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인간은 왜 전쟁을 하는가

인간은 왜 전쟁을 하는가

(고고학으로 읽는 전쟁의 탄생)

마쓰기 타케히코 (지은이), 천선행 (옮긴이)
생각과종이
19,8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7,820원 -10% 0원
990원
16,83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인간은 왜 전쟁을 하는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인간은 왜 전쟁을 하는가 (고고학으로 읽는 전쟁의 탄생)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고고학
· ISBN : 9791195597789
· 쪽수 : 348쪽
· 출판일 : 2021-12-27

책 소개

죽은 이들의 흔적으로 살펴보는 전쟁의 민낯. 시대별로 정리한 전쟁사가 아닌 고고학을 통한 근본적인 답을 하고 있다. 더 나아가 전쟁이 과거 사회에 미친 영향을 크게 평가해서, 현대의 전쟁이 오늘날의 사회와 사람들에게 또는 다음 세대에게 미치는 수많은 영향을 바로 알리고 있다.

목차

1장 전쟁의 근원을 좇아서
1 투쟁 본능과 전쟁에 대해 / 8
2 전쟁은 언제 시작되었는가 / 14
3 전쟁은 왜 일어나는가 / 24

2장 전사의 탄생— 야요이시대의 전투
1 전투가 시작되는 일본열도 / 32
2 격화되는 전투 / 45
3 야요이시대의 전투를 복원하다 / 65
4 ‘사상思想’화하는 전투 / 72

3장 영웅들의 시대— 야요이시대에서 고분시대로
1 고대 국가 이전의 ‘영웅시대’ / 82
2 단검・대도・동촉으로 무장을 혁신하다 / 93
3 한반도의 철을 찾아 바다를 건넌 왜인들 / 105
4 영웅의 등장 / 116
5 영웅숭배 사상 / 127

4장 왜군의 탄생— ‘경제 전쟁’으로서의 대외 전쟁
1 도시 국가적인 고대사회, ‘왜倭’ / 134
2 히미코卑弥呼의 등장 / 141
3 거대 고분의 시대 / 154
4 바다를 건너는 영웅들 / 165
5 왜군은 어떻게 만들어졌는가 / 173
6 왜군, 패하다 / 183
7 왜왕과 장군들의 연합왕권 ‘왜’ / 191

5장 영웅에서 귀족으로— 고대 국가의 형성
1 다양한 무력의 형태 / 206
2 이제는 ‘원시’가 아니다 / 210
3 변질되어가는 영웅 / 215
4 이와이磐井의 전쟁 / 222
5 정치적 전쟁으로의 전환 / 237
6 내란과 국제전쟁 / 247
7 율령적 군대의 완성 / 258

6장 국가의 형태, 무력의 형태— 고대에서 중세로
1 고대 일본의 군사적 특질 / 266
2 무사의 등장 / 270
3 일본열도의 군사 혁명과 사회 변화 / 279
4 일본의 군사적 특질 / 284
5 정복 전쟁 결여와 외적 부재가 만든 통일 / 293

7장 전쟁을 없앨 수 있는가?
1 전쟁 억제의 두 열쇠 / 310
2 전쟁 억제로 가는 멀지만 착실한 발걸음 / 314

후기 / 327
역자 후기 / 329
부록 / 335

저자소개

마쓰기 타케히코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61년 에히메(愛媛)현에서 태어났다. 오사카(大阪)대학 대학원 문학연구과 박사과정을 수료하고, 오카야마(岡山)대학 문학부 교수로 부임했다. 현재는 국립역사민속박물관 고고연구계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전공은 고고학으로 문학박사(오사카대학)를 취득했다. 2008년 ‘전집 일본의 역사1(全集日本の歴史1)’ 중에서 『열도창세기–구석기·조몬·야요이·고분시대(列島創世記–旧石器·縄文·弥生·古墳時代)』로 ‘산토리(サントリ―)학예상’을 수상하였다. 주요 저서로는 『일본열도의 전쟁과 초기국가형성(日本列島の戦争と初期国家形成)』, 『진화고고학의 대모험(進化考古学の大冒険)』, 『고분이란 무엇인가–인지고고학으로 본 고대(古墳とはなにか–認知考古学からみる古代)』, 『미도굴고분과 천황릉고분(未盗掘古墳と天皇陵 古墳)』, 『미의 고고학–고대인은 무엇에 매혹되어왔는가(美の考古学–古代人は何に魅せられてきたか)』, 『조몬과 켈트(縄文とケルト)』 등이 있다
펼치기
마쓰기 타케히코의 다른 책 >
천선행 (옮긴이)    정보 더보기
부산대학교 고고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 대학원 사학과에서 석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일본 리츠메이칸대학교 대학원 문학연구과에서 고고학을 전공했고, 현재 전라문화유산연구원장으로 재직 중이다. 번역서로는 『거대한 고분에 새겨진 고대인들의 죽음에 관한 관념』(2019), 『일본 신석기시대 생업과 주거』(2015)가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벼농사와 함께 무기를 지니고 쓰시마 해협을 건너 규슈 북쪽 해안에 상륙한 사람들은 이처럼 이미 무기와 전쟁에 대해 잘 알고 있던 격동의 한반도에서 태어나고 자란 이들이었다. 경우에 따라 다르지만 그들은 격동 속에서 쫓겨나 새로운 땅을 찾아 건너왔을지도 모른다. 어떻든 그들은 도구로서의 무기만이 아니라, 집단을 아우르는 조직적인 무력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전란사회의 사고를 가지고 있었고, 이것을 하나의 사회적인 행동원리로 삼았던 것으로 보인다. 항상 무기를 주위에 준비해두고 취락 주위에 도랑을 둘러 적을 경계하는 습성은 바로 그 행동원리의 표현이라고 할 수 있다.


벼농사 초기에 규슈로부터 동쪽으로 확산된 전투는 벼농사를 위해 조금이라도 유리한 영역을 확보하려는 농경민 집단 사이에서 비롯되었다. 국립역사민속박물관의 하루나리 히데지春成秀爾는 이 전투가 처음에는 벼농사에 유리한 위치를 선점한 집단과 나중에 그 위치를 노리는 집단이 경작지를 두고 벌인 전투였다고 생각한다.


게다가 왜인이 한반도로 건너간 또 하나의 큰 목적이 있다. 바로 철이다. 1세기부터 3세기라고 하면 가장 먼저 철기가 확산되기 시작한 규슈 북부를 포함해 그 이외의 일본열도 각지에도 철기가 전해져 석기와 거의 교체되던 시기에 해당한다. 그 사이에 일본열도에서는 철의 수요가 착실하게 증가하고 있었는데, 그 수요를 충족시킬 정도로 일본열도 안에서 철이 생산된 흔적은 아직 확실히 발견되지 않았다. 통설대로 이 단계에 철기 소재의 대부분은 일본열도 외부에서 유입되었다고 생각해도 좋을 것이다. 입수처를 몇몇 추정할 수 있는데, 주된 것은 가장 왜와 가까운 곳에 있고 오래전부터 철 자원을 개발하고 있던 한반도 남부였다고 생각된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