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락오 (지은이)
정보 더보기
사주학의 삼대 필독서라고 평가되는 『적천수』, 『자평진전』, 『궁통보감』을 평주하고, 고금의 유명 인물들의 사주를 해설하고, 사주학의 이론을 정리하고 사주학의 연원을 밝히는 등의 일련의 저술 활동을 했으며, 그러한 서락오의 활동으로 인하여 근대와 현대의 명리학이 체계적인 논리구조를 가진 학문으로 정립될 수 있었다.
무엇보다도 서락오의 가장 큰 업적은 용신을 정하는 다섯 가지의 원칙을 최초로 정립했다는 데 있다. 억부용신(抑扶用神), 통관용신(通關用神), 병약용신(病藥用神), 조후용신(調候用神), 전왕용신(專旺用神)의 다섯 가지 용신 정하는 법을 『자평수언』에서 확실하게 밝혀 놓았다. 이것이 현대까지 그대로 공식처럼 전해지고 있다. 또한 체용(體用)을 명확하게 분별하였다. 즉, 일주(日主)=체(體), 월령(月令)=체(體)의 용(用), 용신(用神)=용(用)의 체(體), 희신(喜神)=용(用)의 용(用)이 그것이다.
서락오는 원수산을 선의의 경쟁자로 생각하여, 원수산의 『명리탐원』에 필적하는 『명리심원』을 저술하였고, 원수산의 『명보』에 필적하는 『고금명인명감』을 저술하였으며, 원수산의 『적천수천미』에 필적하는 『적천수징의』를 출판하고 『적천수보주』를 저술한 것이었다. 선의의 경쟁자 두 사람에 의해서 명리학의 이론과 역사가 잘 정리되는 좋은 결과가 생겼다고 할 수 있다.
주요 저서
『궁통보감평주』, 『명리심원(命理尋源)』, 『잡격일람(雜格一覽)』, 『적천수징의(滴天髓徵義)』, 『자평진전평주(子平眞詮評註)』, 『적천수보주(滴天髓補註)』, 『자평수언(子平粹言)』, 『자평일득(子平一得)』, 『명리입문(命理入門)』, 『명리일득(命理一得)』, 『조화원약평주』, 『고금명인명감(古今名人命鑑)』 등
펼치기
김학목 (옮긴이)
정보 더보기
노장철학을 전공한 명리학자로 현재 고려대학교에서 연구교수로 재직. 한국학중앙연구원과 한국연구재단에서 주관한 『한국주역대전』과 『주역절중』 번역에 참여. 역서로는 『박세당의 노자』(2000, 우수학술도서), 『율곡 이이의 노자』, 『노자 도덕경과 왕필의 주』, 『장자 곽상주 해제』, 『초원 이충익의 담노 역주』(2015 우수학술도서) 등, 저서로는 『강화학파의 노자 주석에 관한 연구』, 『명리명강』, 『엄마의 명리공부』 등, 논문으로는 『장자 「소요유」의 상징구조와 마음 비움』, 『명리학, 미신인가 학문인가?』, 『간지와 음양오행의 결합시대』 등이 있음.
다음카페_ 해송과 함께 하는 명리명강
이메일 주소_ dangun2007@hanmail.net
펼치기
이진훈 (옮긴이)
정보 더보기
•대전 출생
•공주대학교대학원 역리학 석사
•2007년 대전광역시 동구 사무관 명예퇴직
•한밭대학교평생교육원 강사
•대한불교생활실천선교종 계룡산 자은사 주지
•저서 『눈썹도인과함께하는명리여행』, 『상리』, 『통변의기술』
•역서 『자평수언1,2,3,4』
YouTube / 유티비(눈썹도인) 방영중
펼치기
김규승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63년 서울 출생, 중앙대 연극영화과 졸업
·숭실대 철학과 졸업
·판테온-쏘르본느 파리 1대학(universite pantheon-sorbonne Paris1) 조형예술 및 예술학(Arts plastiques &SC. Art) 전공
·현재 한중철학회 섭외간사
·도서출판 어은 대표이사
펼치기
오청식 (옮긴이)
정보 더보기
·전북 김제 출신, 전북대 경영학과 학부·석사
·동방대학원대학교 「기문둔갑 ‘연파조수가’에 관한연구」로 박사학위 취득
·원광대학교 「손자의 태을둔갑 연구」로 재차 박사학위취득
·현재 원광대학교와 원광디지털대학교에서 강의 중
주요저서·번역서·논문
연해자평, 자평진전평주, 시가기문둔갑입문, 손자의 군사사상 연구 등
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