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책읽기/글쓰기 > 책읽기
· ISBN : 9791195347001
· 쪽수 : 272쪽
· 출판일 : 2015-08-24
책 소개
목차
머리말_ 인간의 단편화에 저항한다
클래식의 감명, 그 심연의 뿌리를 캐는 즐거움: 에드워드 사이드의 『사이드 음악평론』
살아남은 인간의 수치, 그럼에도 희망은 있는가: 프리모 레비의 『가라앉은 자와 구조된 자』
노예노동의 고통조차 넘어서는 인간에 대한 탐구욕: 조지 오웰의 『파리와 런던의 밑바닥 생활』
망각의 절망 속 어렴풋한 희망의 가능성에 대하여: 루쉰의 「망각을 위한 기념」
텍스트와 컨텍스트를 동시에 읽어내는 즐거움: 니콜라이 바이코프의 『위대한 왕』
현대의 지식인들이여, 아마추어로 돌아가라: 에드워드 사이드의 『지식인의 표상』
그대는 침묵으로 살인에 가담하고 있는 것은 아닌가: 이브라힘 수스의 『유대인 벗에게 보내는 편지』
비관적 현실을 냉철하게 응시하는 낙관주의자를 만나다: 요한 하위징아의 『중세의 가을』
관용은 연민이 아니라 생기발랄한 관심이다: 미셸 드 몽테뉴의 『몽테뉴 여행 일기』
미감을 즐길 시간은 오렌지 향보다 길지 않다: 케네스 클라크의 『그림을 본다는 것』
죽음을 금기시한다는 건 삶을 방기하는 것: 필리프 아리에스의 『죽음의 역사』
‘인간’이라는 가치를 포기하지 않기 위하여: 가토 슈이치의 『양의 노래』
‘백장미’를 기억하던 이들은 어디로 사라진 걸까: 잉게 숄의 『아무도 미워하지 않는 자의 죽음』
풍화되는 투쟁, 하지만 정의의 실천을 게을리 말라: 피에로 말베치 등이 엮은 『사랑과 저항의 유서』, 나탈리아 긴츠부르그의 『어느 가족의 대화』
참극의 유대인 거리에 남은 것과 변한 것: 나탈리아 긴츠부르그의 『어느 가족의 대화』, 가와시마 히데아키의 『이탈리아 유대인의 풍경』
용기 있는 패배자, 식민주의 섬기던 이성을 구원하다: 바르톨로메 데 라스카사스의 『인디아스 파괴에 관한 간략한 보고서』
인간해방을 실현하는 그릇으로서의 국가를 옹호하다: 마르크 블로크의 『이상한 패배』
자본주의 시대의 인간, 그 고뇌의 원형: 빈센트 반 고흐의 『반 고흐 서간 전집』
대담_ 우리 시대의 고전과 교양을 찾아서: 서경식, 권영민, 이나라, 이종찬
『내 서재 속 고전』에 언급된 책들
원고 출처
리뷰
책속에서
원래 어떤 책도 짧은 문장으로 그 내용을 충분히 전달할 순 없다. 오히려 이 책은 책에 접근하려 할 때 내가 활용하는 내 나름의 방식의 ‘단면’을 제시한 것이고, 나와 ‘고전’ 간의 대화에 관한 기록이다. ‘단면’이 같은 모양새일 필요는 없다. 오히려 자기 나름의 ‘단면’으로 자신만의 ‘고전’을 찾아내고 그것과 자유롭게 대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 과정이야말로 형식화한 지식이 아니라 진정한 지적 태도로서의 교양이며, 인간을 단편화하려는 힘에 맞서는 저항이다. (‘머리말’ 중에서)
프리모 레비는 자신의 르상티망(원한)을 토로하진 않는다. ‘신’이나 ‘운명’ 같은 초월적인 관념을 만들어내서 분노나 슬픔을 터뜨리거나 거기에서 위로받으려고 하지도 않는다. 그러기는커녕 자기 자신도 용서 없이 까발린다. 그는 다만 깊은 절망의 양상들을 과학자와 같은 솜씨로 해부한다. 냉혹하기조차 한 분석과 기술이 어디까지나 지적으로, 때로는 유머러스하게 펼쳐진다.
레비가 인생 마지막에 이 책을 남긴 것은 타인에게 사실을 알림으로써 그들이 제대로 이해할 수 있도록 하려던 것도 아니었다는 생각이 든다. “사람은 증언을 귀담아들으려 하지 않는다”는 증언을 그 사람들을 향해 말해봤자 무슨 의미가 있겠는가. 그래도 그는 이 증언을 써서 남겼다. 개인의 생물학적 생명 이상의 가치(일단 ‘진실’이라고 해둘 수밖에 없다)를 위해. 그리하여 레비는 설사 아무리 절망적인 것일지라도 진실을 추구하는 것의, 이렇게 말해도 된다면, ‘진정한 지적 즐거움’도 우리에게 준다. (‘살아남은 인간의 수치, 그럼에도 희망은 있는가: 프리모 레비의 『가라앉은 자와 구조된 자』’ 중에서)
그는 죽음을 앞두고 집필한 『오리엔탈리즘』 신판 서문에 이렇게 썼다.
“나는 내가 의도한 것을 ‘인문주의(휴머니즘)’라 불러왔다. 이 말을 세련된 포스트모던 비평가들은 바보 취급을 하며 물리쳤지만, 나는 완고하게 계속 써왔다.”
구미 지식인들 다수가 이미 잃어버렸든지 포기해버린, 이 완고해 보이기조차 한 ‘인문주의’ 정신에서 나는 ‘최후의 승리의 필연성’ 따위를 설파하는 어떤 연설보다도 더 큰 위로와 격려를 받았다. ‘최후의 승리의 필연성’ 따위를 입에 올릴 수 없게 된 시대에 그래도 계속 싸울 수밖에 없는 이들에게 사이드라는 존재는 큰 격려였다. (‘현대의 지식인들이여, 아마추어로 돌아가라: 에드워드 사이드의 『지식인의 표상』’ 중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