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고금명인명감

고금명인명감

(古今名人命鑑)

서락오 (지은이), 김기승 (옮긴이)
다산글방
2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2,000원 -0% 0원
660원
21,34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고금명인명감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고금명인명감 (古今名人命鑑)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동양철학 일반
· ISBN : 9791160781144
· 쪽수 : 440쪽
· 출판일 : 2019-08-09

책 소개

중국 역대왕조 황제들의 사주와 각계 명인들의 사주를 모아 해석한 책이다. 사주명조에 대하여 인물의 생애사적 관점에 대입하여 논한 것이 특징으로 사주명리의 이론은 없고 오직 명조를 모아 놓고 간략한 설명을 붙였다.

목차

제1부 고대 제왕 명조(古代帝王命造)

[001] 元世祖 忽必烈(원세조 홀필렬)
[002] 元順帝(원순제)
[003] 明太祖 朱元璋(명태조 주원장)
[004] 明建文帝(명건문제)
[005] 明成祖 朱棣(명성조 주체)
[006] 明穆宗 隆慶(명목종 융경)
[007] 明神宗 萬曆(명신종 만력)
[008] 明武宗 正德(명무종 정덕)
[009] 明世宗 嘉靖(명세종 가정)
[010] 明光宗 泰昌(명광종 태창)
[011] 明憙宗 天啓(명희종 천계)
[012] 明思宗 崇禎(명사종 숭정)
[013] 李太后(이태후)
[014] 淸太宗 天聰(청태종 천총)
[015] 淸世祖 順治(청세조 순치)
[016] 淸成祖 康熙(청성조 강희)
[017] 淸世宗 雍正(청세종 옹정)
[018] 淸高宗 乾隆(청고종 건륭)
[019] 淸仁宗 嘉慶(청인종 가경)
[020] 淸宣宗 道光(청선종 도광)
[021] 淸文宗 咸豊(청문종 함풍)
[022] 淸穆宗 同治(청목종 동치)
[023] 淸德宗 光緖(청덕종 광서)
[024] 宣統 溥儀(선통 부의)
[025] 慈禧厚 西太后(자희후 서태후)


제2부 역대 명인 명조(歷代名人命造)

[026] 孔子(공자)
[027] 顔子(안자)
[028] 韓信(한신)
[029] 猗頓(의돈)
[030] 石崇(석숭)
[031] 陶朱公 范蠡(도주공 범려)
[032] 韓愈(한유)
[033] 呂洞賓(여동빈)
[034] 范祖禹(범조우)
[035] 歐陽脩(구양수)
[036] 文潞公 彦博(문로공 언박)
[037] 富弼(부필)
[038] 寇準(구준)
[039] 邵康節(소강절)
[040] 范仲淹 文正(범중엄 문정)
[041] 韓琦 魏公(한기 위공)
[042] 呂惠卿(여혜경)
[043] 王安石(왕안석)
[044] 楊令公(양령공)
[045] 章惇 子厚(장돈 자후)
[046] 蔡京(채경)
[047] 蘇東坡(소동파)
[048] 佛印禪師(불인선사)
[049] 丘濬(구준)
[050] 秦檜(진회)
[051] 岳飛(악비)
[052] 朱文公 熹(주문공 희)
[053] 李綱(이강)
[054] 賈似道(가사도)
[055] 史彌遠(사미원)
[056] 眞西山 德秀(진서산 덕수)
[057] 趙孟府(조맹부)
[058] 元托克托(원탁극탁)
[059] 庫庫(고고)
[060] 達什特穆爾(달집특목이)


제3부 명대 명인 명감(明代名人命鑑)

