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설명하기 지친 사람을 위한 데이터

설명하기 지친 사람을 위한 데이터

(마부뉴스의 사회 갈등 분석 보고서)

스브스프리미엄, 안혜민 (지은이)
스리체어스
1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0,800원 -10% 2,500원
600원
12,700원 >
10,800원 -10% 2,500원
카드할인 10%
1,080원
12,22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14개 9,01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설명하기 지친 사람을 위한 데이터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설명하기 지친 사람을 위한 데이터 (마부뉴스의 사회 갈등 분석 보고서)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학 일반
· ISBN : 9791198383730
· 쪽수 : 184쪽
· 출판일 : 2023-08-02

책 소개

90년생은 국민연금은 못 받을까? 다양성이 사라진 미국 대법원은 어떻게 될까? 불안한 사회를 설명하기에 기사 한 편은 짧다. 기사를 읽어도 읽어도 문제가 심각하다는 것만 알게 될 뿐이다. 《설명하기 지친 사람을 위한 데이터》는 우리 삶에 닿아 있는 데이터를 통해 우리 사회를 설명한다.

목차

프롤로그 ; 감수성의 간극을 좁히는 데이터 · 7

1 _ 데이터와 사회 ; 불안과 진실 사이 · 13

90년생은 국민연금을 못 받을까
미디어는 자살률을 증가시켰을까
군중이 군중을 삼켰다

2 _ 데이터와 다양성 ; 실재하는 차별 · 49

과거 예술 작품 수정, 검열일까 PC일까
야생 동물과 인간, 같이 살 수 있을까
세상을 다르게 보는 색각 이상자
다양성이 사라진 미국 대법원

3 _ 데이터와 환경 ; 선택의 나비효과 · 97

패스트패션의 날갯짓
라면, 립스틱, 치약의 공통점
앨범 VS 스트리밍

4 _ 데이터와 변화 ; 이미 다가온 미래 · 137

현금을 안 써도 되는 세상
파괴적인 혁신, 아직 가능할까
3인칭 단수 대명사가 된 THEY

주 · 175

북저널리즘 인사이드 ; 숲이 아닌 나무를 볼 때 · 181

저자소개

스브스프리미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스브스프리미엄은 우리의 일상과 세상을 뒤흔드는 핵심 시사 이슈를 흥미로우면서도 깊이 있게 풀어내는 SBS의 지식 구독 플랫폼이다. 2023년 9월 첫선을 보인 오리지널 콘텐츠 〈교양이를 부탁해〉는 국내 최고 전문가들의 통찰과 분석을 제공하며 ‘이슈 해설형 콘텐츠’의 새 장을 열었다. 다양한 소식을 아우르는 뉴스에 깊은 지식을 더한 ‘지식뉴스’ 장르를 개척해온 〈교양이를 부탁해〉의 특징은 ‘소통’이다. 전문가와 청중이 자유롭게 소통하며 세상을 이해할 지식과 지혜를 함께 쌓는다. 모바일 앱 〈스브스프리미엄〉, 유튜브 채널 〈SBS 뉴스〉 〈비디오머그〉에서 만나볼 수 있다.
펼치기
안혜민 (지은이)    정보 더보기
대학교에서 물리학을 공부했고, 2017년 SBS에 입사해 데이터 저널리스트로 활동하고 있다. 2022년부터 SBS 데이터저널리즘팀의 뉴스레터 마부뉴스를 발행하고 있다. 한국기자상, 한국방송기자대상, 한국방송대상, 한국조사보도상, 양성평등미디어상 대상을 수상했다. 데이터를 통해 감수성의 간극을 좁힐 수 있다고 믿는다.
펼치기

책속에서



“데이터와 함께 마부뉴스의 해설을 읽다 보면 흐릿했던 실루엣이 점차 선명해질 겁니다. 무언가를 제대로 알고 있다는 느낌이 들지 않아 짜증이 났다면, 혹은 어렴풋하게만 알고 있는 상황이 이어져 두렵다면 마부뉴스가 그 해결책이 될 수 있습니다.”


“과거 장국영의 사망 이후를 분석한 논문 자료 〈The effects of a celebrity suicide on suicide rates in Hong Kong〉도 있습니다. 당시 장국영 사망 이후 홍콩에서 발생한 자살은 이전 5년 평균보다 56퍼센트 증가했습니다. 아직도 일부 뉴스에는 자살 사건을 적나라하게 묘사하는 표현이 담겨 있기도 하지만, 과거엔 더 심했습니다. 통제되지 않은 보도로 제2의, 제3의 자살 시도자를 양산했던 상황이 데이터로 증명되는 겁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