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교양 인문학
· ISBN : 9791198561992
· 쪽수 : 144쪽
· 출판일 : 2025-02-07
책 소개
목차
1장 기술과 노동의 역사
산업혁명과 근대적 노동양식의 발전
대량생산 시대의 개막
정보화와 유연한 생산방식의 등장
디지털 기술은 노동을 어떻게 변화시킬까?
2장 현대 자본주의 발전과 임금 중심 사회의 형성
노동이란 무엇인가?
아담의 저주에서 신이 내린 소명으로: 노동 개념의 역사적 변천
사회적 노동과 개인적 활동의 분리 자본주의와 임금노동 관계
노동권을 둘러싼 노동-자본 간 투쟁과 임금 중심 사회의 형성
3장 디지털 기술과 자본주의
디지털화, 모든 것을 데이터로 만들 수 있다
초연결성, 자원을 상호연결하여 새로운 기회와 사업 창출
플랫폼, 초연결성을 구현하고 데이터를 수집하는 장
디지털 기술과 자본주의
디지털 기술과 제조업: 자동차산업 사례
디지털 기술과 서비스업: 소매업 프랜차이즈 사례
디지털 시대의 새로운 사업 모델: 플랫폼
4장 노동의 탈경계화
디지털 기술은 일자리를 빼앗을까?
디지털 기술과 일자리의 성격
노동 시공간의 탈경계화
고용과 비고용의 탈경계화
디지털 시대의 노동 통제: 경쟁의 가시화와 통제의 비가시화
디지털 시대의 유령 노동
노동자 정체성의 약화
5장 경계를 넘어서: 디지털 시대, 노동의 전망
기술은 주어진 것이 아니다: 기술에 대한 사회적 통제
이윤이 주도하는 기술 진보를 넘어서
탈노동 사회?
자본주의 임금 중심 사회의 위기
노동권 개념의 확장을 위하여
참고문헌
저자소개
책속에서
필자는 이 책에서 기술 그 자체를 문제시하고자 한다. 기술을 단지 주어진 것으로 간주하거나 인간이 기술에 적응해야만 한다는 사고를 넘어서 기술 발전의 혜택을 사람들이 공유할 수 있도록 기술을 재구성하는 방법은 무엇일까를 고민하고자 한다. 이는 곧 친사회적, 친인간적 방식으로 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어떻게 가능할지 모색하는 일이기도 하다.
기존 고용관계의 틀이 약화됨과 동시에 다른 한편에서 고용과 무관했던 영역이 고용과 근접해지는 양상도 나타나면서 노동의 경계가 모호해지고 있다. 즉 디지털 시대의 급속한 발전은 기업에 고용된 노동자와 사용자 간의 고용의 틀을 변화시켜 ‘노동=고용’의 도식을 흔들고 있는 것이다.
노동의 시민권은 노동자가 일반 시민과 구분되는 존재로 사회적으로 인정받았음을 의미한다. 이런 논의에 근거해 볼 때, 노동권이란 자본주의 사회 주요 세력인 노동자의 시민성에 대한 사회적 인정과 그에 기초해서 자본주의 사회의 특수한 존재인 노동자에 대해 사회적으로 부여하는 개인적, 집단적 권리라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