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서양철학 > 현대철학 > 현대철학 일반
· ISBN : 9791198073778
· 쪽수 : 320쪽
· 출판일 : 2022-12-01
책 소개
목차
서문 공통점이라고는 조금도 없는 공동체
1. 두려움
2. 죄
3. 법
4. 무아지경
5. 경험
부록 허무주의와 공동체
에스포지토의 책
역자 해제 | 코무니타스/임무니타스
리뷰
책속에서
공동체의 철학만큼 오늘날의 현실적인 과제로 다가오는 것도 드물다. 역사적으로 모든 공동체주의의 실패가 곧장 새로운 개인주의의 병폐로 이어졌다는 점을 필연으로 간주하며, 고유의 관점을 절실하게 요구하고 주장하며 표명하는 것이 바로 공동체의 철학이다. 하지만 공동체의 철학만큼 눈에 띄지 않는 것도 드물다. 공동체의 사상만큼 먼 곳으로 밀려나 거세된 상태로 남아 있거나, 저 멀리서 도래하는 미래 혹은 해독이 불가능할 만큼 까마득한 지평으로 밀려나 있는 것도 드물다. 공동체를 구체적으로 연구하는 철학이 부재했거나 부재하기 때문은 아니다. 공동체의 철학은 오히려 국제 토론의 무대를 지배하는 테마들 가운데 하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공동체의 철학은 앞서 언급한 비가시성과 사유 불가능성의 고랑에 남아 있을 뿐 아니라 이러한 현상을 가장 뚜렷하게 보여주는 징후의 표현이기도 하다. 바로 이 지점에서 우리가 주목해야 할 것은 — 현대 정치철학이 때에 따라 수용하는 공동체적, 공통적, 소통적 차원을 뛰어넘어— 공동체 자체의 양태와 직결되는 한 가지 특징, 즉 공동체는 20세기의 인류가 지독히도 비극적인 방식으로 경험했던 것과 유사한 종류의 극단적인 왜곡과 심지어 타락을 대가로 치르지 않고서는 정치적–철학적 담론으로 번역되지 않는다는 사실이다.
코무니타스는 고유의 특성이나 소유물이 아니라 어떤 의무 사항이나 빚을 공통의 요소로 지녔기 때문에 모인 사람들의 공동체를 가리킨다. 무언가가 ‘더’ 있어서가 아니라 ‘덜’ 있어서, 혹은 어떤 결핍이 계기가 되어 모인 것이다. 다시 말해 코무니타스는 무언가가 결핍된 상황에서 벗어났거나 ‘면제된’ 사람들이 아니라 결핍에 ‘시달리는’ 사람의 입장에서 어떤 책무나 심지어는 결함의 형태로 나타나는 일종의 한계를 공통분모로 지닌 사람들의 집단이다. [...] 코무니타스의 주체들이 지닌 ‘의무’는 무언가를 ‘당신이 나에게 해야’ 하는 차원이 아니라 ‘내가 당신에게 해야’ 하는 차원의 의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