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근현대사 > 일제치하/항일시대
· ISBN : 9791197586262
· 쪽수 : 292쪽
· 출판일 : 2025-05-06
책 소개
역사의 그늘에 가려졌던 여성 의료인들의 빛나는 이름을 다시 기록하다.
역사 속에서 잊히거나 제대로 평가받지 못했던 한국의 초기 여성 의료인들의 업적과 삶을 조명한 책 『역사를 만든 여의사들』이 출간되었다. 이 책은 최초의 한국 서양의학 여성의사 김점동(박에스더)을 포함해 한국 의료사에 중요한 발자취를 남긴 12명의 여성 의사들과 김경실 여사의 이야기를 다룬다. 특히, 저자인 안명옥은 본인의 어머니인 김경실 여사의 탄생 100주년을 기념하여 이 책을 집필하였으며, 여성 의료인으로서 자신이 겪은 사회적 현실과 연결하여 한국 여성 의료인들의 역사와 사회적 역할을 깊이 있게 탐구하였다. 한국 근대 의료와 여성 교육의 발전이 결코 분리될 수 없는 역사적 맥락에서 출발하여, 일제강점기와 해방 후 격동의 시기를 지나며 척박한 환경 속에서도 열정과 헌신으로 의료인의 길을 개척한 여성 의사들의 삶을 생생히 기록하였다. 저자는 이 책을 통해 여성 의사들이 의학 분야뿐 아니라 한국 여성의 사회적 지위 향상과 자립을 위해 중추적 역할을 담당해왔음을 강조하며, 이들의 업적이 보다 폭넓게 알려지고 제대로 평가받기를 희망하고 있다. 동시에 향후 여성 의료인의 역사에 관한 연구와 자료 정리의 필요성을 제시하며, 이 책을 계기로 한국 사회 전반의 성평등 의식과 여성 문제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더욱 높아지기를 기대하고 있다.
목차
글을 시작하며. 한국 여의사의 탄생과 여명기
제1부.한국 근대 여성교육과 서양의학의 시작
1장.한국 근대 여성교육과 서양의학의 시작
1. 서양의학의 도래, 그리고 여성교육의 시작
2. 「여권통문」과 「여권통문의 날」
3. 한국 여성 교육 상황
2장. 조선 의녀(醫女)와 김점동 이후 여의사
1. 의녀(醫女)제도
2. 김점동을 전후한 우리나라의 서양의학 교육
3장. 김점동, 그녀의 후예들
1. 일제 강점기 시대 의학교육과 여의사들의 활동
2. 일본 유학에 의한 여자 의사교육
3. 국내 여자 의학교육과 여의사들의 활동제중원 의학교 / 경성의학전문학교 / 경성여자의학강습소 / 경성여자의학전문학교 / 검정고시합격자
4장. 활인(活人)! “지혜의 여성들이 대한민국을 구할 것이다.”
1. 1945년 해방이후 격동기 여성의학교육
2. 한국전쟁 후 안정기로 들어서며…
3. 활인(活人)! “지혜의 여성들이 대한민국을 구할 것이다.”
제2부. 12명의 초창기 여의사들
1장. 초기 벽안(碧眼)의 여의사들
1. 애니 엘러스 벙커(Annie J. Ellers Bunker, 1862-1938)
2. 릴리어스 호튼 언더우드(Lillias Horton Underwood, 1851-1921)
3. 로제타 셔우드 홀(Rosetta Sherwood Hall, 1865-1951), 한국여자의사들의 어머니
2장. 초기 한국 여의사들
1. 김점동(박에스더, 1877-1910), 최초의 한국 서양의학 의사
2. 안수경(安壽敬, 1896-? 1947 이후)
3. 허영숙(許英肅, 1897-1975)
4. 정자영(鄭子英, 1896-1970)
5. 현덕신(玄德信, 1896-1963)
6. 송복신(宋福信, 1900-1994)
7. 길정희(吉貞姬, 1899-1990)
8. 유영준(劉英俊, 1890-? 1962 이후)
9. 한소제(韓少濟, 1899-1997)
3장. 맺음말: 남은 과제들
제3부. 김경실(金敬實) 어머니를 추억하며
1장. 어머니 김경실(1925.5.1.-2007.7.25.)의 삶
1. 어린시절과 꿈
2. 경성여자의학전문학교 시절, 1942년 입학(5회 졸업)
3. 개정중앙병원의 안과 과장
4. 최고 실력의 성실한 여의사, 김안과 원장님
5. 김경실 어머니와 안봉한 아버지
6. 실질적 가장 역할
2장. 김경실 어머니에 대한 딸 안명옥의 추억
1. 집이었던 병원에서의 어머니
2. 단아한 모습과 창의성이 빛나는 어머니
3. 자식들에 대한 무한 사랑의 따뜻한 어머니
4. 모든 이에게 손을 활짝 펴신 사랑의 어머니
5. 가족 신앙의 뿌리이신 어머니
6. 여의사 자매 어머니 김경실과 이모 김경신
김경실(金敬實) 어머니 연보
참고문헌
저자소개
책속에서
어린 시절부터 역사에 대한 관심으로 많은 서적과 기록들을 접했고 의사로 살면서도 그에 대한 관심은 놓지 않고 살아왔다. 그러나 2012년 여권통문을 접한 이후 온몸을 감싸는 전율의 감동으로 나의 서재는 역사 장서들이 쌓이기 시작했다.
1886년의 의사 스크랜튼의 어머니인 스크랜튼 여사가 설립한 ‘이화학당’과 1887년 엘러스 의료선교사가 설립한 ‘정동여학당’은 이렇게 시작되었다. 내외법에 의해 자신의 능력을 계발하지 못하고 활동 범위가 가정 내에 한정되어 있던 여성들이 밖으로 활동 영역을 넓히는 계기가 되었다.
여권통문은 우리나라 최초의 한국여성인권선언서다. ‘여권통문(女權通文)’, 여성인권선언문에는 명시적으로 ‘권리’라는 단어가 사용되었다. 교육권, 노동권(경제활동 참여권, 직업권), 정치참여권(참정권,정치권) 등 크게 3가지 권리에 대한 주장을 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