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학 일반
· ISBN : 9791198788436
· 쪽수 : 308쪽
· 출판일 : 2024-12-24
책 소개
목차
추천사 ‧ 4
책머리에 ‧ 8
제1장 무엇이 건강을 위협하는가?
의사들은 왜 파업을 할까?
“시민의 발을 볼모로” 하는 ‘합법적’ 파업 ‧ 19 | 건강보장 확대에 맞선 캐나다 의사들의 파업 ‧ 22 | 의사 면허는 신분증이 아니다 ‧ 26 | 독점적 지위와 책무성이라는 사회계약 ‧ 31
선별검사가 건강을 위협한다
건강검진은 ‘남들도 다 받는’ 필수템인가? ‧ 35 | ‘인간 도크’ 문화 ‧ 37 | 선별검사로 유병자를 가려낼 수 있을까? ‧ 40 | 유전자 검사로 질병 예측 가능성은 낮다 ‧ 42
가난의 자격을 묻지 마라
납세자와 세금도 안 내는 수급자 ‧ 46 | ‘일을 충분히 할 수 있는 상태’는 어떻게 판정하는가? ‧ 49 | 가난의 경계에 선 사람들 ‧ 51 | 가난은 상대적 박탈이다 ‧ 54
종교는 때로 사람의 건강을 해친다
종교는 사회적 약자의 목소리를 대변해왔다 ‧ 58 | 종교라는 이름으로 저질러지는 수많은 악행 ‧ 61 | 왜 낙태와 동성애를 반대할까? ‧ 64 | ‘낙태’라는 정치적 땔감 ‧ 67
페미사이드, 여자라서 죽는다
여성에 대한 여성 혐오적 살해 ‧ 71 | 범죄에서 드러나는 ‘성별 불평등’ ‧ 74 | 위험한 ‘사회생활’ ‧ 76 | 연쇄살인 사건이 아니다 ‧ 78
제2장 건강을 돌보지 않는 사회
몸과 마음에 새겨진 사회적 재난
가난한 가정의 어린이들이 심한 타격을 받았다 ‧ 83 | 사회 불평등이 몸에 남기는 ‘상흔’ ‧ 85 | 엄마 뱃속에서 가난을 경험하다 ‧ 88 | 한국에서만 자살률이 급증한 이유 ‧ 91
외나무다리를 안전하게 뛰라는 세상
한국에 ‘재래형 산재’가 많은 이유 ‧ 94 | 죽음마저도 그렇게 헐값이다 ‧ 97 | 노동자의 죽음은 ‘기업의 살인’이다 ‧ 101 | 기업과 국가의 책임을 묻다 ‧ 104
불안정한 노동이 건강 불평등을 심화시킨다
로봇이 모든 노동을 하는 ‘솔라리아 행성’ ‧ 108 | 돌봄 노동자와 택배 노동자 ‧ 111 | 전근대를 재현하는 탈근대의 노동시장 ‧ 114 | 노동의 사회적 가치 ‧ 117
병원의 안전을 지키는 그림자 노동
기업이 비정규직을 선호하는 이유 ‧ 122 | 혁신은 노동자들을 쥐어짜는 것 ‧ 125 | 슈퍼 박테리아 급증과 청소 인력 외주화 ‧ 128 | ‘직접비용’의 절감이 가져온 대가 ‧ 131
기업은 왜 건강을 외면할까?
뉴욕 시민은 ‘유모’를 원하지 않는다 ‧ 135 | 좋은 행동과 나쁜 행동은 전파될 수 있다 ‧ 139 | 핀란드는 심장병 사망률을 어떻게 낮추었을까? ‧ 141 | 건강이 기업에 의해 조종되고 있다 ‧ 143
제3장 건강을 보호하지 못하는 ‘사회적 보호장치’
산재는 왜 근로복지공단의 문턱을 넘지 못할까?
노동과 자본 사이, 타협의 산물 ‧ 149 | 산재 청구를 하지 마라 ‧ 152 | 어려운 처지의 노동자를 헤아려주지 않는다 ‧ 155 | “기다리세요, 순서대로 처리합니다” ‧ 157
건강보험 장기 체납자의 불편한 진실
우리 가족의 건강보험 애증사 ‧ 161 | 생계형 장기 체납자들 ‧ 164 | 통장이 압류되다 ‧ 168 | 의료비 보장에서 건강권 보장으로 ‧ 172
건강보험에 차별이 보인다
피임에는 적용할 수 없다 ‧ 175 | 고의로 사고를 일으킨다면 ‧ 178 | 누가 ‘우리’이고 ‘타자’인가? ‧ 182 | 권력은 총칼로만 작동하지 않는다 ‧ 183
‘안전한 임신 중지’라는 건강권
‘낙태죄 헌법불합치’ 판결 ‧ 186 | 불법인데 허용하고, 불법이니 처벌하고 ‧ 189 | 원치 않는 임신을 한다면 ‧ 193 | “우리 손을 잡아라” ‧ 199
공공보건의료는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에이즈 환자를 거부하는 이유 ‧ 203 | 공공보건의료는 사회적 안녕을 보호한다 ‧ 207 | 사립병원은 ‘돈이 되지 않는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는다 ‧ 210 | 공공병원이 ‘소수파’로 전락한 이유 ‧ 215
제4장 건강 약자들을 위해
우리가 왜 아픈지 알아낸다는 것
야간 교대근무와 가족력 ‧ 221 | 위해가 위험으로 가는 길 ‧ 223 | 유전인가, 환경인가? ‧ 226 | 질병은 예측 불확실성이 크다 ‧ 231
수많은 생명을 구한 역학조사
역학조사는 원인 규명을 어떻게 할까? ‧ 234 | 역학조사가 밝힐 수 있는 것과 없는 것 ‧ 237 | 역학연구는 ‘쓰레기 과학’이다? ‧ 241 | 과학은 스스로 정답을 제시하지 않는다 ‧ 243
건강이 불평등하다
영국 의사들은 어떻게 담배를 끊었을까? ‧ 246 | 소아마비 백신이 상품화되었다면 ‧ 249 | 세계 최초의 ‘건강 불평등’ 보고서 ‧ 252 | 건강 불평등은 사회 불평등과 연결되어 있다 ‧ 254
공공병원이 아직도 더 필요한가?
