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자기계발 > 리더십 > 리더십
· ISBN : 9791195607631
· 쪽수 : 320쪽
· 출판일 : 2015-10-06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1. 판단을 빼라 : 베스트 직원마저 망칠 텐가
최고의 직원이 최악의 직원으로 20
보스의 확증편향이 문제 25
브레인스토밍이 효과가 없는 이유 28
리더의 의견이 회의실에서 가장 위험하다 34
리더는 의사결정자가 아니라 실험가여야 한다 39
한국의 보스들은 왜 실험가가 되기 어렵나 45
나의 옳음에 중독되지 마라 48
내 마음의 내레이터가 돼라 53
2. 관리를 빼라 : 좀비 직원 만들 텐가
통제 관리 지시하고 싶은 욕망 62
기업에서 CEO가 스트레스를 가장 덜 받는다 65
임원들은 왜 휴일에 회사를 나오고 싶어 할까 69
통제와 관리는 순응을 낳는다 72
순응은 붕어빵 인간을 양산한다 75
순응은 선량한 사람을 살인자로 만든다 80
순응은 좀비 직원을 만든다 85
고래도 춤추게 하는 동기부여의 황금법칙 ARC 89
신입직원이 힘들게 입사한 대기업을 떠나는 이유 94
지시대로만 일하면 차라리 내보내라 98
아예 보스를 없애버린 기업들 103
재능이 아니라 노력을 칭찬하라 111
3. 말을 빼라 : 보스가 입 닫아야 팀 성과가 높다
보스가 말을 줄이기 어려운 이유 123
리더가 말을 줄이면 조직 성과가 높아진다 126
일주일에 하루는 ‘보스 침묵의 날’로 131
회의실 책상부터 바꿔라 133
직원에게 안전하다는 느낌을 줘라 136
부하는 0.07초 안에 당신을 적으로 인식한다 140
나쁜 소식을 전하는 직원에게 상을 줘야 142
리더의 대화지능을 높여라 147
대화지능을 떨어뜨리는 두 개의 적 152
4. 자신감을 빼라 : 무지야말로 자신감의 원천
무능한 사람일수록 자신감에 넘친다 161
잘되면 내 탓, 못되면 조상 탓 : 운과 실력을 구분 못 한다 169
하나를 하고, 다섯을 했다 생각하는 까닭은 175
자신감이 강한 사람은 배우지 못한다 179
“나는 사심이 없다”는 말은 독선과 독재의 신호 182
겸손 + 결의 = 최고의 리더 187
구글은 겸손한 사람을 뽑는다 189
자기의심 + 결의 = 전진 194
자신감이 낮은 사람이 진정한 대가가 된다 199
5. 야근을 빼라 : 야근을 자주 시키는 상사는 해고하라
워크홀릭은 1위, 업무몰입도는 하위권 210
저녁 있는 삶을 돌려주면 생산성이 올라간다 212
헨리 포드는 100년 전에 깨달았다 218
야근은 올바른 의사결정을 방해하는 주범 221
이중 불행의 삶을 사는 한국 직장인들 226
누군가 야근이 잦다면 그의 상사를 해고하라 230
너무 오래 일하는 동료는 말리는 게 동료애 232
6. 악질을 빼라 : 악행은 전염병이다
악질은 직장을 지옥으로 만든다 244
악질은 개인과 조직을 병들게 한다 247
보스의 뇌 안에는 사나운 개가 산다 250
악행은 전염병이다 255
악질은 자신이 악질인지 모른다 259
악질 보스는 어느새 바보가 되고 만다 265
임팩트와 영향을 구분하라 267
호감이 능력을 이긴다 271
직장 내 악질에는 징벌적 손해배상 적용해야 277
7. 인센티브를 빼라 : 창조성과 내적 동기를 파괴한다
인센티브는 인간에게 효과가 없다 287
인센티브는 내적 동기를 파괴한다 290
인센티브는 창의력을 갉아먹는다 295
왜 인센티브가 유행할까 303
인센티브에 강하게 반응하는 직원 경계해야 306
보너스 없이 애초부터 높은 급여를 줘라 309
직원에게 좋은 게 기업에도 좋다 313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필패 신드롬이 무서운 까닭은 보스의 선량한 의도가 직원을 망칠 수 있다는 점에 있다. 통상적으로 직원을 최악으로 만들어 버리는 보스라고 하면 악질 보스의 이미지가 떠오른다. 부하 직원을 이용만 하고 그의 공을 가로채는 악질 말이다. 그러나 필패 신드롬에 빠진 보스에게는 그런 악한 마음이 없다. 김 보스 씨 역시 이 대리를 괴롭힐 의도는 전혀 없었다. 다만 그가 일하는 방식에 문제가 있는 것 같아 도와주려고 개입한 것이다.
