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기초과학/교양과학
· ISBN : 9791197404313
· 쪽수 : 112쪽
· 출판일 : 2021-12-08
책 소개
목차
감수의 말 - 플라스틱이 주는 편리함에 젖어 있는 무심한 우리를 깨우는 책
머리말 - 인류가 만들어낸 만능 소재 플라스틱에 지구가 파묻히지 않기 위해
Part 1. 지금 전 세계는 플라스틱 몸살을 앓고 있다
1 세계가 낳은 플라스틱 83억 톤, 대부분 쓰레기로 버려진다
2 2050년을 목표로 하면 너무 늦다!
3 선진국은 쓰레기를 수출하고 있었다!
4 급증하는 일회용 포장 용기 쓰레기의 30% 이상이 자연계로 유출된다!?
5 유엔의 지속가능 발전목표를 향해
6 이제 플라스틱 없이는 못 살아!?
7 플라스틱 없이는 유지되지 않는 산업계
Part 2. 플라스틱의 정체, 그것이 알고 싶다
1 인류는 탄소와 수소를 합쳐서 플라스틱을 만들어냈다
2 플라스틱은 성질에 따라 열가소성과 열경화성으로 나뉜다
3 플라스틱이란, 작은 분자가 여러 개 결합한 고분자 화합물이다
4 서로 다른 모노머를 연결할 수도 있고, 잡은 손을 떼어낼 수도 있다
Part 3. 플라스틱과 환경 문제, 얼마나 심각할까?
1 묻어도 문제고, 태워도 문제다
2 국경을 넘는 플라스틱 쓰레기
3 중국에 이어 아시아 다른 나라들도 플라스틱 쓰레기 거부
4 아시아 · 아프리카의 개발도상국은 왜 일찌감치 비닐봉지를 규제했을까
5 플라스틱 수프의 바다, 그 많은 표류 쓰레기는 어디에서 왔을까
6 해양 플라스틱 쓰레기가 바다 생물들의 수명을 단축한다
7 생태계로 들어온 아주 작은 골칫거리, 미세 플라스틱
8 플라스틱 쓰레기가 해양을 떠돌며 유해 화학물질을 운반한다
9 플라스틱은 정말로 안전할까?
Part 4. 플라스틱 리사이클은 현재 진행형이다
1 플라스틱은 어떻게 리사이클되고 있을까?
2 일본의 플라스틱 쓰레기 유효 이용률은 86%
3 세계 여러 나라는 쓰레기를 어떻게 처리하고 있을까?
4 리사이클에서 탈플라스틱까지, 유럽 여러 나라의 쓰레기 전략이 궁금하다!
5 경제 최우선인 쓰레기 대국 미국, 그리고 교착 상태에 빠진 리사이클 사업
6 리사이클과 신소재 개발을 중심으로, 마침내 기업이 움직이기 시작했다
7 일본의 포장 용기 리사이클법은 플라스틱 쓰레기를 억제하기 힘들다!?
8 플라스틱 순환에 대한 책임 의식을 갖는다
9 2030년까지 반드시 해야 할 일이 있다!
Part 5. 탈플라스틱 생활로 갈 수 있다
1 리사이클 이전에 ‘줄인다’, ‘사용하지 않는다’
2 바이오 플라스틱은 정말로 쓰레기 문제의 해결책이 될 수 있을까?
3 쓰레기를 태우거나 매립하지 않는다
4 플라스틱 쓰레기도 가공하면 되살아난다
5 플라스틱, 덜 쓰거나 안 쓰거나
6 그릇을 챙겨 가면 플라스틱 포장은 0이 된다!
7 플라스틱이 없던 때를 아시나요?
Part 6. 플라스틱의 탄생과 성장, 그리고 거대한 위기
1 천연 소재의 대체재로 태어나 100년 만에 세상을 뒤바꾸다
2 플라스틱을 진화시킨 것은 제2차 세계 대전이었다
3 플라스틱 산업을 발전시킨 고분자 화학의 선구자들
4 전후, 석유 산업의 발전과 더불어 ‘꿈의 소재’ 시대, 활짝 열리다
5 사람들의 목숨을 살리고 희망을 준 의료용 플라스틱
6 슈퍼와 편의점이 속속 등장하여 포장재 플라스틱이 범람
7 우리가 사는 ‘인류세’ 지층에 플라스틱이 계속 남는다!?
맺음말 - 플라스틱이 울리는 경고의 종소리에 어떻게 답해야 할까
참고문헌
참조 사이트
리뷰
책속에서
이 책은 매우 친절하다. 100여 쪽에 이르는 글에서 플라스틱 문제의 거의 대부분을 포괄하기 위해 상세하게 설명해주는 저자들은 매우 성실하다. 해양 플라스틱 쓰레기 문제를 20년 동안 연구하고 대응 방안을 찾아온 내게도 새로운 내용이 많을 만큼 알차다. 내용이 어려워질 만하면 도표와 삽화로 간략히 정리해주어 읽는 이가 손을 놓지 못하게 매력적이다.
이 책은 매우 진지하다. 플라스틱의 탄생과 새로운 소재 개발로 노벨화학상을 받았던 때가 있었고, 세계 대전으로 플라스틱의 연구 개발 수요가 폭발하였던 때를 상기시킨다. 우리의 의식주에 깊이 들어와 이제는 편리함에 푹 젖어 있는 무심한 우리를 깨운다. 하루라도 플라스틱 쓰레기를 누군가 치워주지 않으면 쓰레기 대란이 벌어지는 현실을 알려준다.
- 홍선욱(환경운동가, 동아시아바다공동체 ‘오션’ 대표) <감수의 말>에서
플라스틱은 금속보다 가볍고, 도자기처럼 깨지거나 종이처럼 찢어지는 일도 없으며, 어떤 모양으로도 만들 수 있고, 가격도 저렴하다. 이렇게 장점이 많지만 플라스틱에는 커다란 문제점이 있다. 천연 소재와 달리 분해되어 흙으로 돌아갈 수 없다는 점이다. 인류는 지구 환경에 참으로 골치 아픈 물질을 발명해버린 것이다. (중략) 우리는 이미 플라스틱에 파묻혀 살고 있다. 우리의 일상에는 플라스틱 제품이 넘쳐나며, 우리가 구입한 물건에는 평균 12분 만에 쓰레기통에 버려지는 플라스틱 용기나 포장재가 붙어 있다. 일회용품의 편리함에 익숙해지고, 분리수거함에 가득 찬 플라스틱 쓰레기를 모아서 버리고, 버리고 나면 다시 채우는 생활이 언젠가부터 당연한 일처럼 되었다.
바다를 떠도는 플라스틱 쓰레기의 존재는 다시 커다란 문제로 우리에게 되돌아오고 있다. 1990년대에 경고의 종이 울렸을 때와는 달리 인터넷의 보급으로 사람들은 먼 바다에서 일어나는 일을 아주 가깝게 느낄 수 있게 되었고, 우리의 삶이 바다와 연결되어 있다는 사실도 깨달았다. 세계 각지에서 해양 쓰레기 문제에 대한 대책이 세워지기 시작했고 유엔도 ‘지속가능 발전목표(SDGs)’를 제시하고 해양 오염 방지나 폐기물의 대대적인 감축을 가입국에 촉구하고 있다. 아름다운 바다가, 소중한 지구가, 플라스틱에 파묻히지 않게 하려면 지금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할까?
- 머리말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