이 쪄서 빠져나갈 수가 없었다.
족제비는 사람들에게 붙잡혀 털이 벗겨질 처지에 처했다. 이를 본 생쥐 한 마리가 한심하다는 듯이 말했다.
“구멍은 그대로인데 몸이 저렇게 살이 찌니 제대로 나갈 수 있을 리가 없지.”

【하루를 시작하는 채근담의 말】
불행한 삶을 살다가 행복한 삶을 살면 과거의 불행을 잊기 십상이다. 그러나 낮은 곳을 알아야 높은 곳을 알고 어둠이 있어야 밝음을 아는 법이다. 지금의 상태를 있게 한 과거를 잊어서는 안 된다.
-어둠이 있어야 빛이 눈부신 줄 안다 中


부귀영화를 뜬구름처럼 여기는 기풍이 있다 해도 반드시 바위굴에서 기거할 필요는 없고, 자연을 좋아하는 마음이 없을지라도 항상 스스로 술에 취해 시를 읊는 풍류를 즐기면 된다.

【이야기】
평생 동안 산중의 바위굴에 사는 사람이 있었다. 그는 배가 고플 때는 약초와 풀로 허기를 달랬다. 자신의 수련에만 심혈을 기울일 뿐 세상일이 어떻게 돌아가는지는 전혀 관심을 갖지 않았다. 그는 아이처럼 맑은 눈빛을 가졌고 얼굴은 마흔이 넘어서도 그 나이를 짐작하기 힘든 동안이었다. 그러나 그는 결국 호랑이에게 잡아먹히고 말았다.
그리고 그 근처 마을에는 그와 정반대의 성격을 갖고 있는 사람이 살고 있었다. 그는 자신의 모든 재산을 털어 가난한 사람들을 구제하는 데 전념했다. 돈을 벌 때마다 가난한 사람들에 쓰느라 자신의 몸은 돌보지 못했다. 그러다 그만 전염병에 걸려 나이 마흔 살을 넘기지 못하고 죽고 말았다.

【하루를 시작하는 채근담의 말】
부귀영화가 헛됨을 알고 욕심이 없어도 굳이 세속을 등지고 깊은 산중 굴속에 기거할 필요는 없다. 속세에 발을 담고 있어도 끝까지 그 마음을 지키는 것이 더욱 가치 있다. 이렇듯 자신의 마음이 극단에 이르지 않도록 원만하게 조절해야 한다.

-부귀영화가 뜬구름이어도 바위굴에 살 필요는 없다 中


명예와 이익을 위한 다툼은 남들에게 모두 맡기되 그들이 여기에 열을 올려도 미워하지 말라. 고요하고 담박함은 스스로 즐기되 홀로 깨어 있음을 자랑하지 말라. 이것이 바로 불교에서 이르는 ‘법에도 얽매이지 않고 공에도 얽매이지 않는’ 것이니 몸과 마음이 자유로운 사람이다.

【이야기】
초나라에서 광인인 접여가 노래를 부르며 공자가 머물고 있는 객관 앞을 지나갔다. 그 노래는 공자를 봉황새에 비유하고 있었는데 다음과 같았다.
"봉황새야! 봉황새야! 신령스런 날짐승으로 성군이 세상에 나올 때 춤을 춘다고 들었는데, 렇게 세상이 어지러울 때 드러내다니, 어찌 너의 덕이 그렇게 쇠하였느냐? 지난 일은 말릴 수는 없지만 장차 올 일은 바꿀 수 있으니 그만두어라! 그만두어라! 지금 세상에서 정치를 하는 이들은 위태로울 뿐이로다!"
공자는 이 노래를 듣고 그를 만나려고 했으나 접여는 제 말만 하고는 달아나 버렸다.

【하루를 시작하는 채근담의 말】
사람들은 자신이 많은 이익을 얻기 위해 양보하지 않고 다툰다. 그러나 그 흐름에 휩쓸리지 말고 한 걸음 물러서 있어야 하며 그들을 원망하거나 미워하지 말라. 자신이 스스로 얽매이지 않고 그 깨달음을 자랑하지 않는다면 어디에 처하든 몸도 마음도 모두 자유로울 것이다.

-명예와 이익을 위한 다툼은 남들에게 모두 맡겨라 中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951615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