[061] 于謙 忠肅(우겸 충숙)
[062] 王陽明 王守仁(왕양명 왕수인)
[063] 張居正(장거정)
[064] 嚴嵩(엄숭)
[065] 嚴世蕃(엄세번)
[066] 趙文華(조문화)
[067] 徐階(서계)
[068] 劉瑾(유근)
[069] 李東陽(이동양)
[070] 楊一淸(양일청)
[071] 劉瑜伯溫子襲爵誠意伯(유유백온자습작성의백)
[072] 楊溥(양부)
[073] 楊榮(양영)
[074] 海瑞(해서)
[075] 李春芳(이춘방)
[076] 胡宗憲(호종헌)
[077] 戚繼光(척계광)
[078] 劉大夏(유대하)
[079] 高耀(고요)
[080] 王崇古(왕숭고)
[081] 高拱椒山(고공초산)
[082] 楊繼盛(양계성)
[083] 王鳳洲 世貞(왕봉주 세정)
[084] 王鴻儒(왕홍유)
[085] 王象乾(왕상건)
[086] 方逢時(방봉시)
[087] 方從哲(방종철)
[088] 董其昌(동기창)
[089] 謝遷(사천)
[090] 仇鸞(구란)
[091] 雄廷弼(웅정필)
[092] 楊鎬(양호)
[093] 夏言(하언)
[094] 王鏊(왕오)
[095] 楊漣(양련)
[096] 袁宗道(원종도)
[097] 兪大猷(유대유)
[098] 孫承宗(손승종)
[099] 熊文燦(웅문찬)
[100] 周延儒(주연유)
[101] 沈一貫(심일관)
[102] 聞淵(문연)
[103] 潘漢(반한)
[104] 商輅(상로)
[105] 崔呈秀(최정수)
[106] 孫傳庭(손전정)
[107] 李維楨(이유정)
[108] 趙南星(조남성)
[109] 李成梁(이성량)
[110] 祖大壽(조대수)
[111] 盧象昇(노상승)
[112] 史可法(사가법)
[113] 馮保太監(풍보태감)
[114] 魏忠賢(위충현)
[115] 馬士英(마사영)
[116] 馬文升(마문승)
[117] 闕名(궐명)
[118] 闕名(궐명)
[119] 倪元潞(예원로)


제4부 청대 명인 명조(淸代名人命造)

[120] 洪承疇(홍승주)
[121] 錢謙益(전겸익)
[122] 馮銓(풍전)
[123] 費淳(비순)
[124] 張廷玉(장정옥)
[125] 岳鍾琪(악종기)
[126] 阮元(완원)
[127] 和坤(화곤)
[128] 劉墉(유용)
[129] 鐵保(철보)
[130] 戴衢亨(구대형)
[131] 董誥(동고)
[132] 朱珪(주규)
[133] 熊學鵬(웅학붕)
[134] 謝墉(사용)
[135] 駱秉章(락병장)
[136] 胡林翼(호림익)
[137] 曾國藩 文正公(증국번 문정공)
[138] 彭玉麟 剛直公(팽옥린 강직공)
[139] 曾國筌(증국전)
[140] 左宗棠 文襄公(좌종당 문양공)
[141] 稽曾筠(혜증균)
[142] 瞿鴻璣(구홍기)
[143] 張之洞(장지동)
[144] 周玉山(주옥산)
[145] 李鴻章(이홍장)
[146] 岑春煊(잠춘훤)
[147] 盛宣懷(성선회)
[148] 陳夔龍(진기룡)
[149] 馮煦(풍후)
[150] 樊樊山(번번산)


제5부 근대 명인 명조(近代名人命造)

