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문제 > 사회문제 일반
· ISBN : 9791198047755
· 쪽수 : 164쪽
· 출판일 : 2023-09-15
책 소개
목차
들어가는 말 4
1장 리빙랩이란?
리빙랩의 핵심 특징 18
리빙랩의 단계들 25
리빙랩의 쟁점들 28
2장 유럽의 리빙랩
순환경제와 리빙랩 37
탄소중립과 리빙랩 47
유럽 리빙랩의 특징 58
3장 한국의 리빙랩
도입 및 확산 64
주민의 다양한 역할 70
한국 리빙랩의 특징 78
한국 정치와 리빙랩 87
그래도 남는 문제 98
4장 대학 수업 기반 리빙랩 활동
연세대학교 리빙랩연구센터 소개 106
시민 리빙랩 사례 109
학생 리빙랩 사례 114
대학 수업 기반 리빙랩 활동 분석 141
대학 리빙랩에서 대학의 역할 149
나가는 말 156
참고문헌 161
리뷰
책속에서
리빙랩은 앞서 말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하나의 새로운 혁신 방식을 말한다. 그러나 어떤 경우 사람들은 리빙랩을 지역의 주민들이 스스로 문제를 찾고, 그것을 해결하기 위한 실험을 하고, 그 실험을 통해 시제품을 만들어내는 구체적인 활동으로 정의하기도 한다. 그리고 또 어떤 사람들은 리빙랩을 하나의 사회운동으로 접근하기도 한다. 그리고 이와 동시에 리빙랩은 하나의 정치적 현상이자 새로운 정치참여 방식이기도 하다.
유럽 리빙랩의 기본 실천 단위는 도시, 즉 로컬이다. 이것이 아마도 가장 기본적인 첫 번째 특징일 것이다. 이 로컬에서는 다양한 행위자들이 리빙랩에 참여하는데, 이들이 서로 만날 수 있는 놀이터가 있다는 것이 아마도 두 번째로 중요한 특징이 될 것이다. 이 놀이터는 보통 온라인 플랫폼(예를 들어 홈페이지 등)의 형태로 운영되고 있는데, 이 플랫폼에서 일반 시민들과 전문가들, 그리고 이러한 프로젝트에 관심이 있거나 투자하고자 하는 정부나 기업들이 만나게 된다.
지역소멸의 위기는 지역에 소재한 대학의 위기와 병행해서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대학 역시 수도권 집중현상을 똑같이 경험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최근에 오히려 리빙랩 또는 지역에서의 대학의 역할은 이러한 대학의 위기를 타개하는 수단으로 강조되고 있고, 정부에서도 지역-산업-대학의 시너지 창출을 위해 많은 지원을 (역시 공모사업을 통해) 하고 있다. 핵심 아이디어는 대학이 지역사회에서 존재 이유를 찾고, 지역에 기여하며, 지역과 시너지를 낼 방안을 모색할 경우 지원을 더 해주겠다는 것이다. 그리고 가장 최근의 정부 발표에 따르면, 이러한 대학과 지자체와의 협력에 있어서 행정적 절차를 간소화하기 위해 지자체에 지역 소재 대학에 대한 권한을 주겠다는 것이다. 사실 이러한 정부와 대학 간의 관계 자체도 미국이나 유럽에서는 보기 힘든 현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