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한 권으로 읽는 신령한 동식물사록

한 권으로 읽는 신령한 동식물사록

강예달 (지은이)
금림
2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5,200원 -10% 0원
1,400원
23,8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8개 18,49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한 권으로 읽는 신령한 동식물사록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한 권으로 읽는 신령한 동식물사록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사 일반
· ISBN : 9791197098796
· 쪽수 : 402쪽
· 출판일 : 2023-05-01

책 소개

어디서도 찾아보기 어려운, 조상들의 지혜와 사상을 이해할 수 있는 기회. 성균관대학교 석사 졸업 역사학도의 전문성을 담아 정확하고 고증된 역사 이야기를 접할 수 있다.

목차

책을 펴내며
고대 역사 속 신령한 동물들
나라와 우주를 수호하는 사신
백제금동대향로의 신비한 동물들
나라의 수호신, 십이지신
태평성대를 알리는 신통한 동물, 사령
조선시대 신이한 동물들
물 속 신통한 동물들
우리나라를 지켜온 신목
마을을 지키는 나무들
인간계와 천상계를 잇는 성체, 꽃
참고문헌

저자소개

강예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우리나라직업사전을 집필한 강예달은 단국대학교 역사학과 학사를 졸업하고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사학과 조선시대전공 석사를 졸업했다. 현재 금림출판사를 운영하며 우리나라의 새로운 역사를 소개하는 책을 집필하고 있다. 현재 <한 권으로 읽는 동식물사록>, <여신의 나라-한국편>, <영묘한 우리 땅 이야기> 등을 비롯하여 다양한 우리나라의 숨겨진 역사를 발굴하고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1) 고대 역사 속 신령한 동물들

동물은 자연의 일부이자 사람과 더불어 살아가는 존재이다. 야생에서 만난 동물은 자기보호와 생존을 위해 사람을 공격하지만, 가축으로 길들여진 동물은 사람에게 여러 도움을 준다. 사람에게 도움을 주거나 위협하기도 하는 존재인 동물은 우리와 떼려야 뗄 수 없는 사이이다. 그래서 사람들은 동물을 귀하게 생각해 애지중지 키우기도 하고, 야생에서 만난 동물들로부터 자신을 지키거나 동물을 사냥하기 위해 날카로운 도구들을 만들기도 했다.
사람은 자신에게 이로운 것을 선망하거나 존경하며 신성한 대상으로 보고, 해로운 것을 공포스럽게 생각하며 두려워하거나 퇴치해야 할 대상으로 인식한다. 이 인식은 동물에게도 적용된다. 선조들은 삶을 풍족하게 해주는 동물과 위협하는 동물을 모두 공경의 대상으로 생각해 ‘신’으로 숭배하거나 신성한 능력이 있다고 믿었다. 이러한 믿음은 고대에 성행한 ‘토테미즘totemism’ 신앙의 기반이 되었다.
토테미즘이 보편적이었던 신석기시대 이후 고조선古朝鮮부터 부여扶餘, 고구려高句麗, 신라新羅, 가야伽倻, 동예東濊, 삼한三韓(마한馬韓, 진한辰韓, 변한弁韓) 등 고대 국가들도 동물신을 숭상했다. 고대에는 나라에서 믿고 받들던 동물들을 건국신화나 왕조 출현의 상징으로 삼아 정치적으로 사용했다. 이러한 고대의 전통이 고스란히 전래되어 고려高麗·조선朝鮮시대에도 특정 동물들을 하늘이 왕에게 보내는 신호나 나라와 백성을 수호하는 신 등으로 여기며 고대보다 포괄적인 방향으로 숭배했다.
그렇다면 각 나라마다 어떤 동물을 신으로 믿었는지, 그리고 동물들을 어떻게 믿었고 어떤 이야기가 전래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2) 나라의 수호신, 십이지신

십이지十二支는 방위와 시각을 표시하기 위해 시작된 것으로 언제부터 동물에 비유했는지는 알 수 없다. 십이지는 중국 한족에서 처음 사용했다는 견해가 일반적이다. 중국 외에 인도, 이집트, 한국, 일본, 베트남, 멕시코 등에서도 동물을 배열해 시간과 방향을 표시했다. 일본은 돼지 대신 멧돼지를, 베트남은 토끼 대신 고양이를 넣고, 멕시코는 호랑이, 토끼, 용, 원숭이, 개, 돼지 외의 6마리는 다른 동물을 쓴다.
우리나라에서는 신라시대에 처음으로 중국에서 전래된 십이지를 수용하여 십이지신 석상을 만들어 왕릉을 지키는 수호신으로 사용했다. 처음으로 십이지신상을 새겨 넣은 왕릉은 진덕왕릉眞德王陵이다. 왕이 아닌 김유신金庾信(595-673)의 묘에서도 십이지신상이 발견되었는데, 이는 김유신이 죽은 후 흥무대왕興武大王으로 봉해지면서 그의 죽음을 애도하기 위해서였다. 이후 성덕왕릉聖德王陵, 경덕왕릉景德王陵, 원성왕릉元聖王陵 등이 있다.
십이지신을 본떠 만든 신상석은 모두 12개로 자상子像(쥐)·축상丑像(소)·인상寅像(호랑이)·묘상卯像(토끼)·진상辰像(용)·사상巳像(뱀)·오상午像(말)·미상未像(양)·신상申像(원숭이)·유상酉像(닭)·술상戌像(개)·해상亥像(돼지)을 비석이나 묘지 내부에 새겼다. 십이지신 신상석은 무덤을 가운데 두고 둥글게 감싼 형태로 배치되며, 각각 시계 숫자처럼 무덤을 12등분한 위치에 서 있다. 이는 당시 천문 역법에 따른 열두달을 상징한다.
석상 외에도 십이지신은 부장품副葬品 , 신라에서는 부장품 외에도 불교건축물인 탑, 부도僧塔 , 석등石燈 , 수미단須彌壇 , 귀부龜趺 등의 장식으로 사용되었다. 불교의 상징이었던 십이지는 신라시대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사용되었는데, 대부분 왕의 무덤을 지키는 수호신 용도로 쓰였다. 중국의 십이지신은 평민들이 입는 옷을 입고 있지만, 우리나라는 불교의 영향으로 사천왕四天王 복장을 하고 있다.
동양과 일부 서양권에서는 십이지신을 시간과 방위 개념으로 이해하여 열두 달의 변화를 설명하는 수단으로 사용했다. 이러한 개념이 우리나라에서는 특히 조선시대에 두드러지게 나타나 경복궁의 근정전이나 왕릉에서 십이지신 석상을 볼 수 있다. 그렇다면 십이지신의 각 동물은 어떤 방향과 시간을 상징하며 우리나라 역사에서 12마리의 동물을 어떻게 기록하고 있는지 살펴보자.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