[151] 袁世凱(원세개)
[152] 黎元洪(여원홍)
[153] 馮國璋(풍국장)
[154] 徐世昌(서세창)
[155] 段祺瑞(단기서)
[156] 曹錕(조곤)
[157] 吳佩孚(오패부)
[158] 張作霖(장작림)
[159] 張勳(장훈)
[160] 江朝宗(강조종)
[161] 閻錫山(염석산)
[162] 徐樹錚(서수쟁)
[163] 畢庶徵(필서징)
[164] 張宗昌(장종창)
[165] 唐繼堯(당계요)
[166] 蔡成勳(채성훈)
[167] 李純(이순)
[168] 朱瑞(주서)
[169] 齊燮元(제섭원)
[170] 孫傳芳(손전방)
[171] 盧永祥(노영상)
[172] 周蔭人(주음인)
[173] 趙恒惕(조항척)
[174] 張敬堯(장경요)
[175] 王占元(왕점원)
[176] 王承斌(왕승빈)
[177] 商震(상진)
[178] 孫寶琦(손보기)
[179] 梁士詒(양사이)
[180] 袁克文(원극문)
[181] 王克敏(왕극민)
[182] 張弧(장호)
[183] 葉恭綽(엽공작)
[184] 潘復(반복)
[185] 朱桂莘(주계신)
[186] 楊宇霆(양우정)
[187] 靳雲鵬(근운붕)
[188] 張一麟(장일린)
[189] 龔心湛(공심담)
[190] 高凌尉(고능위)
[191] 陳錦濤(진금도)
[192] 孫洪伊(손홍이)
[193] 谷鍾秀(곡종수)
[194] 王輯唐(왕집당)
[195] 吳光新(오광신)
[196] 張志潭(장지담)
[197] 張英華(장영화)
[198] 楊森(양삼)
[199] 鄧錫侯(등석후)
[200] 陳光遠(진광원)
[201] 孫中山 文(손중산 문)
[202] 蔣奉化=蔣介石(장봉화=장개석)
[203] 汪兆銘 精衛(왕조명 정위)
[204] 宋子文(송자문)
[205] 胡漢民 展堂(호한민 전당)
[206] 黃克强(황극강)
[207] 孫科 哲生(손과 철생)
[208] 孔祥熙 庸之(공상희 용지)
[209] 張學良(장학량)
[210] 馮玉祥(풍옥상)
[211] 李濟深(이제심)
[212] 李烈鈞(이열균)
[213] 柏文蔚(백문울)
[214] 唐紹儀(당소의)
[215] 張人傑(장인걸)
[216] 張繼(장계)
[217] 陳濟棠(진제당)
[218] 陳調元(진조원)
[219] 程潛(정잠)
[220] 劉鎭華(유진화)
[221] 唐生智(당생지)
[222] 顔惠慶(안혜경)
[223] 王寵惠(왕총혜)
[224] 王正廷(왕정정)
[225] 羅文幹(나문간)
[226] 顧維鈞(고유균)
[227] 黃郛(황부)
[228] 蔣作賓(장작빈)
[229] 薛篤弼(설독필)
[230] 熊希齡(웅희령)
[231] 薩鎭永(살진영)
[232] 陳炯明(진형명)
[233] 陳銘樞(진명추)
[234] 蔡廷楷(채정해)
[235] 湯玉麟(탕옥린)
[236] 徐源泉(서원천)
[237] 萬福麟(만복린)
[238] 鹿鍾麟(녹종린)
[239] 李鼎新(이정신)
[240] 林建章(임건장)
[241] 方本仁(방본인)
[242] 董康(동강)
[243] 李根源(이근원)
[244] 許世英(허세영)
[245] 朱慶瀾(주경란)
[246] 張乃燕(장내연)
[247] 吳經熊(오경웅)
[248] 鄭洪年(정홍년)
[249] 蔣百器(장백기)
[250] 張學銘(장학명)
[251] 朱光沐(주광목)
[252] 袁良(원량)
[253] 傅宗耀(부종요)
[254] 錢永銘(전영명)
[255] 周作民(주작민)
[256] 張嘉璈(장가오)
[257] 虞和德(우화덕)
[258] 榮宗敬(영종경)
[259] 黃金榮(황금영)
[260] 杜月笙(두월생)
[261] 張嘯林(장소림)
[262] 章炳麟(장병린)
[263] 袁伯夔(원백기)
[264] 胡適(호적)
[265] 徐謙(서겸)
[266] 日本 昭和天皇(일본 소화천황)
[267] 鄭孝胥(정효서)
[268] 陳寶琛(진보침)
[269] 張作相(장작상)
[270] 梅蘭芳(매란방)
[271] 筍慧生(순혜생)
[272] 楊小樓(양소루)
[273] 孟小冬(맹소동)
[274] 蔣驢子(장려자)
[275] 樂吾自造(낙오자조)

제6부 부. 왕희문 평 명리(附. 汪希文評命理)