- <최고의 직원이 최악의 직원으로> 중에서
“하마(Hippo)는 아프리카에서 가장 위험한 동물 중 하나다. 회의실에서도 마찬가지다.” 그렇다면 회의실의 하마는 누구일까? 바로 ‘급여를 가장 많이 받는 사람의 의견(Highest Paid Person’s Opinion)을 뜻한다. 영문 단어 첫 자를 따서 모으면 Hippo, 바로 하마가 되기 때문이다. 이 말은 결국 CEO나 임원, 부서장 등 보스의 의견이 회의실에서 가장 위험하다는 말과 다름없다.
- <리더의 의견이 회의실에서 가장 위험하다> 중에서
“만약 CEO의 생각을 임원들이 내면화한다고 해보죠. 그리고 임원들의 생각을 부장들이 내면화하고, 부장의 생각을 차장과 과장이 내면화하고, 일반 사원들이 차장과 과장의 생각을 내면화한다고 해보죠. 그러면 조직 구성원들은 최고 우두머리인 CEO의 생각과 의견을 중심으로 사고방식이 점점 비슷해질 것입니다.” 결국 통제와 관리는 순응을 낳고, 순응은 조직원을 붕어빵으로 만든다.
- <순응은 붕어빵 인간을 양산한다> 중에서
직장 내 악질 중 다수가 보스인 이유는 무엇일까? 보스의 뇌 안에는 ‘사나운 개’가 산다. 그 개는 부하 직원의 감정을 무시하고, 자신의 이익을 위해 부하 직원을 이용하고 착취하려 든다. 훌륭한 리더들의 뇌 안에도 사나운 개가 살기는 마찬가지다. 다만 이들은 개줄을 단단히 부여잡고 스스로 개가 되지 않기 위해 노력한다.
- <보스의 뇌 안에는 사나운 개가 산다> 중에서
P&G의 위스콘신 공장에서는 초과근무가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10년 이상 장기간 추적 조사했다. 직원들에게 초과 근무를 시켜 주당 근무시간을 40시간에서 50시간으로 늘렸더니 생산성이 떨어졌다. 6주 뒤에는 오히려 회사에 손해가 됐다. 초과근무를 통해 얻는 이득보다 비용이 더 커졌기 때문이다.
- <저녁 있는 삶을 돌려주면 생산성이 올라간다> 중에서
상당수 기업에서는 직원이 개발한 혁신적인 아이디어로 수익이 발생하면 그중 일부를 직원들에게 인센티브로 돌려준다. 그런데 바우먼 박사팀은 인센티브비율을 10퍼센트에서 90퍼센트로 확 높여 보았다. 그랬더니, 쓸모 없는 제안만 2배로 증가했다. 혁신적인 제안의 증가율은 사실상 0퍼센트였다. 인센티브를 9배나 높였는데 창조적인 아이디어를 얻는 데에는 아무 효과가 없었던 것이다
- <인센티브는 창의력을 갉아먹는다>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