한국에는 의료기관이 넘쳐난다? ‧ 258 | 공공병원의 병상이 차지하는 비율 ‧ 261 | 100년 역사의 진주의료원이 문을 닫은 이유 ‧ 263 | 공공병원은 안전장치이자 생명보험 ‧ 266
우리에게는 주치의 제도가 필요하다
담당의사와 주치의 ‧ 271 | 대학병원보다 중요한 일차 진료 의사 ‧ 275 | 일차 의료 중심의 의료 체계 ‧ 278 | 양질의 일차 의료를 공평하게 제공하는 것 ‧ 281
불의와 불평등의 프리즘
100년 전, 인플루엔자 팬데믹 시기 ‧ 285 | ‘가늘게 길게 애틋하게’ 버텨나가는 길 ‧ 288 | 이주노동자에 대한 혐오 ‧ 290 | 시민들을 설득하고 신뢰를 구축하다 ‧ 292
주 ‧ 297
저자소개
책속에서
우리에게는 익숙하지만, 세계적으로 이렇게 촘촘한 건강검진 체계를 둔 나라는 찾아보기 어렵다. 한국 사회가 금과옥조로 떠받드는 미국만 해도 영유아의 선천성 대사성 질환 선별검사나 일부 암 검진을 제외하면 ‘국가’ 단위의 정기검진 프로그램은 없다. 예컨대 미국 정부가 운영하는 건강정보사이트(healthfinder.gov)에 들어가 성별과 나이를 입력하면 의학적으로 필요한 검사나 상담 목록이 제시되고, 의사(your doctor)와 상의하라는 설명이 뜬다. 여기에는 혈압 측정 같은 간단한 검사부터 암 검진과 예방접종 같은 필수 항목은 물론 금연이나 가정폭력 상담 권고 같은 폭넓은 내용이 들어 있다. 국립보건서비스 체계를 갖춘 영국도 국가가 정한 필수 선별검사 프로그램(www.gov.uk/phe/screening)이 있지만 항목이나 검사 주기, 대상자 측면에서 한국보다 훨씬 협소하다. 「선별검사가 건강을 위협한다」
기독교가 이른바 ‘낙태 전쟁’에 뛰어든 것은 사실 생명 존중의 교리 때문이라기보다 20세기 후반 미국에서 시작된 신보수주의 동맹의 선거 연합 전술과 관계가 있다. 1970년대 후반 미국에서 출현한 일군의 젊은 보수주의자들, 자칭 ‘뉴라이트(New Right)’는 이전까지 공화당의 전통적 이슈였던 세금과 인플레이션 문제가 아니라 학교 기도나 낙태라는 사회적 이슈를 전면에 내세웠다. 그들은 공립학교의 기도 강요를 막고 낙태를 허용하자는 사회적 움직임에 반대하며 미국 남부와 중서부 지역, 북부 산업지대 도시 노동자 등 보수적인 민주당 지지자들을 끌어들였다. 이들은 공화당에 새로운 다수파를 만들어냈다. 이러한 흐름이 본격화되기 이전의 통계를 보면 국가 간섭을 싫어하는 전형적 자유주의자인 정통 공화당 지지자들은 오히려 민주당 지지자들보다 낙태 찬성 비율이 높았다. 심지어 보수주의자들조차도 낙태를 ‘법’으로 금지하는 것에는 반대가 더 많았다. 「종교는 때로 사람의 건강을 해친다」
인구집단 다수를 대상으로 하는 공중보건 정책들은 개인의 자유, 선택권 측면에서 종종 논란이 된다. 마스크 착용처럼 사회적 효용이 분명한 조치까지도 자유 침해를 이유로 거부하는 경우가 적지 않으니, 이보다 덜 분명한 조치들에 대해서 그런 반응이 나오는 것은 당연하다. 2012년 미국 『뉴욕타임스』에 게재되었던 전면광고는 이러한 관점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이 광고는 건강 증진을 이유로 개인의 자유를 간섭하는 정부를 ‘유모 국가(nanny state)’에 비유했다. 당시 뉴욕 시장 마이클 블룸버그(Michael Bloomberg)는 비만 퇴치를 내세우며 식당과 카페테리아, 스포츠 경기장에서 대용량 사이즈의 가당 음료 판매를 금지하려고 했다. 이 광고는 ‘유모 블룸버그’가 대용량 가당 음료를 금지하고 나면, 다음에는 피자 조각의 너비, 햄버거의 크기, 베이글에 바르는 크림치즈 양까지 규제할 것이라면서, 뉴욕 시민이 원하는 것은 ‘시장’이지 ‘유모’가 아니라고 조롱했다. 「기업은 왜 건강을 외면할까?」



