[276] 康有爲(강유위)
[277] 梁任公(양임공)
[278] 朱啓鈐(주계검)
[279] 張宗昌(장종창)
[280] 孫傳芳與施劍翹(손전방과 시검교)
[281] 熊希齡(웅희령)
[282] 章太炎(장태염)
[283] 徐樹錚(서수쟁)
[284] 段祺瑞(단기서)
[285] 袁世凱與康熙(원세개와 강희)
[286] 徐世昌(서세창)
[287] 馮國璋(풍국장)
[288] 黎元洪(여원홍)
[289] 張作霖(장작림)
[290] 曹錕(조곤)
[291] 吳佩孚(오패부)
[292] 孫中山(손중산)
[293] 黃興(황흥)
[294] 胡展堂(호전당)
[295] 于右任(우우임)
[296] 馬歇爾(마헐이) = 맥아더
[297] 溥儀(부의)
[298] 李濟深(이제심)
[299] 伍憲子(오헌자)
[300] 陳公博(진공박)
[301] 汪精衛(왕정위)
[302] 葉譽虎 恭綽(엽예호 공작)
[303] 許崇智(허숭지)
[304] 陳濟棠與胡適之(진제당과 호적)
[305] 胡展堂與劉紀文(호전당과 유기문)
[306] 劉紀文與汪希文(유기문과 왕희문)

저자소개

서락오 (지은이)    정보 더보기
사주학의 삼대 필독서라고 평가되는 『적천수』, 『자평진전』, 『궁통보감』을 평주하고, 고금의 유명 인물들의 사주를 해설하고, 사주학의 이론을 정리하고 사주학의 연원을 밝히는 등의 일련의 저술 활동을 했으며, 그러한 서락오의 활동으로 인하여 근대와 현대의 명리학이 체계적인 논리구조를 가진 학문으로 정립될 수 있었다. 무엇보다도 서락오의 가장 큰 업적은 용신을 정하는 다섯 가지의 원칙을 최초로 정립했다는 데 있다. 억부용신(抑扶用神), 통관용신(通關用神), 병약용신(病藥用神), 조후용신(調候用神), 전왕용신(專旺用神)의 다섯 가지 용신 정하는 법을 『자평수언』에서 확실하게 밝혀 놓았다. 이것이 현대까지 그대로 공식처럼 전해지고 있다. 또한 체용(體用)을 명확하게 분별하였다. 즉, 일주(日主)=체(體), 월령(月令)=체(體)의 용(用), 용신(用神)=용(用)의 체(體), 희신(喜神)=용(用)의 용(用)이 그것이다. 서락오는 원수산을 선의의 경쟁자로 생각하여, 원수산의 『명리탐원』에 필적하는 『명리심원』을 저술하였고, 원수산의 『명보』에 필적하는 『고금명인명감』을 저술하였으며, 원수산의 『적천수천미』에 필적하는 『적천수징의』를 출판하고 『적천수보주』를 저술한 것이었다. 선의의 경쟁자 두 사람에 의해서 명리학의 이론과 역사가 잘 정리되는 좋은 결과가 생겼다고 할 수 있다. 주요 저서 『궁통보감평주』, 『명리심원(命理尋源)』, 『잡격일람(雜格一覽)』, 『적천수징의(滴天髓徵義)』, 『자평진전평주(子平眞詮評註)』, 『적천수보주(滴天髓補註)』, 『자평수언(子平粹言)』, 『자평일득(子平一得)』, 『명리입문(命理入門)』, 『명리일득(命理一得)』, 『조화원약평주』, 『고금명인명감(古今名人命鑑)』 등
펼치기
김기승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기대학교 직업학석사, 직업학박사 국제문화대학원대학교 교육학박사 연세대학교 법학전공 석사 현)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동양학과 교수 글로벌사이버대학교 동양학과 겸임교수 국제문화대학원대학교 명리철학과 교수 경기대학교 국제문화대학원 동양학과 교수 현) 사단법인 한국작명가협회 고문 현) 과학명리학회 회장 주요 저서 현대사주 심리학, 명리와 직업선택, 산음 자평진전, 명리학정론(상·하), 자평 만세력, 자원오행성명학, 명리학사, 명리진로학습코칭, 십성의 기질과 사회성, 고금명인명감, 궁통보감, 적천수천미, 명리약언, 음양오행의 역사와 원리, 과학명리, 영어이름 짓기 사전, 놀라운 선천지능, 타고난 재능이 최고의 스펙이다, 격국용신 정해, 사주심리치료학, 사주심리와 인간경영 등 시집 - 염하강의 아침, 당신의 정원, 목련화에게, 봄 햇살, 별의 그리움, 꿈꾸는 시간, 들꽃향기 에세이 - 세상의 두 얼굴 꽃과 곰팡이, 더 기프트 소설 - 운명을 걷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